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2072012
· 쪽수 : 275쪽
· 출판일 : 2021-11-0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10년 후에도 우리 회사가 존재할까?
1부 포스트 코로나와 스마트오피스
1장 판이 바뀌는 기하급수의 시대가 열렸다
포스트 코로나, 어제의 세계는 잊어버려라
연결과 지능, 일터 혁명의 시대
1조 비즈니스를 꿈꾸는 스마트피플이 모여드는 기업인가?
로봇(AI)과 함께 일할 준비를 하고 있는가?
집단몰입을 일으키는 스마트오피스를 구축하라
2장 10배 기업을 만드는 스마트오피스 레볼루션
컨택트와 언택트의 일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재설계하라
스마트오피스는 ‘공간’이 아니다
10배 생산성 있는 스마트피플이 모여드는 스마트오피스를 구축하라
기하급수 시대를 돌파할 스마트워킹 문화를 스마트오피스로 만들어라
일하는 직원과 일하는 척하는 직원이 드러나는 스마트오피스
3장 하드워커를 스마트워커로 바꾸는 스마트오피스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해내고야 마는 스마트워커와 스마트오피스
왜 카카오는 본사를 제주로 이전했을까?
로봇(AI)과 함께 일하는 조직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공기처럼 직원들 간의 소통과 협업이 이루어지는 스마트오피스
2부 어떻게 스마트오피스를 실현할 것인가?
1장 스마트피플이 모여들게 하라
스마트피플이 일하고 싶은 기업문화의 4가지 키워드
톱 인재들이 유목민처럼 일하는 이유
반절 시간으로 10배의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비밀
일 잘하는 애 옆에 일 잘하는 애, 또 그 옆에 일 잘하는 애
무섭게 몰입하고 멋지게 노는 스마트피플
2장 스마트피플의 일문화를 구축하라
집에 보낸다고 리모트워크가 실행되는 건 아니다
눈에서 멀어져도 마음으로 가깝게 일하는 방법
영화 레디플레이어원이 현실이 되다
스마트피플은 주52시간 일하지 않고, 100억을 벌기 위해 일한다
누가 일하고, 누가 일하는 척하는 걸까?
한명의 꼰대가 열명의 일잘러를 내친다
직급과 경력에서 나오는 리더십은 가짜다
세르파리더십이 시작된다
3장 스마트공간을 구축하라
누가 그래? 공유 오피스가 스마트오피스라고
“이건 10억을 버리자는 얘기지”
스마트오피스를 구축하고 230억 원을 벌어들인 기업
스몰토크가 100억 원 가치의 비즈니스가 되는 과정
아무도 자유롭지 않은 자율좌석제
당신이 아마추어라도 프로가 있는 곳에서 일하라
서울 우리 집에서 매일 뉴욕으로 출근합니다
생산성을 10배 높이는 공간의 9가지 키워드
4장 로봇(AI)과 함께 일하는 조직문화를 구축하라
새로운 종의 기업이 출현하고 있다, 당신 기업은 어느 종인가?
내가 놀 때나 잠잘 때도 누군가 일해준다면
로봇(AI) 장례식 서비스 사업은 어떨까요?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 스마트워커들의 네트워크 컬래버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의 경영 방식은 구식이다
5차 산업혁명을 상상하라
에필로그_시대의 거대한 파도에 휩쓸리지 않고 그 파도 위를 타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스마트오피스는 기하급수 시대에 10배, 100배 성장하는 기업으로 가는 기본 환경이다. 새판이 시작되었는데 여전히 20세기 패러다임으로 대응할 것인가? 기존의 조직문화에 공유 오피스를 그대로 복제한다고 기하급수 시대의 기업문화로 혁신되지 않는다. 풍선에 수박 그림을 그려 넣었다고 마술처럼 풍선이 수박이 되지 않는다. 수박을 먹기 위해 칼을 대는 순간 풍선은 터지고 말 것이다.
모든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 1만 시간, 2만 시간을 들이는 사람은 더 이상 이 시대의 인재가 아니다. 그러한 하드워커의 굴레에서 벗어나 높은 관점으로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진 ‘스마트워커’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 전체가 로봇(AI)이라는 존재를 이해하고 자신의 업무에 어떻게 접목할지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업무적인 차원을 넘어 과연 우리 기업이 로봇(AI)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지 고찰해야 한다. 이에 대한 대답이 긍정적이지 않다면 조직문화, 일하는 문화, 그리고 일하는 공간에 대한 혁신이 시급하다. 우리는 로봇(AI)에 대한 두려움을 내려놓고, 그들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존재를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하여 하드워커의 조직에서 스마트워커의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
우리 기업이 하루빨리 리모트워크를 실행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리모트워크가 ‘스마트워커’가 일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스마트워커는 기존에 짜여진 판이 아닌 새로운 판을 설계하고 그 판을 ‘기준’으로 만드는 룰브레이커들이다.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업무 역량은 놀라운 생산성을 낼 수 있는 몰입과 새로운 판을 상상할 수 있는 창의성이다. 그들은 항상 자신이 가장 몰입할 수 있으며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환경을 찾는다. 그 환경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날의 컨디션, 기분, 날씨 등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어떤 날은 기분이 가라앉고 날씨도 좋지 않아 본사로 출근하여 동료들과 에너지를 나누며 일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또 다른 날은 기분이 들뜨고 날씨가 좋아서 테라스가 있는 카페에서 일하는 것이 가장 좋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