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207314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11-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자기 인생에 주인공이 되려면
자기 자신을 믿고 홀로 서라 _ 랄프 왈도 에머슨 《자기신뢰》
긍정 마인드로 희망을 노래하라 _ 프리드리히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내 인생 내가 가꾼다 _ 헤르만 헤세 《싯다르타》
Chapter 2. 제대로 성공하려면
담대하게 전진하라 _ 버락 오바마 《약속의 땅》
잃어버린 시간은 되찾을 수 없다 _ 벤저민 프랭클린 《가난한 리처드의 달력》
책은 평생 읽어야 한다 _ 율곡 이이 《격몽요결》
세상을 널리 탐험하라 _ 니코스 카잔차키스 《영혼의 자서전》
돈은 축복이자 저주이다 _ 에밀 졸라 《돈》
Chapter 3. 아름다운 사랑을 꿈꾼다면
사랑에도 기술이 필요하다 _ 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
사랑, 미루지 말라 _ 레프 톨스토이 《세 가지 질문》
부부, 서로 사랑하되 속박하지 말라 _ 칼릴 지브란 《예언자》
용서하라, 그러면 네가 행복해진다 _ 달라이 라마 《용서》
참된 우정의 조건 _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Chapter 4. 자녀의 행복한 성장을 바란다면
아이에게 자유를 돌려줘라 _ 장 자크 루소 《에밀》
조기교육의 성공 조건 _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좋은 부모가 걸어야 할 길 _ 버트런드 러셀 《행복의 정복》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힘 _ 펄 벅 《자라지 않는 아이》
Chapter 5. 마음에 평화가 깃들게 하려면
방황은 바른길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_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절망에서 희망을 찾는 법 _ 다산 정약용 《심경밀험》
인생에는 한계가 없다 _ 닉 부이치치 《허그(Hug)》
죽음 앞에서도 면도를 하라 _ 빅터 프랭클 《죽음의 수용소에서》
화내며 살기엔 인생이 너무 짧다 _ 세네카 《화에 대하여》
‘최초의 현대인’에게 마음을 묻다 _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Chapter 6. 품격을 갖추려면
멋은 자유다 _ 이어령 《읽고 싶은 이어령》
스스로 경계해야 품격이 생긴다 _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편견을 버려야 사랑할 수 있다 _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양심의 거울을 자주 들여다봐라 _ 빅토르 위고 《레미제라블》
교만이 겸손을 이길 수 없는 이유 _ 헤로도토스 《역사》
Chapter 7. 멋진 인생을 꾸미려면
세상에서 가장 ‘잘’ 살다간 사람 _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향연, 파이돈》
유머로 최고의 인생을 가꾸다 _ 도미니크 엔라이트 《위트의 리더 윈스턴 처칠》
내면이 더 아름다운 여배우 _알렉산더 워커 《아름다운 인생 오드리 헵번》
소박하고 단순한 삶의 행복 _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월든》
Chapter 8. 진정한 행복을 원한다면
노자의 물처럼 부드럽게 사는 인생 _ 최진석 《나 홀로 읽는 도덕경》
지금 이 순간을 온전히 즐겨라 _ 미셸 드 몽테뉴 《몽테뉴의 수상록》
남과 비교하지 않아야 행복해진다 _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참고도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0년의 시차를 두고 『난중일기』와 『송정사의』에 기록된 산림 관련 내용은 조선 후기 산림 황폐에 대한 나의 호기심에 불을 댕겼다. 단시일에 수십 척의 군선을 축조할 수 있었던 남부 지방의 울창 한 소나무 숲이 왜 200여 년 만에 사라졌을까? 쉬 조성할 수도 없지만 쉬 사라지지도 않는 것이 농경사회의 산림인데, 도대체 우리 숲에 어떤 일이 있었기에 주자가례를 특히 중시했던 조선에서 짚과 이엉으로 장례를 치를 수밖에 없는 지경이 되었을까? _ <머리말> 중에서
1910년에 실시한 산림 소유 구분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한일 병탄 직전 조선 산림은 백두산과 개마고원 일대, 그리고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등의 산간 지역에만 숲이 무성했으며, 나머지 대부분 지역은 어린나무 숲이거나 나무가 전혀 없는 민둥산이었음을 증언한다. _ <1부 조선의 숲은 왜 사라졌는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