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img_thumb2/979119209044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92090443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4-09-20
책 소개
목차
1장 민주화와 언론
2장 이론으로 보는 민주주의와 미디어
1. 민주주의-미디어 관계와 미디어화론의 필요성
1) 미디어의 민주주의적 역할
2) 민주주의와 미디어화
2. 미디어화론과 정치
1) 정치 미디어화의 단계
2) 정치와 미디어의 상호성
3) 미디어화론 비판과 옹호
4) 한국의 민주주의-미디어 관계와 미디어화론
3. 민주화와 단계주의/경로 의존
4. 정치병행성과 정치적 극(단)화
1) 개념적 논의
2) 정치병행과 극(단)화
3) 극(단)화와 진영화
5. 미디어의 권력화
1) 권력: 개념적 논의
2) 미디어 권력의 차원과 형식
3) 정치-미디어 연합
4) 미디어 권력화의 조건
5) 미디어 권력화의 사례와 양상
6. 정치적 후견주의
1) 개념적 논의
2) 후견주의와 미디어
3) 후견주의의 극복 방안
3장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
1. 민주화 이전: 권위주의 체제와 언론의 도구화
2. 민주화 이후
1) 한국의 민주화 성격
2) 보수 정부 1기: 노태우 정부와 김영삼 정부
⑴ 민주화 계기와 한국 언론 | ⑵ 언론의 자유화와 과점적 시장 | ⑶ 언론 노조와 편집권, 공정 보도 | (4) 언론의 권력화
3) 진보 정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⑴ 체제 논쟁과 민주적 역동성, 정치(당) 변화와 뉴 미디어 | ⑵ 정권 교체와 정치병행성 | ⑶ 세무 조사 정국: 진보 정부와 보수 신문 | (4) 언론 개혁과 언론 전쟁
보론: 언론 개혁과 포퓰리즘 정책
(1) 포퓰리즘 체제의 미디어 정책 | (2) 노무현 정부와 포퓰리즘
4) 보수 정부 2기: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⑴ 종편의 도입과 정치적 후견주의의 재강화 | (2) 보수 정치-언론 연합의 건재와 균열 | (3) 진보 언론과 언론 연합 | (4) 방송과 정치적 후견주의 | (5) 방송노동조합과 파업
4장 민주적 언론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