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MBC 60년, 영광과 도전

MBC 60년, 영광과 도전 (양장)

손병우, 최이숙, 이성민, 조항제, 박건식, 주창윤, 박근서, 임종수, 강보라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390원
38,6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MBC 60년, 영광과 도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MBC 60년, 영광과 도전 (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3401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1-11-25

책 소개

MBC 60년에 대한 연구의 의의는 특정한 지상파 방송사의 개별적인 사례 분석에 머물지 않는 보편성을 갖는다. MBC의 역사적 궤적과 정체성 그리고 TV 콘텐츠에 대한 분석을 발판으로 새로운 질문과 비판적 논점을 던지는 책이다.

목차

서문 시대정신과 공명해온 MBC 60년 _ 손병우

제1부 MBC, 공영방송을 위한 여정

제1장 다시 쓰는 MBC의 역사 _ 최이숙·이성민

1. 들어가며: MBC의 시작은 언제일까?
2. 부산에서 시작해 전국적인 네트워크로 자리하다: 라디오 시기 한국문화방송(1959~1968)
3. 전파 플랫폼의 확장: TV, FM의 등장(1969~1979)
4. 격동의 시기: 언론통폐합, 계열사화, 민주화(1980~1991)
5. 다채널, 다매체화 속 MBC 콘텐츠의 성장
6. 콘텐츠가 플랫폼이 되는 시대, MBC의 새로운 도전
7. 나가며

제2장 MBC의 제도적 정체성 ‖ 조항제
1. 들어가며
2. 한국에서의 공영과 민영
3. MBC의 역사적 정체성
4. 나가며

제2부 MBC, 지상파 콘텐츠의 역사

제3장 시대의 저널리즘: MBC _박건식

1. 탐사보도의 태동기
2. 본격 ‘사회 고발’을 시작한 PD수첩
3. 사회고발을 넘어 거대 담론의 바다로 나아가다
4. 간첩의 의미를 묻다: 레드콤플렉스를 넘어서
5. 국익과 진실의 딜레마: 황우석 과학사기 보도
6. 정권의 탄압과 권력비판 탐사보도의 상관관계: 광우병 보도
7. 먹구름의 전조 속에서 이뤄진 권력 감시 보도: 4대강, 민간인 사찰, 검사와 스폰서 보도
8. 국정원까지 동원한 전방위적 탄압에 무너지다
9. 시민들의 힘으로 되찾은 탐사보도와 향후 과제

제4장 MBC 드라마 오디세이 _주창윤
1. ‘드라마 왕국’으로서 MBC
2. 멜로드라마의 진화
3. 미니시리즈와 트렌디 드라마의 지평
4. 현대사의 대장정으로서 드라마
5. 역사드라마의 창조적 변용
6. <수사반장>과 <전원일기>
7. MBC드라마다움을 찾아서

제5장 웃음 제조를 위한 여정: <웃으면 복이 와요>에서 <무한도전>까지 _박근서
1. MBC, 가장 성공적인 코미디와 가장 성공적인 버라이어티
2. 장르에 대한 변명: 웃기고 즐거운 게 부끄러울 일인가
3. MBC 코미디의 계보
4. 코미디의 해체
5. 웃음이 담아야 할 가치, 공익적 관음이라는 모순
6. 코미디 없는 코미디의 시대

제3부 지상파와 21세기 방송

제6장 플랫폼의 시대, 지상파의 길 _임종수

1. 플랫폼-미디어와 네트워크 디커플링
2. 플랫폼은 대중매체와 어떻게 다른가?: 채널 vs 플랫폼
3. TV 4.0: 계획된 흐름에서 계획된 시청으로
4. 지상파 채널 리포지셔닝: 탈레거시, 연반인, 콘텐츠 역주행

5. 플랫폼-미디어와 지상파의 전략적 선택: 연결관계
6. 플랫폼-미디어의 시대, 지상파의 길

제7장 오리지널 콘텐츠가 미래다: OTT 시대 콘텐츠 혁신 전략 _강보라
1. OTT 시대 방송 콘텐츠 시장 현황
2. 콘텐츠 혁신을 위한 세 가지 요소
3. 방송 콘텐츠 IP 활용 사례와 시사점
4. 콘텐츠 시장의 전망과 콘텐츠 혁신을 위한 제언

저자소개

박근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이다. 텔레비전 코미디에 대한 사회적 담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중문화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전규찬과 공동 저술한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2003)은 이러한 주제에 천착한 결실이었다. 이후 비디오게임을 중요한 대중문화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에 적극 개입할 것을 주장했다. 게임을 텍스트의 관점이 아닌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의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한 『게임하기』(2009)는 이러한 관심의 산물이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복잡계이론, 포퓰리즘 등에 관심을 가지며, 그동안 대학에서 가르쳐왔던 내용들을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고 친근하게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펼치기
조항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민주주의와 공론장, 공정성과 공영방송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2020), 『한국 언론의 공정성』(2019), 『한국 공영방송의 정체성』(2014) 등이 있고 역서로 『민주주의와 공론장』(2015)이 있다.
펼치기
손병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언론정보학회 21대 학회장,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2특위 위원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논저로 『TV 두껍게 읽기』(2016), 『드라마의 모든 것』(공저, 2016), 『방송문화비평』(2007), 『풍자 바깥의 즐거움; 텔레비전 코미디』(2002), 『TV를 읽읍시다』(공저, 1991), 『문화이론사전』(공역, 2012), 『라깡정신분석사전』(공역, 1998) 등이 있다.
펼치기
박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방송 공영미디어국장이다. 고려대 국문과에서 방송언어심의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방송 시사교양국PD로 <피자의 아침>, <성공시대>, <이제는 말할 수 있다>, <PD수첩>을 연출하고 팩트체크 팀장, PD수첩 부장을 거쳤다. 한국PD연합회장, 한국PD교육원장을 지냈다. 2005년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일본 원폭개발의 비밀’ 편으로 방송위원회 이달의 좋은 상, 2001년 ‘이제는 말할 수 있다-6.25 일본 참전의 비밀’ 편으로 방송위원회 방송대상, 2006년 ‘PD수첩-치과의 위험한 비밀’편으로 Asia Awards 우수상을 수상했다. 「언론의 자유와 공정하게 재판받을 권리는 배치되는가」(2015) 등의 논문과 『우리들의 현대 침묵사』(공저, 2006)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임종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세종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자 글로벌미디어소프트웨어연계융합전공(GMSW)의 센터장이다. 미디어 역사문화 연구 프레임으로 OTT를 비롯한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 수용 양식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 ‘텔레비전 안방문화와 근대적 가정에서 생활하기’, ‘일요일의 시보, 전국노래자랑 연구’, ‘오토마타 미디어’, ‘글로벌 OTT, 플랫폼 리얼리즘의 세계’ 등의 논문과 <미디어와 일상>(2008, 공역), <넷플릭스의 시대>(2019, 역), <저널리즘모포시스>(2020, 공저), <오징어게임과 콘텐츠 혁명>(2022, 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최이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강의전담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로 페미니즘 시각의 문화연구, 저널리즘 연구를 해왔으며, 해방 이후 기자 및 방송인들에 대한 구술 작업을 통해 기존의 언론사 논의에서 잊힌 편린들을 맞추는 작업을 해왔다. 주요 논저로는 「누구의 목소리를 어떻게 전하였는가? 인터뷰 기사를 통해 본 미투 운동 초기 TV 보도의 양상」(2019),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 육아 도우미: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담론에 대한 탐구」(2021), 「전후 1950년대 탈식민 도시 부산 그리고 라디오」(2015), 「1960~70년대 신문의 상업화와 여성가정란의 젠더정치」(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성민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문화 정책 분야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재직했다. 문화체육관광부 문화 다양성위원회 민간위원을 맡고 있으며, 미디어콘텐츠산업 융합발전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류 탐색: 역사와 이론』(공저, 2024),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5』(공저, 2024), 『언론산업 인공지능(AI) 활용방안 연구』(공저, 2023), 『영상문화콘텐츠산업론』(공저, 2022),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강보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을 졸업하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동노동, 인정체계, 연대 네트워크, 지식생산 등 온라인 공간에서 발견되는 현상의 문화적 의미를 길어 올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근작으로는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2020), 『한편 2호 인플루언서』(공저, 2020), 『나만 잘되게 해주세요: 자존과 관종의 감정 사회학』(2019), 『디지털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강보라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초기 MBC의 역사를 고려할 때, 서울에서 한국문화방송이라는 이름으로 방송이 시작된 시기를 기준으로 2021년을 MBC 60주년이라고 규정한다면 ‘MBC의 모태’를 이룬 1959~1961년까지의 부산 MBC 역사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MBC가 지칭하는 것이 한국문화방송 네트워크가 아니라 서울에 근거지를 둔 한국문화방송만을 의미한다면, MBC 확장/성장의 또 다른 부분이었던 지역 방송의 역사는 어떻게 위치지어야 할까?


명분과 실제가 전혀 달랐던 공영방송이었고, 권위주의체제하에서의 공영방송이 어느 정도는 형용모순이었던 만큼 민주화 이후에 공영방송이 재논의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물론 처음에는 원상 복귀론이 우세했다(조항제, 2020). 그러나 그러기에는 삼성과 TBC 관계가 복원되어야 하고, MBC도 소유문제를 비롯해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 너무 일이 커지면서 방향성도 확신할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결국 큰 방향은 공영방송의 ‘재확립’으로 잡혔는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선언을 한 노동조합의 창립이 영향을 미쳤다.


노동조합은 조합원을 대상으로 시사회를 하면서 회사 경영진들을 압박해 나갔다. 호시탐탐 방영 시기를 엿보던 PD들은 새해 준비 등으로 상대적으로 경영진의 감시가 느슨한 연말연시를 노려 집중적으로 촬영을 하고 편집을 했다.
처음으로 광주학살 문제를 다루다보니 “불리한 내용을 다루면 MBC에 수류탄을 까 던지겠다”는 공수부대원들의 협박을 받는 살벌한 상황이 계속됐다. 이러한 공포 분위기 속에서 집필하겠다고 나서는 방송작가가 없어, PD들이 원고를 나눠 쓰는 악조건 속에서 1989년 2월 3일 <어머니의 노래>가 드디어 전파를 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