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2229294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3-10-12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개미잔혹사’에 마침표를 찍을 기업 해부 보고서
CHAPTER 1. 시장의 근간을 뒤흔든 사건들
· 레버리지의 두 얼굴, SG발 매도 폭탄 떨어뜨린 CFD
· 130조 원 볼리비아 리튬 사기 사건의 전말
· 신라젠 사기적 BW 발행 사건의 실체
· 머지포인트 남매는 어떻게 재무제표를 바꿔치기했나?
· 회장님들의 절묘한 주식 거래, 「자본시장법」 제174조 3항 위반인가?
· 탐욕이 빚어낸 광란의 쌍용C&E 우선주 파티
· 불법 주식 거래를 서슴지 않은 증권사 회장님의 최후
[회계×공시 즉답] 삼성은 왜 뒤늦게 엘리엇에 720억 원을 지급하였나?
CHAPTER 2. 지배구조에 균열을 일으킨 사건들
· 주가 폭락 부른 CGV 유상증자, 누구의 기획일까?
· 유상증자가 왜 주가에 악재인가?
[회계×공시 즉답] 한국투자증권, 카카오뱅크 지분 사는데 왜 자기자본이 증가하나?
· 현정은의 경영권 방어 트라우마가 파생상품 계약 남발을 불러왔다!
· 박삼구 전 금호 회장은 왜 10년 중형을 선고받았나?
· 재벌가는 왜 상속 소송이 빈번한가?
CHAPTER 3. 위기를 기회로, 기회를 위기로 전환한 사건들
· ‘조각투자’의 대명사 뮤직카우는 왜 문을 닫을 뻔했나?
· 전세 사기 기사에 왜 부동산신탁회사가 나올까?
· 허망하게 끝난 ‘농업계 블룸버그’의 꿈, 그린랩스
[회계×공시 즉답] 현금흐름 잘 보는 법
· ‘단군 이래 최대의 재건축단지’ 둔촌주공은 어떻게 정상화되었나?
· K-9 수출 파이낸싱은 죄가 없다!
[회계×공시 즉답] 주가가 오르는데 왜 손익계산서가 망가질까?
CHAPTER 4. 재무제표 속 숫자에 감춰진 사건들
· 에코프로의 손익을 움켜쥔 열쇠
· 현대차의 충당금 먹는 하마, 세타2
[회계×공시 즉답] 엔진 리콜 비용이 대손충당금이라고?
· 꿈 같았던 마켓컬리 7조 원 기업가치, 되풀이되는 공헌이익
· 호실적에도 왜 항공사 주가는 날지 못할까?
· 포스코그룹의 현금흐름은 왜 착시를 불러왔나?
· UBS가 CS를 인수하는데 왜 한국 조선 업계가 긴장할까?
· 기업의 잉여현금흐름(FCF)이 투자자에게 보내는 시그널
[회계×공시 즉답] 장부 숫자를 건드리면 진짜로 돈이 증가하는 마법?
CHAPTER 5. 덧셈·뺄셈·곱셈의 기적, M&A 사건들
· 왜 산업은행은 HMM 영구 CB의 주식 전환을 선택했을까?
· 테슬라를 능가하겠다던 에디슨모터스의 한여름 밤의 꿈
· HDC현대산업개발은 계약금 2500억 원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
· 카카오 김범수가 3조 원 대 탈세 혐의로 고발된 내막
· 동원의 계열사 합병은 왜 약탈행위라 비난받았을까?
· 남양유업 주주들의 외침,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회계×공시 즉답] 삼성전자 해외 법인 배당금은 500억 원인가, 22조 원인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라덕연과 CFD는 어떻게 나흘 만에 8조 원을 증발시켰나?
2023년 4월 24일, 증시 개장 후 30분이 채 되기도 전에 삼천리, 대성홀딩스, 서울가스 등 8개 기업의 주가가 10% 이상 급락하더니 하한가로 떨어졌다. 특이하게도 이 기업에 대한 매도세는 모두 프랑스계 SG증권 창구에서 쏟아졌다. 이 가운데 4개 기업은 그로부터 3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하였다. 나머지 기업들도 폭락세가 이어져, 단 며칠 새 8개 기업에서 8조 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하였다. SG발 주가 폭락 사태의 배경으로 ‘CFD 계좌 반대매매’가 지목되었다. 그리고 작전세력이 깊숙이 관여되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작전세력에게 돈을 맡겼던 투자자들은 수억에서 수십억 원의 원금을 잃었다. 여기에 더하여 투자자들은 증권사에 수십에서 수백억 원의 빚까지 지게 되었다. 도대체 ‘CFD’라는 것이 무엇이길래 증시에 이렇게 큰 충격을 던졌던 것일까? 왜 작전세력은 CFD를 시세조종에 이용하였던 것일까? 경제·경영서 최초로 SG발 주가 폭락 사태의 전말을 밝힌다.
(<레버리지의 두 얼굴, SG발 매도 폭탄 떨어뜨린 CFD>)
매출 50억 원 인동첨단소재의 130조 원 ‘리튬 사기’ 전말
2022년 말 국내 언론에 깜짝 놀랄만한 기사가 실렸다. 인동첨단소재라는 중소기업이 남미 볼리비아에서 130조 원 가치의 리튬 조광권을 확보했다는 소식이었다. 리튬은 전기차용 배터리(2차전지) 제조의 핵심 원자재로, ‘백색 황금’이라 불릴 만큼 몸값이 높은 광물이다. 저자는 회사의 재무제표와 합작사라는 미국 회사의 공시 자료를 살펴본 후, 단박에 이 내용이 사기 사건으로 비화하리라 예측했다. 저자의 짐작대로 회사가 리튬 채굴권을 확보했다는 것은 허위로 판명되었으며, 회사 말만 믿고 투자했던 수많은 투자자는 피눈물을 흘려야 했다. 저자는 재무제표의 ‘무엇’을 보고 인동첨단소재의 리튬 조광권 확보가 사기임을 알아챘을까?
(<130조 원 볼리비아 리튬 사기 사건의 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