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2376219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3-02-2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 10
서론_팬데믹과 사회정치적 변화_조화순 … 13
1장 팬데믹 속 전쟁의 언어와 민주주의의 위기_김정연
코로나 시대, 우리는 전쟁 중? … 27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대중 설득하기 -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가지고 오는 결과들 … 29
대통령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 32
전쟁에 빗댄 전염병 사태 … 34
전쟁의 언어와 민주주의의 위기 … 37
전쟁 상황이라는 강박이 가져오는 정치 의존 … 39
코로나바이러스 전쟁에서 승리한다는 것 - 팬데믹과 전쟁의 상흔 … 45
위기 이후 상황으로의 복귀 … 48
2장 가짜뉴스와 팬데믹의 “디지털 결혼”_이병재
가짜뉴스는 무엇인가? … 55
역사 속의 가짜뉴스 - 가짜뉴스는 편견을 먹고 자란다 … 57
역병과 가짜뉴스 … 62
우리는 가짜뉴스를 언제 믿게 될까? - 가짜뉴스와 정체성 … 69
가짜뉴스와 디지털 미디어 … 75
팬데믹과 가짜뉴스의 현대적 만남 – 2020년 미국 대선 … 76
코로나-19와 부정선거 주장의 희한한 관계 … 79
가짜뉴스와 아시아인 혐오 … 82
가짜뉴스와 민주주의 … 84
3장 백신 거부와 과학의 정치학_송정민
백신 거부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89
백신 거부의 역사 1. 영유아 백신, 청소년 백신의 사례 … 92
백신 거부의 역사 2. 흑인, 소수자 차별의 역사 … 94
백신 접종과 정치적 갈등 … 96
백신의 효과보다 백신의 ‘국적’이 문제가 되었다 – 헝가리 … 100
국민의 건강과 국가의 외교적 안보 사이에서 – 슬로바키아 … 103
예상하지 못한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백신 거부 - 포퓰리즘 극우 정당의 문제 … 107
한국의 ‘물백신’ 논란 - 정파성에 따라 달라지는 백신의 효과 … 110
나가며 … 112
4장 메타버스와 미래의 정치 참여_김범수
생동감 있는 온라인 정치 … 117
가상과 현실의 실시간 연결 … 119
메타버스의 세 가지 구성 요소 … 122
열린 세계 … 125
아바타의 정체성 … 127
안전한 모험 … 132
메타버스 정치의 가능성 1. 정치인과 시민의 소통 도구 … 133
메타버스 정치의 가능성 2. 정치 참여 비용 절약 … 135
메타버스 정치의 가능성 3. 메타버스의 수평성 … 137
미래의 민원 상담, 주민 총회, 공청회 … 139
메타버스 정치를 위한 과제 … 144
5장 피할 수 없다면 누리자! 코로나-19로 인한 고령층의 일상 변화와 적응_오주현
산 넘어 산! 전자 출입 명부 넘어 키오스크 … 153
온라인 수업, 할머니 엄마의 당혹스러움! … 156
트로트 가수 팬덤! 고령층의 디지털 향유 … 159
고령층, 온라인 쇼핑의 큰손? … 164
피할 수 없다면 누리자! … 170
6장 흩어지면 살고, 뭉치면 죽는다? - 거리 두기와 마음의 건강_임정재
코로나-19가 만든 삶의 변화와 마음의 상처 … 177
바이러스는 우리 마음도 아프게 해 … 179
“중국 우한 지역에서 원인 모를 폐렴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시작, 불안한 나날들 … 184
‘사회적 거리 두기 2주 연장_수정_진짜최종_마지막(2)’ - 사회적 거리 두기의 장기화, 스트레스와 우울 … 188
고객님 마스크 똑바로 착용해 주세요 - 반복되는 분노와 혐오 … 195
사회적 거리 두기, 마음의 거리 두기 - 대면 교류의 감소와 부정적인 감정들 … 199
언택트로 우리의 마음을 채울 수 있을까? … 205
견뎌냈지만, 아프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 210
코로나-19 이후, 달라질 우리의 모습 … 213
7장 코로나-19로 앞당겨진 노동의 미래_손연우
램프 밖으로 나온 요정 지니 - 온라인으로 옮겨온 일터 … 219
코로나 시기 일자리 변화 - 노동 4계급? … 221
기술 발전이 직업(job)과 직무(task)에 미칠 영향 … 225
원격 근무의 장점과 코로나 이후 근무 형태의 조정 … 228
플랫폼 노동의 확산 … 231
플랫폼 노동이 준 직업적 자유와 불안정성 … 234
플랫폼 노동이 더 좋아지기 위한 조건 … 236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노동하는 인간(Laborem Exercens) … 240
8장 온택트 시대의 경제 양극화_이나경
코로나 팬데믹이 경제에 미친 영향 … 247
소비 트렌드의 변화 - 온라인 소비로의 전환 … 252
옴니채널의 등장 … 258
고용 시장의 변화 … 264
무인 매장 … 269
산업별 양극화의 확대 … 270
서비스업 … 271
제조업 … 273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 277
9장 나도 살고 지구도 살 수 있을까 – 팬데믹 한가운데서 친환경을 외치다_김민정
생명을 위협받는 팬데믹 시대에 친환경을 말하는 이유 … 285
지구가 살아야 나도 산다 -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생각 변화 … 287
지구를 죽이면 나도 죽는다 - 기업 경영자, 투자자들의 위험 인식 변화 … 290
지구를 살리는 소비자 - 불편하지만 쿨하게, 작지만 크게 소비하기 … 291
지구를 해치지 않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 300
우리도 살고 지구도 살리는 친환경 소비-경영-정치의 연계 … 309
주 … 320
저자소개
책속에서
『언박싱 코로나』에는 우리의 실패한 대응에 대한 반성과 고민이 담겨 있다. (…)
그러나 『언박싱 코로나』에 우리의 실패와 좌절의 이야기만 담겨 있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는 팬데믹 이전의 우리 사회, 즉 ‘뉴 노멀(New Normal)’ 이전의 ‘노멀(Normal)’이 갖고 있었던 여러 한계점들을 수면 위로 꺼내주었고, 이는 사회의 구시대적인 제도들을 새롭게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급격한 사회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불안함을 느끼고 있는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이 책은 불안감을 넘어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전략을 함께 제시한다.
- 「책을 펴내며」에서
코로나 팬데믹 시기, 정부의 전쟁의 수사는 어떤 정치적 결과를 만들어낼까? 정치 지도자들이 끊임없이 전시 상황임을 강조하고 위기감을 불러일으킨 결과, 세계 각국에서는 국민들의 별다른 저항 없이 반민주주의적 조치들이 시행되고 있다. 코로나 시기 국가와 행정권의 강화 현상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습을 보인다. 실제로 여러 국가들이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치 영역에서는 민주주의의 위기가 가속화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장 김정연,「팬데믹 속 전쟁의 언어와 민주주의의 위기」에서
이 과정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팬데믹에 대한 공포가 한 사회가 위험한 집단으로 여기고 있는 소수 집단에 대한 증오를 품고 재생되고 영속화한다는 점이다. 스페인 독감 관련 루머의 경우 독감 발생 이전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미국 사회에 만연하던 독일 스파이에 대한 공포에 기반하고 있다. 바이러스가 독일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유포되었다는 음모론은 사실 독일에 대해서 미국 사회가 가지고 있던 편견, 독일인이 배신자라든가 혹은 미국 사회의 아웃사이더라는 편견에 기반한 것이었다. 루머에 의하면 독일 스파이들이 잠수함을 타고 와서 해안에 상륙하여 바이러스를 퍼뜨리거나 미국에서 적극적으로 유포했다는 것이다. 이 당시 독일인 일반을 ‘암적 존재’라고 부르는 일도 흔했다.
- 2장 이병재,「가짜뉴스와 팬데믹의 “디지털 결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