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2519555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3-05-03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미중관계의 역사적 맥락
01 미중관계, 어떻게 여기까지 왔고 이제 어디로 갈 것인가?
02 관여는 여전히 최선의 대중국 정책인가?
03 중국은 왜 미국의 최애 위협인가?
04 중국은 미국을 어떻게 보는가?
05 대중국 정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06 누가 중국공산당에 들어가며, 누가 당의 간부가 되는가?
2부. 세계 질서
07 새로운 세계 질서에 중국을 위한 자리는 있는가?
08 중국은 자유주의 세계 질서를 약화시키려 하는가?
09 중국은 인도주의적인 개입을 바꾸려고 하는가?
10 중국의 경제적 성공은 독재가 민주주의보다 우월함을 증명하는가?
3부. 세계 속의 중국
11 중국의 대외 이미지 재구축이 미국에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12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와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13 중남미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증대는 미국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14 중국의 흥기는 미국-유럽 파트너십을 위협하는가?
15 중국은 아프리카에서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가?
16 서방은 중러관계를 우려해야 하는가?
4부. 안보
17 중국의 국력은 미국의 국력에 비해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18 중국의 국가 안보관은 무엇인가?
19 중국은 미국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가?
20 신생 기술과 역량은 장차 미중 간 군사 경쟁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5부. 발화점
21 북한을 대하는 미중의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은 어떤 상황으로 이어질 것인가?
22 대만은 미중관계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23 미국은 왜 홍콩에 관심을 가지는가?
24 신장에서의 인권유린에 대해 미국이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이며, 그에 관련된 국익은 무엇인가?
25 중국은 왜 남중국해에 인공 섬을 만들고 군사기지화하는가?
6부. 경제
26 미중 무역 전쟁에서 승자는 누구이고 패자는 누구인가?
27 중국의 당-국가 자본주의는 세계 자본주의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28 런민비(人民幣)는 달러의 경쟁자가 될 수 있을까?
29 미국은 중국의 간첩 활동에서 어떻게 지식재산을 지킬 수 있을까?
30 중국은 서방을 따라잡고 있는가? 미국이 중국의 중산층을 의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7부. 보건, 과학, 기술
31 불신의 시대에도 기후변화 공동 대응이 가능할까?
32 미국은 인프라 문제에 대해 중국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33 미중관계에서 기술은 무엇이 문제인가?
34 중국은 빅테크 기업 규제에서 지도적 위치에 설 것인가?
35 중국이 달의 뒷면에 착륙한 최초의 국가라는 사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36 미중의 글로벌 보건 의료 협력은 윈-윈인가?
8부. 사회
37 중국에서의 ‘미투 운동’이란 무엇인가?
38 미국은 왜 중국의 시민사회를 지원해야 하며,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39 공자학원은 미국 대학교에 속하는가?
40 미국 대학들은 중국과 관계해야 하는가?
9부. 문화
41 왜 중국의 대중문화는 중국 밖에서는 인기가 많지 않은가?
42 서구의 독자들은 21세기 중국 작가들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43 떠오르는 중국 시장은 세계 미술계를 재편성할 것인가?
44 미중관계에 종교는 문제가 될까?
45 미중관계에 인종은 문제가 될까?
46 오늘날 중국에서 과거는 어떻게 현재에 기여하는가?
감사의 글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앤토니 블링컨 미 국무 장관은 2021년 3월, 취임 후 얼마 지나지 않았을 무렵에 한 공식 석상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대중국 정책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우리와 중국의 관계는 필요할 때는 경쟁적이고, 가능할 때는 협력적이며, 불가피할 때는 적대적일 것입니다.” 그리고 덧붙였다. “어떤 경우라도 우리가 힘의 우위를 가지는 상태에서 중국에 관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_ 〈서문〉 중에서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에 대한 중국의 위협은 단지 상상 속의 괴물은 아니다. 중국의 부상이 자유주의 질서의 일부를 무너뜨린 것은 맞다. 중국이 경제개발과 통치의 대안을 제시함에 따라, 미국과 서구 동맹국들은 다른 세계를 상대로 조언, 통제, 지도하는 일에 점점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에게 있어서 자국의 글로벌 패권이 침식당하는 일은 그 패권을 유지하는 게 최우선 목표인 국가 안보 체제 자체가 위협받는 일이다. 따라서 중국이 미국의 글로벌 패권의 유일한 도전은 아니라도, 군산복합체에 계속 힘을 실어줄 가장 편리하고 가장 설득력 있는 도전이라고는 할 수 있다. - 〈중국은 왜 미국의 최애 위협인가?〉 중에서
중국의 행동이 얼마나 미국인의 삶에 영향을 주며, 얼마나 미국 언론에서 주목받는지를 생각하면, 모든 정책 결정이 정치적 고려와 동떨어진 채로 냉정하고 무심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건 망상일 것이다. 그러나 같은 맥락에서, 중국 관련 정책 결정을 해당 시점의 지배적인 정치 기류에 맡겨 버리는 일은 위험하다. 정치적 편의와 국익이 같은 결로 가지 않는 때가 있기 때문이다. 대중국 정책이 오로지 정치적 렌즈를 통해서만 평가될 때, 그것은 일부러 거친 태도를 보이도록 부추기고, 되도록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도록 몰아가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 결정은 단기적인 정치적 영향과 장기적인 전략적 이해를 모두 고려해 이뤄져야 한다. _ 〈대중국 정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