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 모빌리티와 도덕성

도시 모빌리티와 도덕성

(도시의 기술과 철학)

셰인 엡팅 (지은이), 김나현 (옮긴이)
앨피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시 모빌리티와 도덕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시 모빌리티와 도덕성 (도시의 기술과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2647272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4-01-30

책 소개

도시의 교통수단이라는 도덕적 얽힘을 고찰하도록 초대하는 보기 드문 책이다. 과거에 고정된 시선으로 21세기를 달려 나가고 있는 학문 풍토 속에서 이 책의 저자 셰인 엡팅은 가치 있는 질문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분석을 보여 준다.

목차

■ 감사의 말
■ 머리말

1장 앞으로의 길

2장 이동과 사고

요나스 기술윤리학의 약속
도시를 위한 기술을 위해

3장 사고, 이동, 부분
부분전체론적 사고방식과 교통 시스템
도시 모빌리티와 단일기술포화
도시 모빌리티와 다중기술분산

4장 이동, 부분, 도덕성
구조윤리학과 교통기술: 도덕적 순서를 향하여

5장 도덕적 순서를 향한 길
생태중심주의와 교통 문제에 대한 적용
교통 문제에서 생태중심주의의 문제점

6장 도시 모빌리티에서의 도덕적 우선순위
내재적 가치와 도시 모빌리티
교통에서의 약한 인간중심주의
약한 인간중심주의와 도덕적 순서

7장 사랑, 존중, 그리고 도시 모빌리티
고속도로처럼 생각하기

8장 이동, 사고, 협력
비전문가와 교통 전문가 사이의 긴장

9장 도덕적 순서와 가치 있는 목표
교통 전문가, 도덕적 찬사, 그리고 도시 모빌리티 재편
도시 주민, 도덕적 찬사, 도덕적 존중, 그리고 도시 모빌리티 재편
미래 연구 분야: 안락의자에서부터 거리까지

10장 사고, 이동, 미래
자율주행차(AVS)의 가정적 관점
불완전한 선례로서의 교통 네트워크 회사(TNCs)
자율주행차와 불확실한 미래

■ 미주
■ 참고문헌

저자소개

셰인 엡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철학과 교수로, 도시철학연구회the Philosophy of the City Research Group의 공동창립자이다. 여러 이해당사자 관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윤리적인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연구하며, 도시철학과 교통정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도시계몽: 다중이해관계자 참여와 도시Urban Enlightenment: Multistakeholder Engagement and the City》(2023), 《농업비즈니스의 윤리: 글로벌 식량 문제와 정의Ethics in Agribusiness: Justice and Global Food in Focus》(2022), 《도시 구하기: 도시 기술의 분류학Saving Cities: A Taxonomy of Urban Technologies》(2021), 《도시 모빌리티와 도덕성: 도시의 기술과 철학The Morality of Urban Mobility: Technology and Philosophy of the City》(2021)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만약 집에서 직장 혹은 파트타임 일터까지 이동하느라 매일 3~5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그 사람이 사회적·경제적 발전을 이룰 수단을 스스로 결정하리라 기대하는 건 완전히 비현실적이다. 취약계층, 소외계층, 경제적 약자, 소득이 고정된 노령층은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교통 시스템이 이들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아예 기본 한계선을 설정하는 성문화된 프로토콜 너머에 있기 때문이다.


도시 모빌리티의 미래를 둘러싼 학제간 연구 및 다학제 연구에서 현재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 중 하나가 자율주행차 연구이다. 자율주행차가 도시경관을 지배하는 현실이 당장 우리 눈앞에 펼쳐진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가능성과 궁극적인 현실을 연구하는 것은 자율주행차 문제를 도시환경에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와 관련된 여러 고려 사항을 탐구하게 해 준다. 이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와 교통 당국에도 철저히 물어야 한다. 누가 그런 결정을 할 것인가?


이로써 도덕적 우선순위를 다루는 캘리콧의 접근 방식이 교통 문제에서 이해당사자의 다양성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전시켰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전에, 그의 생태중심주의에 내재된 개념적 한계를 직시하고 극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 절에서는 캘리콧과 다른 환경철학자들이 생태중심주의를 어떻게 정의하고 위치 짓는지 살펴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