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9119291391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07-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정몽주, 그는 누구인가?
2장 조선시대 사람들의 정몽주 인식과 평가
3장 정몽주의 출생과 성장
4장 성리학자 정몽주
5장 군사 행정가 정몽주
6장 외교 전문가 정몽주
7장 개혁과 혁명의 갈림길에서
8장 다시, 정몽주는 어떤 사람인가?: 기존 인식의 재검토와 새로운 이해 모색
보론: 정몽주와 선죽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장 정몽주, 그는 누구인가?
정몽주는 1389년(창왕 1)에 흥국사에 모여서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하기로 결의한 아홉 명의 공신 중 한 사람이었다. 그 아홉 공신 중에는 이성계, 정도전, 조준 등 조선 건국의 주역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새 나라를 건설하는 혁명을 추진했던 이성계, 정도전 등과 맞서 고려 왕조를 지키기 위해 싸웠던 정몽주가 그전에 그들과 함께 창왕을 폐위하는 일에 앞장섰다는 사실에 당혹스러워하는 독자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는 조선시대 학자들도 상당히 혼란스러워했다.
1장 정몽주, 그는 누구인가?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역사 속의 위인들도 예외는 아니다. 위인전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그 삶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당연히 잘했고 칭송받을 만한 업적도 있지만 실수나 잘못으로 인해 비판받을 점도 분명히 있다. 다만 그 위인들이 세운 공적과 그것이 후대에 미친 영향력이 훨씬 크고 중요하기 때문에 그들의 단점이나 잘못은 상대적으로 가려져 있을 뿐이다. 그런데 역사적 위인의 삶이 신화화되는 순간 비판이나 이견이 용납되지 않고, 정당한 문제 제기조차도 위인의 업적을 폄훼하려는 불순한 의도로 매도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2장 조선시대 사람들의 정몽주 인식과 평가
정몽주가 창왕 폐위를 주도했다는 것은 창왕이 왕씨가 아님을 알고 있었다는 의미가 된다. 그것이 아니라면 이성계 세력이 정권 장악을 위해 창왕을 신돈의 자손으로 몰아 폐위할 때 정몽주가 항거하지 않고 동조한 것이 된다. 둘 중 어느 쪽으로 해석하더라도 정몽주를 충신으로 생각하는 입장에서는 쉽게 납득하기 어려웠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