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92981802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5-02-21
목차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개념과 접근법, 환경의 변화
ㅣPoint 1ㅣ 인적자원관리의 패러다임(Paradigm) 14
ㅣPoint 2ㅣ HR이론의 발전:과학적 관리법,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적 접근 18
ㅣPoint 3ㅣ 4차 산업 혁명과 기그 근로자(Gig Worker), 인력확보의 변화 방향 22
ㅣPoint 4ㅣ 4차 산업 혁명이 노동수요과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및 플랫폼 노동 25
ㅣPoint 5ㅣ 디지털 인적자원관리와 HR Analytics / 조직민첩성 29
ㅣPoint 6ㅣ 인적자원관리의 발전단계와 한국의 HR 32
ㅣPoint 7ㅣ 전략계획과 인적자원관리의 연계 / 전략경영 프로세스 36
ㅣPoint 8ㅣ 유형과 인적자원관리 40
ㅣPoint 9ㅣ HRM의 접근방법:보편론, 상황론, 구성(형태)론 44
ㅣPoint 10ㅣ Miles & Snow의 전략유형:공격형, 방어형, 분석형 전략 등 49
ㅣPoint 11ㅣ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과 인적자원관리 53
ㅣPoint 12ㅣ 전략적 상황이론과 자원기반관점(RBV)의 비교 55
ㅣPoint 13ㅣ 조직수명주기와 인적자원관리 57
ㅣPoint 14ㅣ 고령화시대의 인적자원관리 62
ㅣPoint 15ㅣ 직장 내 성희롱 68
ㅣPoint 16ㅣ IT기업의 경영전략과 HR전략 검토 72
제2장 채용관리(인적자원관리, 모집, 선발)
ㅣPoint 17ㅣ 채용의 변화방향과 EVP, 그리고 채용절차법 78
ㅣPoint 18ㅣ 인적자원계획:HR Rrcruitment Process의 시작 84
ㅣPoint 19ㅣ Recruitment와 P-O fit, P-j fit 등의 문제들 88
ㅣPoint 20ㅣ 고용브랜드와 EVP 95
ㅣPoint 21ㅣ 선발 관련 이론적 정리와 온보딩 98
ㅣPoint 22ㅣ 선발의사결정시 AI의 활용 / 선발의사결정의 오류 102
ㅣPoint 23ㅣ 면접(Interview)의 새로운 유형들:BEI, 상황면접, 역량기반면접 107
ㅣPoint 24ㅣ 조직사회화와 심리적 계약 113
제3장 직무기반 HR과 역량기반 HR
ㅣPoint 25ㅣ 직무 관련 개념들 및 직무의 특징 118
ㅣPoint 26ㅣ 직무분석의 내용 / 직무주의와 역량주의 121
ㅣPoint 27ㅣ 직무분석의 개념, 절차, 최근 변화방향 125
ㅣPoint 28ㅣ 속인주의와 직무주의의 비교/분석 ① 129
ㅣPoint 29ㅣ 속인주의와 직무주의의 비교/분석 ② 136
ㅣPoint 30ㅣ 전통적인 직무와 팀 직무 비교 143
ㅣPoint 31ㅣ 직무분석 및 직무평가의 기법 / 내로우밴드와 브로드밴드 147
ㅣPoint 32ㅣ 직무분석의 한계 및 역량 개념의 대두 154
ㅣPoint 33ㅣ 직무설계에 관한 여러 접근방식 / 사회․기술시스템이론 157
ㅣPoint 34ㅣ 직무설계 관련 ①:직무순환(Job Rotation), 직무특성모형(JCM) 160
ㅣPoint 35ㅣ 직무설계 관련 ②:원격근무와 교대제 근무 164
ㅣPoint 36ㅣ 직무설계 관련 ③:잡 크래프팅(Job Crafting) 168
ㅣPoint 37ㅣ 직무설계 관련 ④:엔데믹(Endemic) 시대의 직무설계 등 172
제4장 성과관리와 평가관리
ㅣPoint 38ㅣ 성과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 178
ㅣPoint 39ㅣ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 MBO / 다면평가 등 182
ㅣPoint 40ㅣ OKR과 KPI 비교 분석 188
ㅣPoint 41ㅣ 성과관리:기대이론의 적용, 오염과 결핍 / BARS 등의 기법들 192
ㅣPoint 42ㅣ BSC에 대한 정리:4가지 관점, 전략지도, KPI 199
제5장 교육훈련과 인적자원개발, 경력관리
ㅣPoint 43ㅣ 교육훈련의 새로운 방식(유형)들 204
ㅣPoint 44ㅣ 코칭과 멘토링 / 직무순환, 전문가제도, 승계계획 208
ㅣPoint 45ㅣ Holland와 Kristof-Brown의 경력관련 이론 검토 211
ㅣPoint 46ㅣ 경력경로 / 경영환경의 변화와 심리적 계약 216
ㅣPoint 47ㅣ AMO모델과 HR정책 / 심리적 계약의 개념, 특성과 HR정책 221
ㅣPoint 48ㅣ 심리적 계약의 변화방향 / 심리적 계약 위반 226
ㅣPoint 49ㅣ 경력개발 관련 이론 검토 229
ㅣPoint 50ㅣ 전통적 경력과 무경계 경력 / 경력개발 프로그램 235
ㅣPoint 51ㅣ Brousseau 등의 다중경력경로(multiple career concept model) 239
ㅣPoint 52ㅣ 고용환경의 변화와 심리적 계약 / 새로운 경력유형의 대두 242
ㅣPoint 53ㅣ 이중경력의 문제 검토 248
ㅣPoint 54ㅣ 경력성공과 경력정체 250
ㅣPoint 55ㅣ 탤런트 매니지먼트(TM)에 대한 이론적 검토 254
ㅣPoint 56ㅣ 승진관리에 대한 총괄적 이해 260
ㅣPoint 57ㅣ 승진제도 유형의 새로운 접근 263
제6장 임금과 복리후생
ㅣPoint 58ㅣ Belcher의 보상에 대한 거래차원 5가지 270
ㅣPoint 59ㅣ 속인주의 vs 직무주의 관점에서의 임금체계 272
ㅣPoint 60ㅣ 연공급, 직무급, 직능급 등에 대한 검토 276
ㅣPoint 61ㅣ 임금피크제의 내용, 문제점, 그리고 직무(재)설계 279
ㅣPoint 62ㅣ 임금피크제의 발생배경, 유형, 내적 적합성(internal fit) 등 283
ㅣPoint 63ㅣ 전통적 직무급과 브로드밴딩의 검토 286
ㅣPoint 64ㅣ 브로드밴딩과 기술급에 대한 검토 294
ㅣPoint 65ㅣ 역할급에 대한 이론적 검토 298
ㅣPoint 66ㅣ 역량주의 인적자원관리와 역량급 301
ㅣPoint 67ㅣ 임금구조의 설계:직무급과 관련하여 309
ㅣPoint 68ㅣ 임금분산(임금격차) 등에 대한 검토 315
ㅣPoint 69ㅣ 스톡옵션과 스톡그랜트 그리고 대리인 이론 319
ㅣPoint 70ㅣ 개인 기준 성과급, 집단 기준 성과급, 조직 수준 성과급 323
ㅣPoint 71ㅣ 임금공정성에 관한 이론적 분석 및 최근 이슈 327
ㅣPoint 72ㅣ 보상철학 / 경영전략과 보상전략의 연계 330
ㅣPoint 73ㅣ 개인 성과급과 집단 성과급의 검토 333
ㅣPoint 74ㅣ 성과임금의 이론적 배경:동기부여 이론 관련 337
ㅣPoint 75ㅣ 대리인 이론과 토너먼트 이론의 검토 342
ㅣPoint 76ㅣ 복리후생:법정복리후생 / 홀리스틱복리후생 345
ㅣPoint 77ㅣ 선택적 복리후생제도 349
ㅣPoint 78ㅣ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에 대한 분석 ① 353
ㅣPoint 79ㅣ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에 대한 분석 ② 356
제7장 유지관리 및 이직관리
ㅣPoint 80ㅣ 재량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분석 362
ㅣPoint 81ㅣ 재택근무제와 하이브리드 근무제 366
ㅣPoint 82ㅣ 직무수행공간(장소)의 변경을 통한 직무재설계 373
ㅣPoint 83ㅣ 스마트워크(Smart Work)에 대한 전반적 검토 378
ㅣPoint 84ㅣ 이직과 총보상 / 직무배태성 385
ㅣPoint 85ㅣ 자발적 이직의 관리와 유지(Retention) 전략 388
ㅣPoint 86ㅣ 경영권 그리고 지도와 징계 393
ㅣPoint 87ㅣ 저성과자 인적자원관리 398
ㅣPoint 88ㅣ 다운사이징의 개념, 유형, 프로세스 등 402
제8장 고용(노사)관계론, 글로벌인적자원관리, ETC
ㅣPoint 89ㅣ 노동조합의 임금효과 / 노동조합의 두 얼굴 410
ㅣPoint 90ㅣ 산별교섭체제에 대한 분석:기업별 노조와의 비교 413
ㅣPoint 91ㅣ 노조화 이론 / 노조화 방지전략 등에 대한 분석 417
ㅣPoint 92ㅣ Walton과 Mckersie의 노사협조모델 / 의사결정참가제도의 유형 424
ㅣPoint 93ㅣ 이른바 “일터혁신”과 고성과작업시스템(HPWS) 428
ㅣPoint 94ㅣ 경영참가:의사결정참가를 중심으로 429
ㅣPoint 95ㅣ 새로운 노동조합의 등장:준(準) 노조의 대두 433
ㅣPoint 96ㅣ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에 대한 검토 436
ㅣPoint 97ㅣ 고성과 인적자원관리:HPWS와 AMO모델 등 440
ㅣPoint 98ㅣ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검토 446
ㅣPoint 99ㅣ 외국인 근로자 인적자원관리 451
ㅣPoint 100ㅣ 외국인 고용허가제 분석 456
참고문헌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