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93035061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3-06-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5
제1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회계 상식 (회계 상식)
회계, 도대체 어디까지 알아야 하나? • 17
세무대리인은 당신의 사업에 관심 없다 • 21
회계를 모르고 어떻게 사업을 한다고? • 26
이제 회계를 장착하자 • 30
제2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회계 상식 (회계 용어)
차변과 대변이란? • 37
분개란 무엇인가? • 40
대차평형의 원리란? • 47
스톡과 플로란? • 51
제3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회계 상식 (재무제표)
기본부터 배우자 (현금출납장의 한계) • 61
기본부터 배우자 (재무상태표) • 67
기본부터 배우자 (손익계산서) • 70
기본부터 배우자 (복식부기) • 74
기본부터 배우자 (재무제표의 연관성) • 79
제4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재무제표 작성하기 (기본)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자본금 기록) • 85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차입금, 비용 기록) • 89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유형자산) • 93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매출과 매입) • 96
제5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재무제표 작성하기 (활용)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외상거래의 이해) • 101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 106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외상매입금 지급) • 109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차입금 상환) • 112
제6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재무제표 작성하기 (결산)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감가상각의 이해) • 117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재고조사) • 121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세금) • 124
내 손으로 직접 작성해 보자 (기업이 만드는 현금출납장) • 127
제7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관리회계 이해하기
당신의 경영 도구에 회계를 장착하자 • 135
매출을 2배로 늘리는 가장 쉬운 방법은? • 139
반드시 이 두 개념을 구분해야 한다 • 144
메뉴를 줄여야 해요 • 148
이 순서를 반드시 기억하자 • 153
가성비는 어떻게 계산하나? • 159
제8부 알아두면 쓸모 있는 관리회계 활용하기
한계이익은 무엇인가? • 169
한계이익률은 무엇인가? • 174
회계를 통해 의사결정 하자 (한계이익 분석) • 177
쉽게 손익분기점을 계산해 보자 • 180
수익성을 분석하자 • 183
대표자를 지워도 괜찮은가 • 187
권말부록, 기록의 힘
기록의 시작 • 193
기록의 쓸모 • 198
기록의 진화 • 202
기록의 힘 • 206
기록이 준 선물 • 210
기록의 쓰임 • 21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세무회계는 국세청에 세금을 잘 신고하려고 필요한 규칙들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외부 사람들이 눈여겨보는 것과 세금징수를 위해 국가가 주의 깊게 보는 것이 다르므로, 재무회계와 세무회계는 80~90%가 비슷하지만, 10~20%는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접대비의 경우 재무회계는 지출금액에 상관없이 모두 비용으로 인정하지만, 세무회계에서는 과도한 접대비 지출을 규제하기 위해 일정한 한도를 넘는 접대비는 비용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이런 기준과 방식의 차이로 인해 기업에는 재무회계 외에 세무회계가 별도로 필요합니다.
<세무대리인은 당신의 사업에 관심 없다>
해보지도 않고 회계를 익히는 데는 제법 큰 노력과 시간이 들어갈 거라는 고정관념으로 항상 바쁜 사업주들에게 회계는 늘 우선순위에서 뒷전으로 밀리고 맙니다. 그런데 막상 해보면 생각만큼 회계 공부는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하루만 공부해도 충분합니다. 또 배운 즉시 써먹을 수도 있고, 매출을 올리는 방법까지 보일 것입니다. 어떤가요? 해볼 마음이 생겼나요? 여러분은 앞으로 다음 두 가지 무기를 갖게 될 것입니다.
<회계를 모르고 어떻게 사업을 한다고?>
모든 기업은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합니다.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로 자신들의 영업 활동을 설명하면 기업은 사회적으로 신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 기업은 그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로 평가받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경영자가 재무제표를 이해하지 못하면 사업을 할 수가 없습니다.
<기본부터 배우자_재무제표의 연관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