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예술/사찰
· ISBN : 979119345410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3-11-22
책 소개
목차
『삶이 고(苦)일 때 붓다, 직설과 미술』에 대하여
<들어가며> 삶은 왜 고(苦)일까?_고성제의 원리
1장 붓다의 탄생지_룸비니
① 석가모니 붓다의 탄생 | <디팡카라의 수기>
② 붓다 탄생지의 발견 | <탄생>과 <관욕>의 장엄
2장 붓다 성지의 이정표_아소카왕
① 《아소카왕 석주》 | 불교에 귀의한 이유
② 석주 칙령 | 미술 속 아소카왕
③ 《다르마 차크라》 | 존재를 보는 요령
3장 붓다의 성도지_보드가야
① 기존 수행법, 모두 버리다 〈고행상〉 | 수자타의 공양 〈수자타 탑〉
② 깨달음의 장소 | 〈보리수와 금강보좌〉
③ 성도의 모습 〈대각사〉 | 깨달음과 하나되나 〈석가모니 대각상〉
④ ‘마왕’은 무엇인가? | 〈마하보디 사원〉 둘러보기
4장 붓다의 최초 설법지_사르나트
① 중생 구제를 위해 | 중도의 뜻 |〈다메크 스투파>
② 최초 설법의 내용 | 육계 여의주의 비밀
③ 행복에 이르는 길 | 깨달음의 연꼿 | 〈초전법륜상〉
5장 붓다의 포교지_라지기르, 카필라바스투
① 첫 교단, 불 밝히다 |〈죽림정사〉| 영축산
② 아버지와의 상봉 | 고향 땅의 신통과 설법
6장 붓다의 전법지_슈라바스티, 산카샤
① 기원정사 | 제따 태자와 급고독 장자
미술 속 기원정사 | 죽음의 문턱에서
② 말리까 왕비 | 빠세나디왕
③ 쌍신변의 기적 | 천불화현의 원조
7장 붓다의 최후 설법지_바이샬리, 케사리아
① 대림정사 | 마지막 교화
② 이별의 땅 | 붓다의 발우〉
8장 붓다의 열반지_쿠시나가르
① 빠리닙바나 |〈붓다 열반상〉
② 마지막 유언 |사리 전쟁과 사리 분배
<나가며> 고(苦)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_집성제의 원리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떻게 하면 고통에서 벗어나는가?] “붓다의 생애는 ‘고(苦)’라는 실존적 문제를 풀기 위한 여정이다. 성지 속 붓다의 족적을 따라가며 ‘존재의 고통’에서 벗어나 보자.”
[붓다 성도의 생생한 과정] ‘다르마 차크라(Dharma-cakra)’는 한자로 ‘법륜(法輪)’으로 번역되며, 아소카왕 석주의 가장 꼭대기를 장식하는 핵심 도상이다. 즉, 만인에게 법륜을 하늘 높이 보이기 위해 석주를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법륜이 상징하는 바는 크다. 법륜은 ‘궁극의 깨달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석가모니 붓다 또는 불교 그 자체를 상징한다.
[깨달음의 형상과 원초적 신성성] 대승불교의 불신관 또는 우주관은 법신에서 시작한다. 법신에서 보신이 일어나고, 보신에서 응신이 일어나는 <법신→보신→응신>의 ‘삼신의 원리’. 이것이 존재의 원리이자, 불교미술의 원리라고 언급했다. 이것의 조형 원리는 법신은 ‘원상’으로, 보신은 ‘연꽃’으로, 응신은 (중생의 눈에 보이는) ‘붓다’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