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93476024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03-14
책 소개
목차
1장 서양 사회, 세계사의 시작과 건축
1 고대 문명기 : 이집트·메소포타미아 문명
- 이집트 피라미드, 메소포타미아 지구라트
2 그리스, 신들의 사회 : 아테네의 신전
- 그리스 파르테논
3 로마의 번영 : 로마제국, 서양을 지배하다
- 이탈리아 콜로세움·수도교·아피아 가도
4 중세 시대 전기 : 로마네스크 건축
- 독일 슈파이어 대성당, 이탈리아 피사 대성당
5 중세 시대 후기 : 고딕 건축
- 프랑스 노트르담 대성당·샤르트르 대성당, 독일 퀼른 대성당
6 이슬람의 탄생 : 무어 건축
- 튀르키예 하기야 소피아·블루 모스크, 스페인 알람브라 궁전
7 르네상스 시대 : 인간성의 회복
- 이탈리아 피렌체 대성당
8 바로크와 로코코 : 일그러진 진주와 조개 장식
-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 오스트리아 쇤브룬 궁전
9 근대의 시작 : 장식은 범죄다
- 오스트리아 로스 하우스
10 산업혁명 이후 : 거장들의 시대
- 독일 바우하우스·파구스 공장, 프랑스 빌라 사보아, 에스파냐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핀란드 파이미오 결핵요양소, 미국 낙수장·솔크 생물학 연구소, 방글라데시 국회의사당
11 철의 등장 : 철골 구조와 초고층 건물
- 프랑스 에펠탑, 미국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12 자연에서 답을 찾다 : 아르누보에서 탈근대주의까지
스페인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오스트리아 훈데르트바서 하우스·슈피텔라우 쓰레기 소각장
2장 동양 사회, 자연과 발맞추는 건축
1 중국의 사상 :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
- 중국 천단
2 동양과 서양의 만남 : 인도·이슬람 건축
- 인도 타지마할·아그라 요새
3 동남아시아의 전성기 : 불교 건축
- 미얀마 바간, 태국 왓 포·왓 아룬
4 나무와 재료를 잇다 : 한국 전통 건축
- 충청남도 수덕사, 경상북도 부석사
5 배산임수를 갖춘 명당 : 한국 전통 마을
- 경상북도 양동마을 무첨당·하회마을 양진당
6 서양 옷을 입고 갓을 쓰다 : 제관 양식
- 충청남도 옛 부여박물관
3장 현대 사회, 새로운 시대를 담는 건축
1 철학을 바탕으로 짓다 : 건축 현상학
- 포르투갈 레사 수영장, 제주도 방주교회, 강원도 뮤지엄 산
2 공간을 비우고 연결하다 : 공간 위상학
- 네덜란드 쿤스탈 미술관, 서울시 서울대학교 미술관
3 디지털 시대, 자연의 원리를 빌리다 : 파라메트릭 건축
-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서울시 윤슬·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저자소개
책속에서
건축을 통해 세계사를 이해하는 것은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접근이기 때문에 모험이기도 하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모험을 하지 않으면 얻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건축은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며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시각과 방식으로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계사를 이해할 수 있다. _<이야기를 시작하며>
서양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주며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이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문명이고, 이를 상징하는 건축물이 ‘피라미드’와 ‘지구라트’이다. 이 건축물들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받기가 먼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형태가 매우 유사하다. 이런 사각뿔 형태는 특별한 설계나 소재 없이도 높고 크게 쌓기가 편리하기 때문에 세계 곳곳의 문명권에 비슷한 유적이 많이 건축돼 있다. 지극히 인공적인 기하학 형태의 건축물과 이를 만들어 낸 인류 최초의 문명에 대해 살펴보자. _<고대 문명기: 이집트·메소포타미아 문명>
베르사유 궁전은 프랑스 파리 외곽 도시인 베르사유에 있는 루이 14세의 왕궁이다. (…) 원래 이곳은 여름 별장이었으나 1682년 루이 14세가 파리 루브르 궁에서 베르사유로 거처를 옮겨, 1789년 왕가가 수도로 돌아갈 때까지 앙시앵 레짐(프랑스 혁명 전의 절대군주 시기) 권력의 중심지였다. 베르사유 궁전은 바로크 건축의 대표 건축물로, 호화로운 건물과 광대하고 아름다운 프랑스식 정원에 1,400개의 분수, 700여 개의 방, 특히 ‘거울의 방’으로 유명하다. 이 방은 벽과 천장이 베네치아산 거울로 된 길이 73m의 크기로, 12세기 중반 프랑스를 대표하는 문장(국가, 단체, 집안 등을 나타내는 그림이나 문자)인 백합 모양이 장식돼 있다. 1919년 제1차 세계대전을 형식적으로 마무리지었던 ‘베르사유 조약’이 이루어진 곳이기도 하다. _<바로크와 로코코: 일그러진 진주와 조개 장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