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방의 역사

소방의 역사

(불과 싸워온 인류사)

송병준 (지은이)
부키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31,500원 -10% 2,500원
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2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500원 -10% 1220원 20,830원 >

책 이미지

소방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방의 역사 (불과 싸워온 인류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93528143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빅뱅 134억 년 후 지구에 불이 일어날 3요소가 갖추어지고 142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가 불을 활용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소화약제, 소방 도구와 기술, 소방차, 경보 및 피난 시설, 대화재의 경험과 교훈, 소방 조직과 소방관의 삶에 이르기까지 불과 싸워 온 인류의 경험과 지식을 빼곡하게 담았다.

목차

추천사 004 | 머리말 011
들어가며: 인류와 불의 역사 023

1부 소화약제의 역사 - 불을 끄는 물질들

1장 물, 가장 기본적 소화 물질 043
2장 불 끄는 작용을 하는 기체 이산화탄소 054
3장 분말 소화약제 062
4장 거품 소화약제 075
5장 할론 소화약제 089
6장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 기체 소화약제 107
7장 미분무 소화 설비 110
8장 미래의 소화약제는? 116

2부 소화 기구의 역사 – 작은 소방차

1장 불의 사용과 소화의 필요성 125
2장 불을 끄기 위한 최초의 기구 132
3장 양동이에서 소방펌프까지 134
4장 현대적 소화 기구의 등장 151
5장 소다산 소화기 162
6장 유리병 소화기 169
7장 가연물에 따른 소화 기구의 진화 178
8장 분말 소화기 189
9장 할론 소화기 196
10장 소화기의 의의와 교육의 필요성 200

3부 펌프, 유체역학, 동력기관 - 소방의 작동 원리

1장 필연적 발명품, 펌프 213
2장 소방펌프의 흡입력과 유체역학 243
3장 증기 펌프와 증기기관 259
4장 획기적 운송 수단 증기기관 차량 275
5장 액체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차량 281

4부 소방차의 역사 - 현대 소방력의 상징

1장 다양한 소화 기구의 변천 301
2장 영국의 수동 소방펌프 310
3장 미국의 수동 소방펌프 333
4장 소방대의 역할 확장과 수동 펌프 시대의 황혼 344
5장 증기기관 소방펌프 357
6장 내연기관 소방차 370
7장 사다리차, 특수 목적의 소방차 386
8장 우리나라 소방차의 역사 404
9장 현대 사회에서 소방차의 의의 408

5부 스프링클러의 역사 - 건축물 화재의 수호자

1장 스프링클러의 원형 419
2장 산업의 변화와 다공관 살수 설비 429
3장 스프링클러 헤드 437
4장 현대적 스프링클러 설비 444
5장 스프링클러의 기능과 신뢰성 향상 467
6장 창고용 스프링클러 소화 설비 481
7장 주택용 스프링클러 소화 설비 495
8장 스프링클러의 미래 500

6부 경보 설비의 역사 - 건축물 화재의 파수꾼

1장 화재 발견의 골든 타임 509
2장 도시의 화재경보 514
3장 화재의 신고 528
4장 건축물 내부의 화재경보 560
5장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들 574
6장 우리나라와 일본의 화재경보 시스템 592
7장 경보 설비의 생명은 신속성과 정확성 595

7부 피난 설비의 역사 - 비상 출구와 유도등

1장 도시 방화의 변천 607
2장 비상시 대피하는 통로, 출구 614
3장 비상 출구의 필요성을 알린 대형 사고들 621
4장 유도등, EXIT, 出口标志 649

8부 소방관의 역사 - 불을 끄는 사람들

1장 소방관의 개인 안전 장비 667
2장 우리나라의 소방의 역사 677
3장 우리나라 소방공무원의 일 692

저자소개

송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에서 태어난 인천소방본부 소속 소방관이다. 2006년 소방공무원으로 임용되어 인천소방본부 산하 공단소방서, 남부(미추홀)소방서, 인천소방학교에서 근무했고, 소방청 중앙소방학교에서 교수 요원, 화재 교관으로 3년 근무한 후 다시 인천에서 현장 대원으로 일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중앙소방학교의 교수 요원으로 근무하며 소방공무원 공통 교재의 재·개정에 참여했고, 화재 교관으로 근무하며 실화재 훈련장의 연료 적재 방법 개선 및 사용자 매뉴얼을 작성했다. 기계와 기구 및 사물을 기존과는 다른 시각으로 관찰하고 원리를 파악해 새롭게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으며, 이를 통해 혁신을 추구하고 도전하는 데 적극적이다. 2019년 〈소방 교육·훈련에서의 가상현실(VR)의 매체특성과 부작용 및 사용자 경험 평가를 통한 개선사항 제시〉라는 연구 논문으로 제24회 전국 소방공무원 교육훈련대회에서 전국 1위, 제37회 국가인재원 주관 공공 HRD 콘테스트에서 3위에 입상했다. 2021년에는 행정안전부 주관 재난안전통신망 서비스 아이디어 공모전에 출전해 ‘단말기 중계 서비스’ 아이디어로 사용 기관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소화약제가 발전해 온 궤적을 살펴보면 사회를 바꿀 만한 신기술이 활용되는 이면에는 새로운 화재가 발생했고, 또 화재로 인해 숱한 피해를 입은 이후에야 비로소 소화약제가 개발되는 공통의 과정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지금도 그런 와중에 있다. 전기차의 시대로 전환되며 그 동력원인 리튬 배터리가 타는 새로운 유형의 화재가 문제로 떠오른 것이다.


우리나라 법에서 정하고 있는 소화 용수 설비 중 대표적 시설인 소화전도 1908년 서울에 상수도가 설치되던 시점에 소화전 설비도 함께 놓였다. 도시 기반 시설로 상수도망이 구축되고 사용이 원활해져야 물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약제로서 유용성을 가진다는 관점에서 이때부터 도시에서 적극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모든 가연물의 종류와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약제는 없다. 진압 후 오염이 적은 친환경 소화약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 산업의 변화에 앞서 소화약제가 개발된 적도 없다. 새로운 산업 기술이 등장하면 안전보다 이익의 유인이 우선해 왔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소화약제의 개발과 규제는 희생자들이 생겨야만 마련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화재가 발생할 때 어려운 가운데서도 소화약제 역시 이에 적응해 오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익을 추구하는 산업의 목적보다 인명 보호라는 가치가 더 중요하다는 당연한 사실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528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