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93528143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004 | 머리말 011
들어가며: 인류와 불의 역사 023
1부 소화약제의 역사 - 불을 끄는 물질들
1장 물, 가장 기본적 소화 물질 043
2장 불 끄는 작용을 하는 기체 이산화탄소 054
3장 분말 소화약제 062
4장 거품 소화약제 075
5장 할론 소화약제 089
6장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 기체 소화약제 107
7장 미분무 소화 설비 110
8장 미래의 소화약제는? 116
2부 소화 기구의 역사 – 작은 소방차
1장 불의 사용과 소화의 필요성 125
2장 불을 끄기 위한 최초의 기구 132
3장 양동이에서 소방펌프까지 134
4장 현대적 소화 기구의 등장 151
5장 소다산 소화기 162
6장 유리병 소화기 169
7장 가연물에 따른 소화 기구의 진화 178
8장 분말 소화기 189
9장 할론 소화기 196
10장 소화기의 의의와 교육의 필요성 200
3부 펌프, 유체역학, 동력기관 - 소방의 작동 원리
1장 필연적 발명품, 펌프 213
2장 소방펌프의 흡입력과 유체역학 243
3장 증기 펌프와 증기기관 259
4장 획기적 운송 수단 증기기관 차량 275
5장 액체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차량 281
4부 소방차의 역사 - 현대 소방력의 상징
1장 다양한 소화 기구의 변천 301
2장 영국의 수동 소방펌프 310
3장 미국의 수동 소방펌프 333
4장 소방대의 역할 확장과 수동 펌프 시대의 황혼 344
5장 증기기관 소방펌프 357
6장 내연기관 소방차 370
7장 사다리차, 특수 목적의 소방차 386
8장 우리나라 소방차의 역사 404
9장 현대 사회에서 소방차의 의의 408
5부 스프링클러의 역사 - 건축물 화재의 수호자
1장 스프링클러의 원형 419
2장 산업의 변화와 다공관 살수 설비 429
3장 스프링클러 헤드 437
4장 현대적 스프링클러 설비 444
5장 스프링클러의 기능과 신뢰성 향상 467
6장 창고용 스프링클러 소화 설비 481
7장 주택용 스프링클러 소화 설비 495
8장 스프링클러의 미래 500
6부 경보 설비의 역사 - 건축물 화재의 파수꾼
1장 화재 발견의 골든 타임 509
2장 도시의 화재경보 514
3장 화재의 신고 528
4장 건축물 내부의 화재경보 560
5장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들 574
6장 우리나라와 일본의 화재경보 시스템 592
7장 경보 설비의 생명은 신속성과 정확성 595
7부 피난 설비의 역사 - 비상 출구와 유도등
1장 도시 방화의 변천 607
2장 비상시 대피하는 통로, 출구 614
3장 비상 출구의 필요성을 알린 대형 사고들 621
4장 유도등, EXIT, 出口标志 649
8부 소방관의 역사 - 불을 끄는 사람들
1장 소방관의 개인 안전 장비 667
2장 우리나라의 소방의 역사 677
3장 우리나라 소방공무원의 일 692
저자소개
책속에서
소화약제가 발전해 온 궤적을 살펴보면 사회를 바꿀 만한 신기술이 활용되는 이면에는 새로운 화재가 발생했고, 또 화재로 인해 숱한 피해를 입은 이후에야 비로소 소화약제가 개발되는 공통의 과정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지금도 그런 와중에 있다. 전기차의 시대로 전환되며 그 동력원인 리튬 배터리가 타는 새로운 유형의 화재가 문제로 떠오른 것이다.
우리나라 법에서 정하고 있는 소화 용수 설비 중 대표적 시설인 소화전도 1908년 서울에 상수도가 설치되던 시점에 소화전 설비도 함께 놓였다. 도시 기반 시설로 상수도망이 구축되고 사용이 원활해져야 물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약제로서 유용성을 가진다는 관점에서 이때부터 도시에서 적극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모든 가연물의 종류와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약제는 없다. 진압 후 오염이 적은 친환경 소화약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 산업의 변화에 앞서 소화약제가 개발된 적도 없다. 새로운 산업 기술이 등장하면 안전보다 이익의 유인이 우선해 왔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소화약제의 개발과 규제는 희생자들이 생겨야만 마련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화재가 발생할 때 어려운 가운데서도 소화약제 역시 이에 적응해 오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익을 추구하는 산업의 목적보다 인명 보호라는 가치가 더 중요하다는 당연한 사실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