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93707258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02-28
책 소개
목차
제1장 인구의 이해
1. 인구 / 18
2. 인구연구의 분야 / 28
3. 인구조사와 인구통계 / 31
제2장 인구에 대한 관점
1. 맬서스 이전의 견해 / 44
2. 맬서스의 인구론 / 51
3. 맬서스 인구론에 대한 반론 / 58
4. 인구변천이론 / 61
제3장 인구의 변화
1. 인구 증가 / 68
2. 세계인구의 변화 / 72
3. 우리나라의 인구변화 / 90
제4장 인구의 분포와 밀도
1. 인구분포 / 98
2. 인구밀도 / 105
3. 도시의 인구분포 / 114
4. 우리나라의 인구분포와 인구밀도 / 125
제5장 인구구조
1. 인구구조의 이해 / 130
2. 인구 피라미드 / 132
3. 인구의 성별 및 연령별 구조 / 139
4. 인구의 경제적 구조 / 146
5. 인구구조의 사회적 변화 / 151
제6장 인구와 자원
1. 자원의 이해 / 162
2. 식량과 인구 / 168
3. 에너지 자원과 인구 / 184
제7장 인구와 출생
1. 출생 / 196
2. 출산력의 변화 / 201
3. 우리나라의 출생 / 208
제8장 인구와 사망
1. 사망의 이해 / 218
2. 세계의 사망력 / 222
3. 사망의 병학적 변천 / 228
4. 우리나라 사망력의 지리 / 235
제9장 사회변화와 인구
1. 가족 / 246
2. 결혼 / 253
3. 이혼 / 259
4. 가구 / 265
5. 건강 / 275
제10장 이주
1. 이주의 이해 / 290
2. 국내이주 / 304
3. 국제이주 / 311
4. 이주의 영향 / 321
제11장 인구정책
1. 인구정책의 이해 / 330
2. 세계의 인구정책 / 335
3. 우리나라의 인구정책 / 346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69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장 인구의 이해
인구변화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한 과도기가 지나면 한동안 안정기를 맞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이론과 통계 수치를 기준으로 파악한 결과, 앞으로 100년간 세계 인구의 대변동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이러한 예상이 정확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에이즈 같은 신종 바이러스가 갑자기 확산되거나, 아프리카 아열대 지방의 나라가 산아제한을 엄격하게 시행한다면 세계 인구가 어떻게 변할지 짐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으로 세계의 인구 변천은 국가 간의 경제적 상호 교류와 평화적 관계의 정착 여부에 크게 좌우될 것이다. 인구연구는 우리가 발전시킬 창조적 분야임에 틀림없다(롤레, 2011, 「세계의 인구」, p.5).
1. 인구
1) 인구와 인구현상
인구의 정의
인구의 의미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인구(人口)란 ‘여러 사람의 입’을 의미하는 어원을 갖는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구의 의미는 ‘일정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수’, ‘세상 사람들의 입’, ‘어떤 일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 또는 일정한 범주에 속하는 사람의 수’로 정의되고 있다. 인구의 정의가 다양하다는 것은 시대를 거치면서 그 의미가 조금씩 변화했음을 뜻한다.
인구를 학문으로 발전시킨 서구에서도 인구에 대한 개념과 정의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population’은 ‘특정한 국가, 지역, 장소에 살고 있는 사람 또는 특별한 형태와 집단의 사람이나 동물’을 의미한다(Cambridge Dictionary, 2016). 자연과학에서 ‘population’은 특별한 형태를 갖는 동물의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인구연구가 하나의 학문으로 등장한 19세기 중반부터 인구는 인간집단을 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권태환ㆍ김두섭, 2002).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중상주의, 중농주의 등을 포함하여)를 거치면서 인구는 사회와 국가의 관리 대상이 되었다. 즉, 인구는 노동(력), 생산(력), 국력의 토대로 인식되었다.
인구는 특정 장소에서 살고 있는 ‘사람의 수’를 의미함과 동시에, ‘집단의 특성’을 의미한다. 즉, 인구는 집단의 수와 특성을 동시에 의미하는 것으로, 인구 앞에 붙는 명사 혹은 형용사에 의해 그 의미가 구체화되는 경향이 있다(예: 세계인구, 한국인구, 여성인구, 도시인구, 고령인구, 학령인구 등).
인구현상
인구의 사전적 정의를 통해 인구현상(population phenomenon)의 의미를 유추하자면, 인구현상이란 ‘인구가 갖고 있는 특성’, ‘인구가 보여주는 상태’ 등을 의미한다. 우리가 ‘인구 1억 명’이라 할 때 이는 숫자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숫자가 보여주는 상태 또는 특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만약, 인도의 한 주(state)에 1억 명의 사람이 살고 있다면, 엄청 많은 인구에 해당한다. 하지만, 인접한 주의 인구가 2억 명이라면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가 될 것이다. 반면에, 인도의 한 시골 기차역에 5,000명이 기차를 타기 위해 운집해 있다면, 이는 과밀 상태의 인구로 이해될 수 있다.
인구현상이란 출생, 사망, 결혼, 이주 등 인구집단의 상태나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장소 또는 공간의 개별성(individuality)에 따라 그 의미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즉, 우리가 어떤 인구현상을 설명할 때, 이는 특정 공간과 장소의 인구 집단이 갖는 특성(또는 처한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는 아프리카의 인구현상을 어떻게 이해할까? 아마도 우리는 아프리카 인구가 5년 전보다 얼마만큼 증가했는가를 통해 아프리카를 이해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가 인구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아프리카의 모습은 아마도 다음과 같을 것이다. 아프리카는 못살면서 왜 인구가 많을까? 내전은 왜 발생하였고, 이번엔 얼마나 많은 난민이 발생할까? 미래 지구의 인구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일까? 아프리카의 굶주린 인구는 얼마이며, 이들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아프리카의 빈민을 돋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아프리카의 빈곤은 자체적으로 해결이 불가능한가? 이처럼 인구현상은 인구수 자체보다 인구와 관련된 지역의 사회적 현상, 이슈, 문제 등과 관련하여 이해된다.
인구현상에 대한 관심을 우리나라의 현실에 비춰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우리나라의 현실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왜 출산율이 낮아지며, 출산율이 높아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령인구의 감소는 교육현장과 사회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청년 실업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이는 우리 사회에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고령화는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며, 고령화에 대비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만혼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혼의 증가와 1인 가구의 증가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도시의 주택은 부족한데, 빈집은 왜 이슈가 되는가? 노동구조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주자의 증가는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이처럼 인구에 대한 관심은 인구수 자체보다 인구와 관련된 사회 현상의 이해에 있다. 이는 인구연구가 단순히 인구수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이해하는데 관심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인구연구는 학제적ㆍ통섭적 접근이 필요한 분야이다.
2) 인구현상과 사회
인구현상을 통한 사회의 이해
인구와 인구현상을 아는 것은 사회를 이해하는 출발점이다. 인구학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인구의 관계에 주목한다(비르크, 2006). 선진국과 관련된 주요 인구현상은 저출생, 고령화, 이주, 복지(건강, 보육 등), 취업(실업), 교육ㆍ지식ㆍ기술 등이 있으며, 개발도상국과 관련된 주요 인구현상은 인구증가율, 빈곤과 식량, 질병, 젠더, 아동의 건강 등이 있다. 이처럼 사회와 경제의 발전 수준에 따라 관심 있는 인구현상이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유럽의 근대화 과정에서 인구가 많았다는 것은 발전의 긍정적 요인으로 이해되지만, 현재의 개발도상국에서 인구가 많다는 것은 발전을 저해하는 과잉 상태로 이해된다(롤레, 2011). 즉, 과잉인구(overpopulation)란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회가 지탱할 수 있는 인구의 규모보다 더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한편, 적정인구(optimal population)의 범위를 넘어 선 인구 규모에 의해 발생하는 부담을 인구압(population pressure)이라 하는데, 인구압은 한 국가 또는 지역이 지탱할 수 있는 기초수요의 비용을 초과할 때 발생한다(Holdsworth, et al., 2013). 하지만 한 사회의 인구가 어느 수준일 때 인구압 상태인지 판단하기 어렵고, 현재 인구압을 느낀다고 해서 발전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하프ㆍ롬바디, 2015).
인구현상으로서 출생과 사망
출생ㆍ사망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구현상은 아마도 저출생과 고령화일 것이다. 저출생ㆍ고령화는 많은 선진국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의 인구구조를 변화시키는 핵심으로 이해된다.
저출생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ㆍ소년층 인구의 감소,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이로 인한 고령인구의 증가를 가져온다. 서부와 북부유럽의 국가들은 1970년대부터 저출생 현상에 주목하면서, 여성의 권리 신장과 육아ㆍ돌봄 서비스의 제도화를 통하여 출산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출생 장려를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쉽게 올라가지는 않는다(대개 1.2~1.9).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저출생 현상이 나타났고, 현재는 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국가가 되었다. 우리나라도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 출산율이 높아지지 않고 있다.
한편, 사망률의 감소는 전 지구적 현상이 되고 있다. 사망률이 감소하면서 기대수명이 증가하고, 전 세계가 고령화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저출생 현상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연령구조의 지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전쟁과 질병에 의해 급격한 연령구조의 변화를 경험했던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 인류는 처음으로 40대 이상의 인구가 50% 이상을 차지하는 시점에 도달하였다. 2020년 유럽의 중위연령은 42.5세였고, 2030년에는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중위연령이 40세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UN,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