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0901833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고-모빌리티 시대 포용과 공생의 공동체 _배진숙
1부 모빌리티와 인권/기본권
세일라 벤하비브의 세계주의 구상: 이주의 도덕성과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 _ 정채연
보편적 인권, 민주적 시민권, 그리고 세계주의
벤하비브의 세계사회 진단과 새로운 규범적 지도에 대한 요청
벤하비브의 세계주의 구상의 이론적 기초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
벤하비브의 민주적 반추
민주적 반추와 아포리아의 생성적 가능성
윤리적 경계boundaries가 아닌 절차적 국경borders으로의 전향
경계 위의 인권: 난민 문학의 인권 담론 _ 김경민
인간과 국민, 그 사이의 인권
고유명사 ‘찬드라’ vs. 보통명사 ‘난민’
괴물과 디스토피아를 상상하라
불편한 질문, ‘우리’란 누구인가
인구 변화와 이주의 발생학적 이해: 캐나다 이누이트를 사례로_ 이용균
들어가며
인구 관리와 이주자의 주변화
누나부트의 인구 변화
이누이트 이주의 발생학적 이해
이누이트 이주 요인과 이주 경로
이누이트 이주자의 주변화와 공동체 정치
맺는 말
2부 이동과 정동, 그리고 공동체
식민지 조선인의 이주와 문화적 실천: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_ 이은정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이주경험에 문화는 어떻게 개입했을까
식민지 조선인의 일본 이주와 의례적 실천
귀환에 개입한 문화적 규범
‘부단한 이동’에 개입한 문화적 실천과 전략
모더니티의 이동성과 난민이 된 청춘의 서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지방 출신 대학생의 도시 입사식入社式을 중심으로 _ 김은하
인간 실격의 불안과 지방민 의식
교양 청년의 탄생과 애도가 거부된 타자
오, 전라도여, 전라도여!: 환대받지 못한 이방인과 수치
맺음말
사회적 배제자로서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 탑골공원과 락희거리를 사례로 _ 정은혜
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종로 탑골공원과 락희거리
사회적 배제의 개념 검토
사회적 배제자로서 노인의 모빌리티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에 대한 분석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이 주는 의미: 포용의 시선에서
결론 및 제언
3부 모바일 공동체의 윤리
이주여성의 공동체 미디어 참여가 문화적 시민권 구축에 미치는 영향: 부산 지역 〈베트남 목소리〉 팟캐스트 사례를 중심으로_ 정의철·정미영
들어가는 말: 이주의 시대,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
미디어에 나타나는 이주민과 이주민의 미디어 참여
이주의 시대, 시민권의 변화와 문화적 시민권의 부상
공동체 미디어와 <베트남 목소리>의 전개
<베트남 목소리> 사례
<베트남 목소리>와 이주여성의 미디어 참여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와 문화적 시민권 구축
나가는 글: 시민으로서의 이주민과 미디어의 역할
도시공간과 축제, 그 윤리적 사유 _ 김숙현
도시와 도시공간에 대한 권리
도시공간은 도시 거주자들의 ‘작품’
공공공간의 전유와 공간의 재구성; 축제의 의미 찾기
축제, 공간과 역할 관계의 고정관념을 벗다
미적 공동체의 장으로
맺으며: 불가능성의 사유, 윤리
쿠바 한인 100년의 오디세이: 재미 쿠바 한인의 연속(돌발)적 트랜스내셔널 모빌리티 경험을 중심으로 _ 배진숙·김재기
쿠바 한인 이주 100주년을 맞이하며
미국의 쿠바인 디아스포라
멕시코·쿠바 한인
재미 쿠바 한인 연구참여자 정보
쿠바에서 미국으로의 재이주 동기와 경로
민족·인종정체성
언어, 문화, 사회적 관계
연쇄적 이주의 재조명과 디아스포라적 재결합 도모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계사회에 대한 벤하비브의 진단을 영토성의 위기, 국제인권레짐의 형성, 시민권의 분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벤하비브의 세계주의적 연방주의cosmopolitan federalism 구상에 있어서 사상적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칸트의 세계주의적 권리와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 개념, 그리고 이들의 논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을 검토한다.
우리 사회에 들어와 있는 난민을 대상으로 한 소설로는 표명희의 장편소설 《어느 날 난민》과 최인석의 단편소설 〈스페인 난민수용소〉 정도가 눈에 띈다. 물론 이 두 편의 텍스트만으로 난민에 관한 문학적 상상력을 논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두 편의 소설을 살펴보는 이 글이 난민을 향한 현재 우리의 시선은 어떠한지, 난민을 이야기하는 문학적 상상력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가늠하고, 더 나아가 난민과 같이 경계 위에 놓인 이들의 인권을 이야기하는 데 있어 문학적 상상력의 역할을 고민하고 그것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첫걸음 정도는 충분히 될 수 있을 것이다.
누나부트의 인구 변화를 인구 관리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차별과 배제의 정치가 이누이트 이주에 미친 영향을 발생학적 맥락에서 고찰한다. 또한, 이누이트 이주자가 주변화되는 표상의 과정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누이트의 공동체 정치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캐나다에서 이누이트에 대한 차별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차별이 인구 구성과 이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도시로 이주한 이 누이트는 주류사회에서 어떤 차별을 받고 있으며, 어떻게 주변부의 존재로 표상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