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배진숙, 정채연, 김경민, 이용균, 이은정, 김은하, 정은혜, 정의철, 정미영, 김숙현, 김재기 (지은이)
앨피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0901833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고-모빌리티 시대 이동성 증가에 따른 불안의 증가와 공동체의 다양한 재편성,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권과 권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대안적 윤리와 공동체, 도시공간의 바람직한 형성 방안을 모색한다.

목차

머리말 고-모빌리티 시대 포용과 공생의 공동체 _배진숙

1부 모빌리티와 인권/기본권

세일라 벤하비브의 세계주의 구상: 이주의 도덕성과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 _ 정채연
보편적 인권, 민주적 시민권, 그리고 세계주의
벤하비브의 세계사회 진단과 새로운 규범적 지도에 대한 요청
벤하비브의 세계주의 구상의 이론적 기초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
벤하비브의 민주적 반추
민주적 반추와 아포리아의 생성적 가능성
윤리적 경계boundaries가 아닌 절차적 국경borders으로의 전향

경계 위의 인권: 난민 문학의 인권 담론 _ 김경민
인간과 국민, 그 사이의 인권
고유명사 ‘찬드라’ vs. 보통명사 ‘난민’
괴물과 디스토피아를 상상하라
불편한 질문, ‘우리’란 누구인가

인구 변화와 이주의 발생학적 이해: 캐나다 이누이트를 사례로_ 이용균
들어가며
인구 관리와 이주자의 주변화
누나부트의 인구 변화
이누이트 이주의 발생학적 이해
이누이트 이주 요인과 이주 경로
이누이트 이주자의 주변화와 공동체 정치
맺는 말

2부 이동과 정동, 그리고 공동체

식민지 조선인의 이주와 문화적 실천: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_ 이은정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이주경험에 문화는 어떻게 개입했을까
식민지 조선인의 일본 이주와 의례적 실천
귀환에 개입한 문화적 규범
‘부단한 이동’에 개입한 문화적 실천과 전략
모더니티의 이동성과 난민이 된 청춘의 서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지방 출신 대학생의 도시 입사식入社式을 중심으로 _ 김은하
인간 실격의 불안과 지방민 의식
교양 청년의 탄생과 애도가 거부된 타자
오, 전라도여, 전라도여!: 환대받지 못한 이방인과 수치
맺음말

사회적 배제자로서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 탑골공원과 락희거리를 사례로 _ 정은혜
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종로 탑골공원과 락희거리
사회적 배제의 개념 검토
사회적 배제자로서 노인의 모빌리티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에 대한 분석
노인의 모빌리티가 머무는 공간이 주는 의미: 포용의 시선에서
결론 및 제언

3부 모바일 공동체의 윤리

이주여성의 공동체 미디어 참여가 문화적 시민권 구축에 미치는 영향: 부산 지역 〈베트남 목소리〉 팟캐스트 사례를 중심으로_ 정의철·정미영

들어가는 말: 이주의 시대,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
미디어에 나타나는 이주민과 이주민의 미디어 참여
이주의 시대, 시민권의 변화와 문화적 시민권의 부상
공동체 미디어와 <베트남 목소리>의 전개
<베트남 목소리> 사례
<베트남 목소리>와 이주여성의 미디어 참여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와 문화적 시민권 구축
나가는 글: 시민으로서의 이주민과 미디어의 역할

도시공간과 축제, 그 윤리적 사유 _ 김숙현
도시와 도시공간에 대한 권리
도시공간은 도시 거주자들의 ‘작품’
공공공간의 전유와 공간의 재구성; 축제의 의미 찾기
축제, 공간과 역할 관계의 고정관념을 벗다
미적 공동체의 장으로
맺으며: 불가능성의 사유, 윤리

쿠바 한인 100년의 오디세이: 재미 쿠바 한인의 연속(돌발)적 트랜스내셔널 모빌리티 경험을 중심으로 _ 배진숙·김재기
쿠바 한인 이주 100주년을 맞이하며
미국의 쿠바인 디아스포라
멕시코·쿠바 한인
재미 쿠바 한인 연구참여자 정보
쿠바에서 미국으로의 재이주 동기와 경로
민족·인종정체성
언어, 문화, 사회적 관계
연쇄적 이주의 재조명과 디아스포라적 재결합 도모

저자소개

정의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다.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소통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2022, 공저),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2021, 공저), <유튜브의 이해>(2021, 공저), <다문화사회와 이주민 건강: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분석과 대안 모색>(2020, 교육부·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논문으로 <지역방송 저널리즘 강화와 해결지향 저널리즘의 역할>(2022), <자기민속지학을 통한 자가격리 이야기 방역소통 성찰과 대안 탐색>(2022), <감염병 위기 속 ‘시민됨’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성찰>(2021), <불통과 갈등의 시대, 소통(학)의 변화 모색>(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의철의 다른 책 >
김숙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에서 연극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이론적-실천적 층위에서 연극 기반의 예술치료에 관심을 두고, 다문화 가족을 위시한 여러 소외된 이들과 자전적 공연을 만들고 있다. 『회상연극』(2019, 공역),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2022, 공저)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정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명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경희대 신문방송 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상 관련 제작, 1인 크리에이터, 라이브커머스, 라이브중계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 《스피치와 프레젠테이션》이 있다.
펼치기
이용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빌리티, 이주, 인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인구와 사회》,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공저),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공저), 《모빌리티 생활세계학》(공저), 《글로벌 이주: 이동, 관계, 주변화》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서강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시적 정의와 인권》, 《문학으로 읽는 나의 인권감수성》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한국 문학이 아시아와 마주하는 법〉, 〈근대 여성 여행자의 글쓰기〉, 〈국가폭력의 가해자를 재현하는 문학의 역할〉 등이 있다.
펼치기
정채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인문사회학부 대우부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법학사, 법학 석사,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대학교(NYU) 로스쿨에서 LL.M.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뉴욕주 변호사다.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한국과학 기술원(KAIST) 미래전략대학원 연구조교수를 지냈다. 법철학, 법사회학, 법인류학 같은 학제 간 연구를 이론적 토양으로 해 법다원주의, 다문화주의, 관용 그리고 세계주의에 대한 기초법적 연구를 지속해 왔다. 최근에는 지능 정보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지능로봇, 포스트휴먼,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법 이론적 쟁점에 주목하고 있다. 저서로 『생성형 AI와 법』(공저, 2024), 『세일라 벤하비브』(2024),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공저, 2021), 『인공지능과 법』(공저, 2019),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자동차, 그리고 법』(공저,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경희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경관, 사회적 배제 공간, 관광지리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 책으로 《지리학자의 공간읽기》,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 《지리학자의 국토읽기》(공저), 《답사 소확행》(공저), 《호모트래블쿠스의 지리답사기》(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A theoretical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DMZ and its spatial significance> 등이 있다.
펼치기
배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2019), 「재한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저서로 《만주와 코리아스포라》, 《세계한인 디아스포라와 모국관계》(공저), 《세계한인 디아스포라의 귀환현상과 지원정책》(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재외한인의 재외선거 참여 활성화에 관한 연구〉, <러시아한인 디아스포라와 노인동맹단연구>, <미국 한인의 3·1운동과 대한인 국민회의 독립운동모금운동>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 문화인류학과 조교수.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논문으로 <식민지기 만주 경험 여성의 귀환과 정체성 전략>, <피폭된 신체와 고통: 한국인 원폭 피해자를 중심으로>, <한국 유학 배경과 경험의 자원화 방식: 경산시 유학생을 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노동경험과 의미: 대구·경북 이주민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세계사회에 대한 벤하비브의 진단을 영토성의 위기, 국제인권레짐의 형성, 시민권의 분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벤하비브의 세계주의적 연방주의cosmopolitan federalism 구상에 있어서 사상적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칸트의 세계주의적 권리와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 개념, 그리고 이들의 논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을 검토한다.


우리 사회에 들어와 있는 난민을 대상으로 한 소설로는 표명희의 장편소설 《어느 날 난민》과 최인석의 단편소설 〈스페인 난민수용소〉 정도가 눈에 띈다. 물론 이 두 편의 텍스트만으로 난민에 관한 문학적 상상력을 논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두 편의 소설을 살펴보는 이 글이 난민을 향한 현재 우리의 시선은 어떠한지, 난민을 이야기하는 문학적 상상력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가늠하고, 더 나아가 난민과 같이 경계 위에 놓인 이들의 인권을 이야기하는 데 있어 문학적 상상력의 역할을 고민하고 그것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첫걸음 정도는 충분히 될 수 있을 것이다.


누나부트의 인구 변화를 인구 관리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차별과 배제의 정치가 이누이트 이주에 미친 영향을 발생학적 맥락에서 고찰한다. 또한, 이누이트 이주자가 주변화되는 표상의 과정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누이트의 공동체 정치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캐나다에서 이누이트에 대한 차별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차별이 인구 구성과 이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도시로 이주한 이 누이트는 주류사회에서 어떤 차별을 받고 있으며, 어떻게 주변부의 존재로 표상되고 있는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