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저출산의 원인과 해법

저출산의 원인과 해법

김민식 (지은이)
북랩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200원 -10% 560원 9,520원 >

책 이미지

저출산의 원인과 해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저출산의 원인과 해법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93716540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4-01-31

책 소개

저출산 문제를 막연한 미래의 문제로 생각하는 일반인에게 인간의 행복, 가족의 가치, 소득과 출산율의 관계, 사회의 변화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 탐구한 내용을 명료하고 확실하게 보여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저출산의 원인
- 세계 인구 증가의 역사
- 우리나라 인구 증가의 역사
- 신문 방송에서 주장하는 저출산의 원인
- 신문 방송에서 거짓을 말하게 되는 이유
- 연구기관에서 거짓 보고하는 이유
- 동물들의 저출산 현상
- 로마제국의 저출산 현상
- 쿠바의 저출산 현상

제2장 인간의 이해
- 행복의 원리
- 인간의 욕구
- 인간은 어떻게 출산을 결정하는가?
- 행복의 조건
- 출산의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 가족의 가치
- 안전 욕구
- 소속, 애정의 욕구
- 존중과 자아실현 욕구

제3장 저출산의 이해
- 우리나라 출산율의 변화
- 베이비 붐의 비밀
- 콜럼버스의 선물
- 결혼은 계약이다
- 세금이 범인이다
- 왜 50조를 넘게 써도 출산율은 하락하는가?
- 소득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낮은 이유
- 안전 확보의 역사
- 사회제도의 발달
- 경로사상의 소멸
- 여권 신장
- 가족의 가치 증대
- 소득 vs 출산율
- 사회의 변화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 전 세계 출산율
- 수명과 출산율
- 복지제도

제4장 오만과 편견
- 왜 골드미스는 결혼하지 않는가?
- 일·가정 양립이 어려워 아이를 안 낳는가?
- 세계 최고 부자 국가의 출산율은 왜 낮은가?
- 양성평등과 출산율
- 시험이 없는 나라의 비극
- 교육비가 비싸서 아이를 못 낳는가?
- 왜 이혼하는가?
- 이혼
- 여성시대

제5장 저출산의 미래
- 2019년 11월, 지옥의 문에 들어서다.
- 인구가 감소하면 살기 좋아질까?
- 죽어가는 지자체
- 저출산 시대의 부동산
- 통일 후 출산율
- 왜 전 세계 출산율은 하락하는가?
- 개인화 시대
- 저출산의 종말

제6장 다른 나라의 사례
- 로마의 저출산 해법
- 북한의 출산율
- 헝가리의 결혼 붐
- 이스라엘의 높은 출산율
- 프랑스 출산율의 비밀

제7장 저출산의 해법
- 수고에는 보상이 따라야 한다.
- 수요와 공급으로 보는 출산의 원리
- 저출산 정책의 원칙
- 인구 총리를 임명하라
- 저출산 예산
- 교육제도와 저출산
- 남녀 공학
- 저출산을 조장하는 국가 제도
- 저출산을 조장하는 방송
- 보편적 복지에서 선택적 복지로
- 소득세를 면제해라
- 소득세를 부모에게 돌려줘라
- 독신세
- 두 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자에게만 후보 자격 부여
- 자녀 한 명당 3억 원씩 지급하라
- 여성도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라
- 아이 낳는 분위기를 만들어라
- 가족을 통하여 복지를 하라
- 증여세·상속세를 폐지하라
- 가족의 가치를 높여라

저자소개

김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충남 예산군 삽교읍 두리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초중고등학교까지 마쳤다. 1987년 KAIST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한 뒤 30여 년 동안 기업 연구소에서 기계를 연구 개발하는 업무를 수행했다. 2000년 무렵부터 언론이 주장하는 저출산 문제의 내용과 현실이 달라 관심을 두게 되었고 2017년부터 두리저출산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천일보, 홍주신문, 신아일보 등에 100회 이상의 칼럼을 게재하였고 현재는 저출산 관련하여 칼럼 집필과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 • ‘저출산의 배경’, 에세이퍼블리싱, 2010년 5월 • ‘50년 후 대한민국’, 밥북, 2015년 9월
펼치기

책속에서

1990년 이후에는 복지가 출산율 하락의 주범으로 등장하였다. 복지가 강화됨에 경제적 안전이 더욱 공고해져 자녀에 대한 필요성이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세금이 증가한 것, 1994년에 도입된 인터넷, 핸드폰 등도 출산율을 하락시켰다. 1990년 이후에는 신용카드가 보편화되고 곳곳에 CCTV가 설치되어 도둑이 급감하였다. 도둑의 감소는 남성에 대한 필요성을 하락시켜 혼인율과 출산율을 하락시킨다.


현재 우리가 이용하고 누리는 교통, 병원, 안전, 교육, 음식, 식량, 음악, 드라마, 경제적 풍요, 일자리, 여행, 지식, 뉴스 등의 모든 것은 다른 사람이 제공해 주는 것이며, 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은 이 모든 것이 사라져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출산은 세계적인 흐름이다. 끝이 안 보이는 도도한 흐름이다.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할 것 없이 전 세계 모든 지역의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다. 이렇게 출산율이 감소하면 수천 년 후에는 지구상에 인간이 사라질 것 같다. 하지만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된다. 결코 저출산으로 인간이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저출산으로 인구가 줄다가 언젠가는 다시 증가하게 된다. 그럼 언제 이 저출산 흐름이 끝날 것인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716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