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3743263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4-01-22
책 소개
목차
제1부 교육과정
제1장_ 교육과정 이해하기 10
1. 교육과정의 의미 11
2. 교육과정의 구분 10
3. 교육과정 이론 13
4.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19
5.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 24
6. 2022 개정 교육과정 26
제2장_ 교육과정 개발 알아보기 33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33
2. 교육과정 개발모형 35
3.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43
4.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 절차48
5. 2022 교육과정 개발 구조와 절차 52
제3장_ 교육과정 개발 참여하기 56
제2부 교과서
제4장_ 교과서 이해하기 62
1. 교과서의 의미 62
2. 교과서의 변천 63
3. 교과서 제도 71
4. 교과서의 법적 근거 76
5.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83
제5장_ 교과서 개발 알아보기 91
1. 국정도서 개발 절차 92
2. 검정도서 개발 절차 96
3. 인정도서 개발 절차101
제6장_ 교과서 개발·활용·수정 참여하기 112
1. 교과서 개발·심의 참여112
2. 교과서 선정 참여 120
3. 교과서 수정·보완 참여 123
책속에서
교육과정 개발은 교육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주체가 된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 Schwab(1969) -
실제로 교육과정 개발은 국가 교육과정 및 지역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 등의 여러 층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참여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이러한 참여를 통해 교사들은 교육행정가와 교육연구가들에게 현장의 경험을 전달하고 거시적으로 교육을 바꾸어나갈 기회를 얻게 됩니다. 그러나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이러한 참여의 기회를 모르는 교사들이 다수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책은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의 시야와 안목을 넓히고, 여러 실제적인 기회들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