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9378612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9-0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씀 / 7
서론: 저항의 의미 / 9
제1부 저항과 휴머니즘 윤리
1장. 계몽주의와 불/연속적 대화 __ 25
2장. 지속적인 자기 향상 __ 35
3장. 타인에 대한 초월론적 의식 __ 51
제2부 저항과 종교적 정체성
4장. 에큐메니즘과 반유대주의 사이에서 __ 87
5장. 슈타인과 베유: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서로 다른 대응 __ 97
6장. 슈타인과 베유: 자기 긍정과 자기 부정 사이에서 __ 127
7장. 프랑크와 힐레숨: 정체성과 하느님 찾기 __ 165
제3부 자전적 글쓰기의 저항 행동
8장. 예술과 자아가 만나는 지점 __ 201
9장. 슈타인과 베유: 추방된 자전적 자아 __ 207
10장. 프랑크와 힐레숨: 일기 쓰기를 통해 성장한 예술가 __ 217
제4부 저항과 여성성
11장. 공포 통치 속의 젠더 의식 __ 251
12장. 슈타인과 베유: 여성의 본성과 운명 __ 255
13장. 지적이며 정서적인 성숙을 향하여 __ 279
결론: 저항의 유산
참고문헌 / 309
옮긴이의 말 / 316
저자 소개 / 320
책속에서
실제로, 그 네 여성이 죽은 후에 발표된 자전적 작품들을 신성하게 다루는 것은 전쟁 후에 그 끔찍함을 완화하려는 경향을 보여준다. 즉 슈타인은 카르멜 수녀회 소속으로서 순교자로 미화되었고, 안네 프랑크는 희생된 아이들의 보편적 아이콘이 되었고, 베유와 힐레숨은 성인다운 이타주의자들의 만신전(pantheon)에 들어갔다. … 더군다나 그런 표현은 결국 정의가 승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서론 중에서)
나는 이 여성들의 삶에 의미를 부여한 것은 바로 믿음이 사라진 세상 현실에서 믿음을 지키고, 사랑이 없는 세상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세상을 사랑하려는 투쟁이었다고 믿는다. (서론 중에서)
그녀는 이렇게 썼다. “우리는 지금까지 유례가 없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오늘날 … 우리는 지금 이 순간이 요구하는 성스러움을 지녀야 합니다. 그 성스러움 자체도 유례가 없는 것입니다.” 마치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를 예견이라도 한 듯, 베유는 이렇게 주장했다. “마치 페스트에 시달리는 도시에 의사가 필요하듯이, 세상에는 천재적인 성인들이 필요합니다.” (1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