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3786024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4-04-09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씀 __ 7
프롤로그 ___ 9
1. 하늘의 비전 ___ 19
2. 갈릴리의 대대적인 변화 ___ 37
3. 신앙의 치유자 ___ 66
4. 권력과 공공질서 ___ 96
5. 말씀의 선포 ___ 127
6. 민족들의 부흥 ___ 163
7. 성도들의 모임 __ 205
8. 충돌하는 영들 __ 229
9. 하나님 나라의 돌풍 __ 257
10. 카이사르의 승리 __ 285
11. 믿음을 지키다 __ 310
옮긴이의 말 __ 322
연표 1: 나사렛 예수의 생애 __ 323
연표 2: 바울의 생애 __ 324
Bibliographical Notes / 327
Bibliography / 351
책속에서
이 책은 초기 기독교의 사회사(社會史)를 재구성하려는 것인데, 최근에 얻게 된 많은 증거들, 곧 고대 로마문화에 관한 최근 연구들과 지중해 전역에 걸친 고고학적 증거들을 토대로 할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우리 두 사람은 서로 매우 다른 학문적 관점에서 이런 재평가 작업을 함께 하게 되었다. 호슬리(Richard Horsley)는 학자로서의 생애 대부분을 신약성서의 본문 연구, 유다(Judea) 지방의 역사, “역사적” 예수 연구에 헌신해왔던 사람이다. 그의 초기 저작들은 1세기 갈릴리에서의 예수의 대중 목회가 그 밖의 농민 저항 운동들의 특성, 곧 세계적인 인류학자들이 관찰하고 묘사한 농민 저항 운동들의 특성과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지적한 저작들 가운데 하나다. 실버만(Neil Asher Silberman)은 근동 지방 고고학에 얽힌 정치적, 종교적 및 이데올로기 문제들에 관해 폭넓은 연구를 진행했다. 사해 두루마리에 관한 그의 최근 연구를 통해, 그는 현대의 많은 학자들이 묵시종말적 기대(apocalyptic expectations)의 정치적 차원들을 너무 과소평가했다고 결론지었는데, 사해 두루마리의 경우에는 그 묵시종말적 기대가 로마제국의 통치 아래에서 피눈물 나는 현실에 맞서는 이데올로기적 저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했다는 사실을 학자들이 무시했다고 보았다. 우리 두 사람 모두의 접근방식의 공통적 주제는 고대 종교와 정치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올바로 파악하는 작업이다. 또한 기독교의 이 세상적인 기원을 추적하는 새로운 자료들을 이용하면서, 우리는 세례자 요한, 예수, 사도 바울, 그리고 처음 크리스천들의 세계가 단순히 영적 전쟁터였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재배치, 문화적인 충돌, 정치적 변화가 당시 사람들의 생활에 속속들이 큰 영향을 미치던 세계였다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프롤로그 중에서)
이처럼 유력한 메시아에 관한 이야기는 이미 이사야, 학개, 미가 등의 예언자들의 선포 속에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솔로몬의 시편(Psalms of Solomon)에서 훨씬 더 분명하게 드러났는데, 이 문서는 기원전 1세기에 예루살렘에서 히브리어로 작성된 문서로서 나중에 그리스어로 번역되어 헬레니즘 세계 전역에 유포된 문서였다. 이 문서는 다윗의 새로운 아들인 메시아가 마침내 등장하여 이스라엘로 하여금 과거의 영광을 되찾게 하며 하나님의 왕국을 확립하도록 이끌 것이라고 예언했다. (1장. 하늘의 비전 중에서)
실제로 랍비문헌들과 당시의 법적인 문서들에 나타난 증거들을 보면, 헤롯 왕족 시대를 거치면서 시골 농민들의 부채가 급증하였으며, 기댈 곳 없던 농민들은 심지어 헤롯 왕족의 관리들과 제사장 귀족들로부터도 대부를 받으려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임시방편으로 당장 구멍을 틀어막는 방법은 조만간 재앙을 초래할 수밖에 없었는데, 일단 농민들이 다음 해의 수확 가운데 더욱 많은 부분을 떼어내어 빚을 갚기로 작정을 하면, 그다음 해에 더욱 큰 빚더미 위에 올라앉게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었다. 농민들이 대부를 받기 위해 담보로 잡힐 수 있었던 것은 오직 토지뿐이었기 때문에, 그 부채를 갚지 못할 경우에는 그 가족이 오랜 세대를 거쳐 경작해왔던 토지를 빼앗기고 말았다. (2장. 갈릴리의 대대적인 변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