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3866207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4-11-15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_ 탄성 인간이 되기 위한 ABCD
방해물을 디딤돌로 바꾸는 일 | 특수부대로부터 배운 회복탄력성 | 회복탄력성의 ABCD
| 1장 Awareness |
나를 ‘인식’하는 힘이 회복탄력성을 키운다
1. 나를 관찰하는 만큼 달라지는 삶
병사 H의 이야기 |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2가지 방법 | 지금 발을 디딘 곳에 집중하라 | 깊은 자기인식으로 나와 더 가까워지려면
2. 눈과 정신과 마음을 크게 열어라
병사 A의 이야기 | 강인함에 관한 생각 | 나의 취약점에 손 내밀기 | 회복 탄력성 탱크에 연료를! | 회복탄력성의 중요 포인트 3가지 | 마인드셋 바꾸기 | 최악이 아닌 최선을 보기 | 내 안의 촉발 요인 | 변화무쌍한 자아의 개념 | 자기인식이 뒤틀린 거울이 되지 않도록
3. 마음 가는 곳에 집중해보자
내 불안의 이야기 | 기분이 나쁠 땐 자기자비를 기억하라 | 기분이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 마음 가는 곳에 집중하기 1. 자기인식 | 마음 가는 곳에 집중하기 2. 침착함과 명확함 | 마음 가는 곳에 집중하기 3. 목표를 향한 집중 | 마음 가는 곳에 집중하기 4. 적합한 대처
| 2장 Belonging |
‘소속감’은 위기 때 알 수 없는 힘을 준다
4. 내가 있을 곳과 취할 입장을 선택하라
S의 이야기 | 소속감의 중요성 | 우리의 선택이 만드는 회복탄력성 | ‘따뜻한 가정’이 주는 힘 | 브라이언의 이야기 | 아마 아데의 이야기 | 뚜렷한 목적에 소속되기 | 순간에 소속되기 |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5. 우리는 우리 자신을 어떻게 볼까?
엘리자베스의 이야기 | 회복탄력성 있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라 | ‘인생’이라는 ‘책’은 새로 쓸 수 있다 | 두 명의 승려와 한 명의 여인 | 혼자 생각에 잠길 곳을 찾아라 | 다시 닻을 내리기 | 걱정하고 포기하기 전에 | 소속감은 신뢰에 관한 것 | 누구와 함께할 것인가
6. 마음속에서 가능한 일은 삶에서도 가능하다
마리아의 이야기 | 회복탄력성과 멀어지는 습관은 버리자 | 명상과 마음챙김 | 시작은 작은 습관으로
7. 소속되어 더 나은 존재가 되기
장교 M의 이야기 | 구심점 되기 | 우리는 영웅
| 3장 Curiosity |
‘호기심’은 가능성을 선사한다
8. ‘기회’의 문을 여는 호기심이라는 열쇠
한 사람의 호기심이 여럿의 목숨을 구하다 | 나를 구한 건 무엇이었을까? | 회복탄력성 영웅들의 호기심 | 호기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 호기심은 회복탄력성의 비밀 병기
9. 호기심이란 목적을 품고 질문하는 것
병사 Y의 이야기 | 회복탄력성은 반응이 아니다
10. 중요한 일에 노력을 쏟는다
재닛의 이야기 | 어려운 일은 중요하다 | 미루기에 관하여 | 자기 이야기를 다시 쓰기
11. 호기심과 배우는 자세
시련의 순간에 성장하는 법 |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 것 | 신발 속 작은 자갈을 그냥 두지 말자 | 소문을 옮기는 대신 타인을 궁금해하기 | 성장 마인드셋 vs. 고정 마인드셋 | 최고의 모습에 이르도록 나를 훈련하기 | 버린다 | 바꾼다 | 방향 전환을 위해
| 4장 Drive |
‘추진력’으로 계속 나아가라
12. 나아가기 전에 목적부터 명확하게
추진력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 사초의 이야기 | 내 목적이 왜 중요한지부터 알기 | 목적의 조건 3가지 | 목적에 집중하려면 | 목적을 위한 습관 기르기 | 습관은 단순하게
13. 앞을 막는 방해물을 줄여라
브라이언의 이야기 | 중대한 변화나 도전에 직면할 때 | 회복탄력성으로 이끄는 창조의 세 단계 | 수용하고 준비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 회복탄력성은 인내심에서 온다
14. 평정심으로 균형을 유지하기
지속적인 회복탄력성을 위해 | 회복탄력성과 뇌 | 몇 초 안에 발휘하는 침착함 | 조너선의 이야기 | 균형과 동요 | 첫 번째 할 일은 잘 자기
마치며 _ 더 발전하고 성장하기 위해
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회복탄력성은 정해진 자질이 아니라 우리가 자신의 중요한 영역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내리는 일련의 결정이다. 회복탄력성은 고정돼 있지 않고 유동적이다. 회복탄력성은 우리가 무엇에 어떻게 관여하고, 무엇을 어떻게 예상해서 그것에 얼마나 헌신하며, 무엇과 함께하고 무엇을 버릴지 선택할 때 내리는 결정의 결과다. 그리고 특히 살면서 겪는 시련 앞에서 스스로가 성장할지 위축될지를 선택할 때 내리는 결정의 결과이기도 하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한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바로 뚜렷한 목적의식이다. 내가 환경의 일부가 되어 환경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소속감을 가질 때 회복탄력성은 더욱 커진다. 내가 직면하는 위기, 변화 또는 요구가 어떤 것이든 내 목적에 속해 있으면 변화를 겪어도 더 쉽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