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가상/암호화폐
· ISBN : 979119386924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6-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핵심정보! 가상자산 투자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 TOP 10
1부 가상자산 투자자가 취득단계에서 마주하는 세금
01 가상자산이 도대체 뭘까?
02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의 투자금은 얼마나 될까?
03 가상자산에 투자할 종잣돈을 부모님에게 몰래 받아도 될까?
04 세법상 가상자산 ‘시가’를 활용한 절세비법
05 가상자산을 얼마까지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을까?
06 현금 증여 vs. 가상자산 증여,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일까?
07 2024년부터 혼인 및 출산 시 가상자산 1억 원 더 증여
08 손주에게 가상자산 증여하면 오히려 이득
09 가상자산 투자는 내 돈으로, 생활비는 부모님 돈으로?
10 부모님에게 가상자산 투자금을 빌렸다는 말을 과연 믿어줄까?
2부 가상자산 투자자가 보유단계에서 마주하는 세금
01 가상자산소득세, 도대체 얼마나 내야 할까?
02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에는 이미 세금이 과세 중이라고?
03 가상자산소득세를 절세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04 비거주자도 코인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할까?
05 가상자산 투자자를 지켜줄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 Q&A로 알아보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06 해외에서 가상자산 거래 시 매년 6월 말일까지 신고
* Q&A로 알아보는 해외 가상자산계좌 신고
07 세금을 체납하면 가상자산이 압류·매각될 수도 있다
3부 가상자산 투자자가 이전단계에서 마주하는 세금
01 가상자산 상속과 증여에 대한 과세는 이미 시작되었다
02 가상자산으로 돈 벌어 내 집 사는데 세무조사가 나온다고?
* Q&A로 알아보는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152
03 자금출처조사,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 ① 재산취득자금 등의 증여추정
04 자금출처조사,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 ② PCI 시스템
05 가상자산 관련 자금세탁 업무에 집중하는 금융정보분석원
06 가상자산에는 ‘취득세’가 없지만, 부동산에는 ‘취득세’가 있다
07 상속세, ‘계산 구조’를 알아야 절세한다
08 가상자산을 통한 부의 이전은 ‘10년 주기 증여 설계’로 시작
09 자녀에게 증여한 부동산과 주식이 급등한다면?
10 사례로 살펴보는 증여세 세무조사 유의사항
11 상속세 신고 준비는 빠를수록 좋다
12 피상속인이 사망 전 ‘2년 이내’에 가상자산 계좌의 가상자산을 급히 처분했다면?
13 상속세 세무조사의 핵심은 ‘사전증여’
14 상속 전 세무사 만나서 상속세 줄이는 법
15 세무조사 끝났다고 안심은 금물, ‘고액 상속인’은 5년 더 관리된다
4부 가상자산 투자자도 알아두어야 하는 세금 기초지식
01 어려운 세금, 어디에 물어봐야 할까?
02 절세의 기초, 무조건 피해야 하는 가산세
03 더 낸 세금이 있다면 경정청구로 돌려받자
04 세금을 적게 신고했다면 빠른 수정신고로 가산세 감면받자
5부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해서도 꼭 알아야 할까?
01 가상자산사업자의 업무를 알아야 투자도 잘할 수 있다
02 가상자산 개발업체의 최근 세무조사 사례
03 가상자산사업자의 자금세탁방지의무 관련 주요 위법·부당행위 사례
04 가상자산 발행기업과 보유기업의 가상자산 회계처리
부록1 해외 가상자산 세금을 통한 미래 가상자산소득세 예측
부록2 가상자산 용어 정리
참고 문헌 및 사이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3차 반감기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을 때 비트코인 증여가 활발히 이루어졌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가상자산 증여 이후 시가가 증가하더라도 증가한 평가이익에 대해서는 추가로 증여세를 내는 것이 아니라 수증자인 자녀의 몫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상자산을 증여할 시점에 시가가 높게 평가된다면, 증여세를 절세하기 위해 증여를 반환한 후 시가가 낮아진 시점에 다시 증여하는 방법도 있다. 자산가는 이렇듯 가상자산 하락장을 오히려 가상자산을 증여할 기회로 여긴다. _ 세법상 가상자산 ‘시가’를 활용한 절세비법
자녀나 손주에게 생활비를 펑펑 줬는데도 세무서로부터 한 번도 연락받은 적이 없는데 무슨 소리냐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생전에 증여한 재산에 대해 증여세를 추징하는 경우보다, 증여자가 사망하여 상속세 신고 및 조사가 이루어질 때 기존 증여재산을 전부 사전증여재산으로 보아 거액의 증여세 및 상속세 추징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상속세를 조사할 때 증여세를 추징한다니 무슨 말인가 싶을 수 있다. 이 말을 이해하려면 「상속세 및 증여세법」의 계산 원리의 ‘합산’이란 제도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_ 가상자산 투자는 내 돈으로, 생활비는 부모님 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