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수공업의 역사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수공업의 역사

(명품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라이너 엘카, 카트린 켈러, 헬무트 슈나이더 (지은이), 임 나탈리야 (옮긴이)
우물이있는집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2,300원
0원
20,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수공업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수공업의 역사 (명품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9416643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1-10

책 소개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인류 역사에 등장했던 ‘수공업적 전통’에 대한 포괄적인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고대에서 현대까지 수공업이 어떻게 발전하고 계승되었는지를 정리한 이 책을 통해 ‘도구’의 중요성은 물론 정치와 사회의 변화가 수공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목차

서문 “수공업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6

선사 시대
석기 시대 14
유용한 목재 19
귀중한 손도끼 24
주택과 생활용품 29
거대한 석조 구조물 38
바퀴와 수레 44
철기 시대 47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
고대 오리엔트와 이집트의 수공업 발전 59
호메로스의 작품에 나타난 수공업 61
고전 그리스의 청동 주조 장인과 화병 화가 66
공방 풍경 71
경쟁, 그리고 서명 74
차별화와 전문화 76
정치와 사회 78
노예제도와 에르가스테리온 82
귀족과 '속물' 85
교육과 학습 88
로마 시대의 혁신 89
새로운 에너지원, 수력 발전 93
폼페이의 공방 97
장인들의 자화상 100
고대 로마 후기 102

중세 시대
길드의 등장 107
길드의 운영 117
길드와 '방해꾼' 121
명예로운 수공예 123
장인과 견습생의 갈등 127
장인과 직인의 갈등 128
전통 수공업에서의 여성 135
경쟁과 차별화 138
장인과 시 정부 142
방랑하는 장인 147

르네상스
새로운 것을 위한 돌파구 154
수공업과 예술 156
수공업과 과학 160
동시성과 비동시성 169
새로운 발명과 디자인 180
금속 공예의 전문화 184
정밀 기계, 그리고 섬유 기술 187

17세기와 18세기
재난과 새로운 시작 194
전쟁, 박해 그리고 새로운 분야 196
상사商社의 출현 204
아름다운 외관 209
고급스러운 패션과 아름다운 사운드 217
길드 안팎에서 벌어지는 일 221
불안정한 존재 225

19세기
산업으로 나아가는 수공업 235
공장의 장인들 240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에서 247
새로운 추진력, 새로운 기술 250
현대의 장인 257
명품 브랜드 수공업 268
조직화된 독립성 270

20세기
신소재 276
합리화, 신기술 및 새로운 정밀도 280
새로운 수공업- 새로운 직업 283

저자소개

헬무트 슈나이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의 고대 역사가 이다. 헬무트 슈나이더는 1966년부터 1973년까지 튀빙겐과 마르부르크 에서 역사와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1973년에 경제학과 정치학 - 칼 크라이스트(Karl Christ) 와 함께 후기 로마 공화국의 역사에 대한 조사 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1988년까지 슈나이더는 베를린 자유대학교 에서 고대사 연구 조교 및 대학 조교로 일했다. 그곳에서 그는 1986년에 재활을 마쳤다. 1988/89년에 그는 킬 대학교 에서 고대사 교수직을 맡았습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그는 하이델베르그 에서 개인 강사로 일했고, 1991년 겨울 학기부터 은퇴할 때까지 카셀 대학교 에서 고대사 교수를 역임했다. 슈나이더는 고대 경제 및 사회사, 특히 기술사 분야의 전문가다.
펼치기
라이너 엘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의 역사학자. 뮌헨의 Bundeswehr 대학 에서 경제사와 사회사를 가르쳤다. 그의 연구 분야는 수공업, 교육, 통화 및 지역사이다. 1965년부터 뷔르츠부르크 와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역사 , 독일어 , 미술사 , 정치학을 공부했다 .1970년에 그는 바덴뷔르템베르크 고등학교 교사 자격을 취득했다. 1973년부터 그는 함부르크의 Alsterdorfer Institutions 에서 특수 교육 전문직을 훈련하는 정치 기술 학교 교사로 일했고, 함부르크 대학 에서 연구 조교로 일했다. 1975년부터 지겐대학교 경제사회사학부 학장의 조교로 일하였다. 1990년에 그는 유럽 지역 연구 연구소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고 학술 이사로서 전무 이사가 되었다. 1994년에 수공업의 역사에 대한 연구로 지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그후 1998년부터 2010년까지 뮌헨 연방군대학교에서 경제 및 사회사 전공 교수직을 역임했다.
펼치기
카트린 켈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의 역사학자. 그녀의 연구는 작센의 역사와 수공업, 귀족과 궁중 사회의 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업을 마친 후 카트린 켈러는 역사 및 독일어 교사로 일했다. 그녀는 무엇보다도 작센 지역의 오래된 수공업 역사와 여성 역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그녀는 15~17세기 라이프치히 장인의 일상생활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2001년에 그녀는 비엔나 대학교 철학부에서 교육을 마치고 현대사 분야에서 가르칠 수 있는 자격증을 받았다. 2008년 여름 학기에 그녀는 마인츠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교 역사 세미나에서 젠더 역사 객원 교수로 재직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그녀는 비엔나에 있는 오스트리아 역사 연구소에서 푸거 신문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카트린 켈러는 1990년 라이프치히 역사협회가 창립되었을 때 최초의 여성 회장이었다. 그녀는 1997년에 이 직위를 사임했다. 2017년에 그녀는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의 해당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펼치기
임 나탈리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 이민 3세로 러시아의 가장 아름다운 지역 중의 하나인 크라스노다르(아름다운 자연의 선물이라는 뜻)의 쿠반 국립대학교 한국학부 석사를 졸업하였다. 경북대학교 교환학생으로 한국과 첫 인연을 맺었고 현재 다솜관광고등학교에서 러시아어를 가르치고 러시아어권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도와주는 이중언어강사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주먹도끼에서 하늘 원반에 이르는 수공업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통해 우리는 훨씬 더 보편적인 결론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필요한 것을 만들기 위한 모든 조건을 발견하고 창조하고 설계할 수 있었던 것은 ‘이름 없는 사람들’의 헌신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그것이다. 게다가 그들은 자신이 하는 일과 자신이 만든 도구들을 다른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만큼 정교하게 갈고 닦았다. 그들이 사용했던 수단은 소박했지만, 그들은 그 수단을 최적의 방식으로 활용할 줄 알았다. 그들이 자원이나 도구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폭넓은 사고를 고려한다면 현대인은 겸손해질 수밖에 없다.


1710년에는 마침내 폴란드 마이센에 ‘왕립 폴란드 및 선거 색슨 도자기 제조소’가 설립되었다. 도자기 제조법은 국가 기밀로 분류되어 ‘아르카눔Arkanum’이라는 이름으로 밀봉되었다. 그러나 이 비밀은 금세 유출되어 1718년 비엔나에서 자체 도자기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고, 1740년에는 뱅센, 1756년에는 파리 근교 세브르로 이전되었으며, 1744년 상트페테르부르크, 1763년 베를린, 1771년 리모주(세브르에 이어 프랑스에서 두 번째 생산지), 1775년 코펜하겐에서도 생산되었다.

당시 색슨족 도자기 장인들은 처벌의 위험을 무릅쓰고 도자기 생산과 확산, 그리고 유통에 나섰다. 영국에서는 약사 윌리엄 쿡워시(1705~1780)가 도자기 생산의 선구자로 활약했고, 1751년 제조소는 그의 지식을 활용해서 큰 이익을 얻었다. 그는 오늘날 로열 우스터 도자기 회사의 탄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급 도자기를 만드는 작업에는 고도로 훈련된 전문 장인들이 투입되었다. 도자기뿐만 아니라 조선소, 제철소, 소금 공장에서도 고도로 훈련된 사람들이 필요했는데 이들은 철저하고 흠잡을 데 없이 완벽한 사람들이어야만 했다.


17세기와 18세기는 시계 제작에 있어서 위대한 시대였다. 시계는 철학을 상징하는 물건이자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는 사치품인 동시에 최고 수준의 기계적 정밀도를 보여주는 발명품이기도 했다. 한번 움직이기 시작하면 멈추지 않고 스스로 돌아가는 시계는 신이 만든 창조물에 비유되었다. 초기 계몽주의 철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1646~1716)는 인간의 몸과 영혼이 두 개의 시계 바늘처럼 조화를 이루며 작동한다는 관념을 설파했다.

시계 제작자들은 중세 자물쇠 제작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그들만의 독자적인 길드를 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17세기에서야 유럽 전역에 길드가 형성되었다. 영국 국왕 찰스 1세는 1631년 8월 22일 런던 시내에 그들과 상당한 재정적 이해관계가 있는 ‘고명한 시계 제작자 협회’의 설립을 승인했다. 시계와 부품 제작은 리버리 컴퍼니의 회원만 제작할 수 있었는데, 이곳에서 활동하려면 5년의 견습 과정이 필요했다. 이들은 교육시간, 상품의 품질 및 시계 거래를 관리하며 경찰의 도움으로 작업장과 창고, 심지어 선박까지 수색할 수 있었다. 오늘날 리버리 컴퍼니는 여전히 존속할 정도로 전통이 있지만, 이제는 그 영향력이 과거처럼 강력하지 않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