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아주 정상적인 아픈 사람들](/img_thumb2/979119428502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4285021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목차
1부 보이지 않는 전쟁
01 싸움의 시작
영혼의 전쟁터―브라이언
무지의 세계―선혜
가족이라는 딜레마―박문성과 스텔라
02 나르시시즘이라는 악
수선화와 메아리
자기애성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부모와 그 자녀들
03 문화의 희생자들
바람이 불어오는 곳
자살은 죄인가 병인가―스캇과 성희
죽음에 이르는 편견―정호의 아들
어둠에서 빛으로
우울증: 자살 충동|무기력
조울증: 폭력|매닉 상태
조현병: 환시|환후|환촉|환청|피해망상|신체망상|종교망상|질투형 망상|피조종 망상
2부 무너지는 가족
04 무지와의 싸움
부모의 죄입니까
‘인간관계’라는 변수
부부, 감춰진 보호막
병을 주고받으며
05 누가 나의 가족입니까
환자들의 동거―황준기와 아내
공황장애―영숙의 남편
질투형 망상―이민숙과 관호
환자를 돌보는 환자―마이크와 어머니
트라우마라는 시한폭탄―니콜라스 김과 김소현
덕의 변질, 마약
06 가족의 복구
어머니와 아들―진오와 어머니
우연의 섭리
조작된 관계
선한 싸움
3부 생명의 강
07 치료의 시작
도대체 왜 이러십니까
선혜를 찾아서―미셸
무고한 자의 고통―민수
기쁨 속의 환자―성진
08 집 없는 영혼들
스트리트 처치
병과 죄와 악
코로나도의 가로등
09 가장 연약한 무기
지배자의 병―심호인과 아버지
위험한 나르시시스트
사랑이라는 무기
네가 낫고자 하느냐?
4부 역전시키는 삶
10 딜레마의 역전
백전백패―수전
목사와 자녀들
따돌림의 치명성―임수현
역전시키는 삶
11 고통의 공유
무료한 삶 속에서
공유의 의미
과학과 신앙의 만남에서
죽고 싶은데 살고 싶다
에필로그|살아남기
부록|김지수×폴 김 인터뷰
책속에서
암이 죽음의 한 원인이듯이 우울증도 죽음의 한 원인이다. 암으로 인한 죽음이 자살이 아니듯, 우울증으로 인한 죽음도 병사이다. 즉 폐암으로 죽은 사람이나 뇌기능장애로 인한 자살이나 모두 병으로 생을 마감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이들 죽음에 대해서 차별적 시각을 제거할 수 있는 의학적 증거의 홍보가 필요하다. _ 〈자살은 죄인가 병인가-스콧과 성희〉
현대사회 인간들의 삶의 목적은 즐거움과 번영이다. 이의 실현을 위해 고통은 불행한 재앙으로 치부되며 이 삶에서 제거돼야 할 것들로 여겨진다. 경제와 정치와 과학은 이의 실현을 위해 장밋빛 목표를 제시한다.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마약 같은 슬로건은 개인주의, 약육강식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갈등하며 결국은 수많은 개인 앞에 실패로 모습을 드러낸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은 이 세상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유토피아적 꿈이다. 인간의 무한대의 욕심과 이기주의가 그 이루어질 수 없는 꿈의 원인이다. _ 〈문화의 희생자들〉
가해자로서 정상생활을 하는 사람이 있고, 피해자로서 정신병원에 입원한 사람이 있다. 정상생활을 하는 가해자, 병원에 입원한 피해자 중 누가 더 심각한 환자일까. 우리 가족들 중에 이 가해자와 피해자들이 공존하고 있다. _ 〈병을 주고받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