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9431418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3-25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논어 해제
1. 논어와 유교(儒敎)
2. 논어는 누가 언제 어떻게 만든 책인가?
3. 논어의 종류
4. 논어는 어떤 책인가?
5. 논어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6. 논어를 통하여 본 공자의 생애와 사적(事蹟)
7. 논어를 통하여 본 공자의 시대 배경
8. 논어를 통하여 본 공자의 학설
9. 맺는말
Ⅰ. 공자
1. 공자의 사람됨과 말씀
1)공자의 일생
2)옛것을 전할 뿐, 창작하지 않는다
3)일관(一貫)된 도(道)
4)공자의 자신(自信)
5)공자의 겸손한 마음
6)공자의 네 가지 근심
7)공자의 사람됨
8)공손(恭遜)·경건(敬虔)·충실(忠實)
9)또 무엇을 할까?
10)안연(顏淵)이 본 공자의 인격
11)가르침의 한계
12)공자는 전문적 기술자가 아니시다
13)성인(聖人)은 스승이 없다
14)공자의 말씀에는 인간의 본성과 하늘의 이치에 대한 말이 적다·
15)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정직하다
16)인물 본위의 인간관
17)공자는 하늘과 같다
18)공자의 식사 예법
19)공자의 모습
20)공자와 제자 사이에는 비밀이 없다
21)제자의 손에 죽고 싶다
22)공자는 세상의 목탁(木鐸)이다
23)등용해 줄 사람을 기다린다
24)공자와 제자들의 이상(理想)
25)불의(不義)의 부귀는 뜬구름과 같다
26)은자(隱者)와 자신을 평하다
27)삼가신 세 가지 일
28)세상을 버리기는 힘들다
29)성문지기가 공자를 비웃다
30)공자가 미워한 것
31)공자의 한탄
32)원대한 뜻을 가진 공자
33)위대한 공자의 인격
34)공자를 훼방할 수 없다
35)하늘이 나와 같이한다
36)하늘이 낸 나를 누가 해치랴?
37)하느님만이 나를 안다·
38)아는 것도 물어보는 것이 예다
39)공자의 상례(喪禮)
40)수렵(狩獵)의 범위
41)나에게 죽음을 묻지 말라
42)은자 장저(長沮)와 걸익(桀溺)
43)잘못을 말해 주는 사람이 있으니 다행한 일이다
44)예술가로서의 공자
45)문왕(文王)의 무악(武樂)을 평하다
46)음악을 바로잡은 공자
47)예악(禮樂)의 본질
48)노래를 재청(再請)한 뒤에는 화답하다
49)음악의 원리
50)사랑의 마을을 택하라
51)나쁜 아버지에게서도 좋은 아들이 나올 수 있다
52)타락한 사람들
53)자연은 흐르는 물과 같을까?
2.제자들
54)용기와 의리
55)제자의 자질(資質)
56)자공(子貢)과 안회(顏回)
57)안회의 인(仁)
58)도덕의 한계
59)안빈낙도(安貧樂道)의 생활
60)학문의 정열
61)안회의 정진(精進)
62)안회의 죽음을 슬퍼하다
63)더욱 적극성을 띠라
64)뛰어난 제자들
65)안회의 호학(好學)
66)하늘이 나의 도를 망하게 하였구나!
67)누구를 위하여 통곡하랴?
68)제자들의 인품
69)안회와 자공의 인품
70)선생님보다 먼저 죽어서는 안 된다
71)자장(子張)의 인격
Ⅱ. 공자의 중심 사상
1.효도의길
1)효도와 형제애(兄弟愛)는 인(仁)의 근본이다
2)효자의 자격
3)효도와 예절
4)효도와 건강
5)효도와 존경
6)효도와 부드러운 정서
7)부모를 섬기는 태도
8)부모가 살아계실 때는 멀리 떠나지 말라
9)부모가 돌아가신 지 3년 동안은 생활양식을 고치지 말라
10)부모의 나이를 알라
11)증자(曾子)의 효행
12)민자건(閔子騫)의 효행
13)삼년상(三年喪)의 이유
14)상사(喪事)는 슬픔이 근본이다
15)인간 본연의 정
16)맹장자(孟莊子)의 효도
17)참된 정직
2.충(忠)의자세
18)대우(待遇)보다 일 중심
19)임금을 섬기는 도리
20)사랑하는 아들은 종아리를 때려라
21)예를 다하는 것은 아첨이 아니다
22)하느님 이외의 신(神)에게 기도하지 말라
23)은(殷)나라의 세 인자(仁者)
24)구국(救國)의 정열
25)무도(無道)한 왕은 돕지 않는다
26)충성과 청백(淸白)
27)계자연(季子然)의 어리석은 질문
28)거백옥(蘧伯玉)의 사신(使臣)
29)공무(公務)가 아니면, 상관의 사택(私宅)을 찾지 말라
30)장무중(臧武仲)의 반역(反逆)하려는 마음
31)우직(愚直)은 지혜보다 낫다
32)진문공(晉文公)과 제환공(齊桓公)
33)관중(管仲)의 인(仁)
34)관중은 대의(大義)에 살다
3.벗을사귀는도리
35)군자와 소인
36)덕은 반드시 이웃이 있다
37)안평중(晏平仲)의 교제
38)얻기 힘든 벗
39)우정
40)집을 지으려면, 먼저 연장을 갈라
41)유익한 벗과 해로운 벗
42)사람을 거부하지 않는다
43)군자의 교우론(交友論)
44)벗에게 하는 충고
45)동지로서의 자격
46)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어렵다
4.수양(修養)
47)증자의 세 가지 반성
48)젊은 학생들의 몸가짐
49)행위는 학문에 앞서야 한다
50)색(色)을 좋아하듯, 덕을 좋아하라
51)먼저 남을 알아야 한다
52)어진 사람의 인격
53)가난하여도 도를 즐기고, 부자라도 예를좋아한다
54)수양과 벼슬
55)인(仁)에뜻을 둔 사람
56)하루라도 인에 힘쓸 사람이 있을까?
57)어진 사람과 어질지 않은 사람 모두에게 배울 것이 있다
58)예로 자신을 제약(制約)하라·
59)두 번 생각하면 충분하다
60)자신을 꾸짖는 마음
61)해보기도 전에 힘이 부족하다 말하지 말라
62)내가 하고 싶은 것을 먼저 남에게 하게 하라
63)공자의 태도
64)나의 스승
65)얻기 힘든 사람들
66)인격의 완성
67)끊어 버린 네 가지 욕망
68)인이란 예로 돌아오는 것
69)덕을 높이고 악(惡)을 숨기는 법
70)인은 남을 생각하는 것
71)총명의 뜻
72)덕행을 높이고 미혹을 분별한다
73)달인(達人)이란?
74)절조(節操)가 없는 사람
75)도의 실천은 힘들다
76)정말 근심해야 할 일
77)좋은 말[馬]이란?
78)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으면 절박한 걱정이 따른다
79)자기 잘못은 꾸짖고, 남의 잘못에는 너그러워라
80)관용(寬容)의 도
81)진정한 잘못
82)선을 추구하는 생활
83)내 어찌 먹지 못하는 쓴 박[匏]이 될까?
84)좋은 말은 듣기만 하지 말라
85)있으나 마나 한 사람
86)선인(善人)의 의의
87)사람은 도(道)에서 살아야 한다
88)도를 즐기는 생활
89)덕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90)물과 불보다 더 필요한 인(仁)
91)도에 살고, 도에 죽는다
92)하늘만이 나를 안다
93)도(道)와 사람
5.학문하는태도
94)군자다운 사람
95)옛것을 익혀 새것을 안다
96)학문과 사색(思索)
97)학문의 목적
98)진정으로 아는 것
99)넓게 배우고, 실제 문제를 생각하라
100)과거를 알면 현재와 미래를 알 수 있다
101)노력과 학문
102)사색과 학문
103)말과 실천
104)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말라
105)성실과 학문
106)남에게 화풀이하지 말라
107)학자의 자세
108)공자는 표준어로 시서(詩書)를 읽으셨다
109)많이 듣고 보는 것이 낫다
110)학문하는 태도
111)군자의 학문, 명(命)과 인(仁)
112)진보(進步)와 퇴보(退步)
113)아는 것은 실천하라
114)안회의 침묵
115)수양이냐, 명성이냐
116)허영(虛榮)을 버리고 실력을 길러라
117)자기 자신을 알아야 한다
118)학문과 벼슬
119)배운 것을 실천하라
120)학문은 모든 것의 뒷받침이 된다
121)《시경(詩經)》의 정신
122)《시경》의 효능
123)일관(一貫)된 도
124)《시경》과 인격 형성
6.교육의방법과필요성
125)문을 두드리지 않는 사람에게는 열어 주지 않는다
126)네 가지 가르침
127)오는 자를 맞아들이라
128)어떻게 할 수 없는 사람
129)성실을 다하여 가르친다
130)교육에는 계급이 없다
131)마름질하지 않은 비단과 같은 젊은이들
132)기백(氣魄)과 절조(節操)
133)본성(本性)과 교육
134)인간 형성과 교육
135)재주에는 한계가 있다
136)사람의 네 가지 차등(差等)
137)상지(上知)와 하우(下愚)와 평범
138)선인(善人)의 재능
139)전쟁과 국민 교육
140)세 가지 교훈
141)능력에 따라 가르친다
142)건방진 소년
143)하늘은 말이 없다
144)묻는 말은 같아도, 대답은 달라야 한다
145)행동의 교훈
146)어진 한 사람을 보고, 그 나라를 알 수 있다
147)난세를 탄식하다
7.말
148)아첨에는 인(仁)이 없다
149)말보다 실천
150)실천이 앞서야 한다
151)말은 더디고, 행동은 민첩하게
152)충고(忠告)에도 한계가 있어야 한다
153)인덕(仁德)과 말재주
154)군자를 속일 수는 있지만 빠지게 할 수는 없다
155)남의 일에 간섭하지 말라
156)공사(公私)에 다르게 말하다
157)남용(南容)의 언행
158)민자건의 능변(能辯)
159)말재주를 싫어한다
160)실천하기 어려우니, 쉽게 말할 수 없다
161)국가의 흥망(興亡)이달린 말
162)덕과 말, 인(仁)과 용(勇)
163)큰소리치는 사람은 실천이 따르지 않는다
164)남을 비판할 겨를이 없다
165)문장의 의의
166)지자(知者)는 실인(失人)도, 실언(失言)도 하지 않는다
167)말에는 도의(道義)가 따라야 한다
8.행실
168)의리, 약속, 예의, 존경
169)지자(知者)는 어리석은 것 같다
170)사람을 보는 법
171)멍에 없는 수레와 같은 사람
172)조상 이외의 우상에게 절하지 말라
173)근본 없는 사람에게서 무엇을 취하랴
174)인자(仁者)와 지자(知者)
175)인자의 곧은 마음
176)사람이 이익만 알면, 원망을 받는다
177)욕심이 없어야 강직(剛直)할 수 있다
178)썩은 나무에는 조각(彫刻)할 수 없다
179)자공의 염원(念願)
180)분에 넘치는 행위는 지자(知者)가 할 일이 아니다
181)정직한 사람
182)두 가지 부끄러운 일
183)겸용(謙勇)의 덕
184)지(知)와 인(仁)
185)지자(知者)는 물을 좋아하고,인자(仁者)는 산을 좋아한다
186)인(仁)하지 않으면 사람답지 않다
187)중용(中庸)의 덕
188)진퇴(進退)의 길
189)부(富)와 의(義)
190)인은 가까운 데 있다
191)도를 실천하기는 어렵다
192)차라리 고루(固陋)한 것이 낫다
193)교만과 인색
194)후배를 두려워하라
195)지(知)·인(仁)·용(勇)
196)사람이 귀하다
197)중용
198)염구(冉求)의 인품
199)자로(子路)의 결단성
200)착한 사람이란?
201)인(仁)에 가까운 사람
202)수치(羞恥)스러운 일
203)네 가지 정(情)의 극복
204)완성된 인격자
205)공숙문자(公叔文子)의 인품
206)원수를 정직한 마음으로 갚으라
207)원양(原壤)의 교만
208)말과 행위
209)자기를 희생하여 인을 이루다
210)스스로 구하지 않는 사람
211)순직(純直)의 도
212)의심스러운 부분은 망조(妄造)하지 말라
213)작은 일을 참지 못하면 큰일을 이룰 수 없다
214)인(仁)은 스승에게도 사양할 필요가 없다
215)유익과 해를 주는 세 가지 즐거움
216)백성은 부귀가 아니라 덕을 찬양한다
217)인(仁)은 다섯 가지를 이룬다
218)가식(假飾)된 소인(小人)
219)세속에 아부(阿附)하는 도둑
220)비열한 사람들
221)무위도식(無爲徒食)하지 말라
222)볼 장 다 본 사람
223)타락한 세상에서의 처세
224)자장(子張)의 단점
225)백이(伯夷)·숙제(叔齊)는 과거의 잘못을 잊었다
9.예절의여러형태
226)예절로 조절한다
227)흰 바탕이 마련된 뒤에 색칠한다
228)예의 근본
229)예악은 인을 떠날 수 없다
230)예의는 임금보다 중하다
231)소송이 없는 나라
232)임금을 섬기는 예
233)신분에 따른 인사
234)출퇴(出退)의 예
235)이름 부르는 예
236)국빈(國賓)을 맞는 예
237)외교관으로서의 몸가짐
238)문안에 관한 예
239)자리에 앉는 예
240)이웃간의 예
241)복장의 예
242)수레에서의 예
243)평소의 예의범절
244)사람에 대한 예
245)맹인 악관(樂官)을 대하는 예
246)도리에 맞는 예
247)예악은 어울려야 한다
248)예악에는 등급이 있다
249)관중은 작은 그릇이다
250)제사 지낼 때의 몸가짐
251)성의가 없는 제사는 무의미하다
252)제사는 다른 사람이 대신할 수 없다
253)양(羊)보다 예가 중요하다
254)지나친 예는 예가 아니다
255)신분과 장례
256)큰 덕과 융통성 있는 예절
257)증명은 근거가 있어야 한다
258)산신령이 예의 근본을 물은 임방(林放)만 못한가?
259)예악의 근본
10.군자(君子)
260)군자의 마음가짐
261)군자의 몸가짐
262)군자는 기술자가 아니다
263)군자의 승부(勝負)
264)군자는 인(仁)에 살고, 인에 죽는다
265)잘못을 보아도 인(仁)을 알 수 있다
266)도에 뜻을 둔 사람
267)오직 의를 따를 뿐이다
268)군자는 덕과 형법을 생각한다
269)군자와 소인의 구별
270)군자의 네 가지 도
271)재물이 많으면 남에게 나누어 주라
272)성실과 교양
273)널리 배운 것을 예로 요약(要約)하라
274)군자의 이상적인 생활
275)군자와 소인의 마음
276)군자의 감화(感化)
277)군자의 세 가지 예
278)군자의 실천
279)참된 군자의 지조(志操)
280)군자의 책임
281)군자의 처세
282)다능(多能)은 성인의 조건이 아니다
283)굳은 지조는 빼앗을 수 없다
284)겨울이 되어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절개를 알 수 있다
285)군자의 즐거움
286)군자를 아는 법
287)군자는 두려움이 없다
288)군자에게 고독은 없다
289)형식과 내용의 조화
290)군자와 소인
291)선비의 자격
292)군자는 부화뇌동(附和雷同)하지 않는다
293)섬기기 쉬운 사람, 섬기기 힘든 사람
294)군자와 소인의 차이
295)선비의 태도
296)선비의 몸가짐
297)힘보다 덕
298)군자와 소인의 인(仁)
299)선비의 뜻은 커야 한다
300)군자의 수양과 소인의 타락
301)군자가 생각하는 영역
302)공자의 인격
303)실천을 소중히 여긴다
304)현자(賢者)가 피하는 네 가지
305)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
306)군자는 곤궁하면 참고, 소인은 곤궁하면 탈선(脫線)한다
307)사어(史魚)와 거백옥
308)군자는 의리를 본질로 삼는다
309)군자는 자기 무능(無能)을 병으로 여긴다
310)사람은 죽은 뒤에 좋은 이름이 남아야 한다
311)군자와 소인의 태도
312)군자의 처세
313)군자의 마음은 공평무사(公平無私)하다
314)군자의 근심
315)군자와 소인의 재능
316)대의(大義)를 위해 소의(小義)를 버린다
317)군자를 모실 때의 세 가지 잘못
318)군자가 경계해야 할 세 가지
319)군자가 두려워해야 할 세 가지
320)군자가 생각해야 할 아홉 가지
321)군자가 미워하는 것
322)용기와 의리
323)군자도 사람을 미워한다
324)선비의 네 가지 조건
325)군자는 큰 도에 힘쓴다
326)성공의 길
327)소인은 핑계만 댄다
328)덕 있는 군자의 용모
329)군자와 정치
330)천하의 악(惡)을 모두 들은 주왕(紂王)
331)군자의 잘못은 일식(日蝕)과 같다
332)천명(天命)을 알고, 예를 알고, 말을 안다
11.정치
333)정치의 근본인 덕(德)
334)법보다 덕이 근본이다
335)정치의 의의
336)정치가의 성실함
337)예와 겸양(謙讓)으로 다스려야 한다
338)위정자의 몸가짐
339)위정자 먼저 자신을 바로잡으라
340)예를 좋아하는 윗사람의 교화
341)위정자는 모범을 보이라
342)정치의 은혜와 덕
343)세 가지 정책
344)성군(聖君)의 정치
345)적은 것을 걱정하지 말고, 균등하지 않은 것을 걱정하라
346)다섯 가지 미덕(美德)과 네 가지 악(惡)
347)도둑을 없애는 법
348)제정일치(祭政一致)
349)군자와 소인의 직분
350)지식·인덕·장엄·예
351)폭력보다 예
352)먼저 문물제도를 바로잡으라
353)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법
354)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355)위정자의 덕은 바람과 같다
356)임금이 예의가 있으면 신하가 충성한다
357)어진 신하가 있으면 망하지 않는다
358)임금은 상중(喪中)에는 정치하지 않는다
359)덕(德)의 정치
360)인재를 등용하는 법
361)인(仁)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362)백성이 복종하지 않는 이유
363)부하를 추천한 공숙문자
364)관직의 도둑
365)백성의 범죄는 위정자에게 책임이 있다··
366)선인(善人)의 정치
367)정치는 힘들다
368)작은 이익을 탐내면, 큰일을 못한다
369)정치와 도덕 질서
370)여론에 미혹되지 말라
371)백성을 법에 따르게 하나, 그 과정을 알게 할 수는 없다
372)너무 미워하면 반란(反亂)을 일으킨다
373)정(鄭)나라에서 외교문서를 정중히 꾸미다
374)정치에 대한 공자의 자신(自信)
375)공자의 정치적 자세
376)효행과 우애는 정치의 출발점이다
377)정치는 명실일치(名實一致)가 첫째다
378)제(齊)나라의 미인계(美人計)
379)주(周)나라의 선정(善政)을 실현하리라
380)우(禹)임금의 정치
381)첫째 경제, 둘째 교육
382)예와 조화
383)위대한 요(堯)임금의 업적
384)위대한 요임금의 정치
385)정권의 출처를 알면, 국가의 흥망(興亡)을 알 수 있다
386)질서가 무너지면 망한다
387)대의(大義)를 거스른 계씨(季氏)
388)무도(無道)한 위정자 아래서 벼슬하지 않는다
389)군주의 도(道)
390)정치를 맡길 만한 제자
391)자신에게 대범(大汎)하고, 남에게도 대범하면 지나치다
392)시와 정치
393)맹공작(孟公綽)의 재능
394)체제(禘祭)의 의의
395)백성의 신망이 첫째다
396)닭을 잡는데, 큰 칼을 쓸 필요가 없다
397)제자들의 포부(抱負)
398)문왕(文王)의 덕
399)인재는 나라의 영광
400)예를 모르는 양화(陽貨)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