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과학 일반
· ISBN : 9791194348306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5-08-14
책 소개
개념 연결로 초등 과학의 뼈대를 세우고 과학의 자신감을 키워 주세요!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은 분야가 세밀히 나뉘며 복잡해집니다. 이 때문에 초등학교 때 단단한 개념의 뼈대를 세우지 않으면 중학교에 들어가서 과학이 갑자기 어려워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개념연결 초등 과학 사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과학은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으로 나뉜 과목처럼 보이지만, 그 본질은 ‘개념연결’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 온난화’라는 하나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체의 성질(화학), 대기 운동(물리), 생태계 변화(생명과학), 그리고 지구 시스템(지구과학)의 통합적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책은 개념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고 확장되는지를 구조적으로 보여줘 학생들이 ‘과학은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라는 감각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돕습니다. 이는 단순 암기를 넘어선, 진정한 과학적 사고의 출발점입니다.
초등부터 중학까지 물·화·생·지 ‘한 권’으로 끝내는
믿을 수 있는 과학 필독서!
* 현직 교사와 전문가 집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을 전공한 현직 초등과 중·고등학교 교사, 교육 연구자, 과학 전문 작가 들이 모여 초등학생과 예비 중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집필했습니다.
* 체계적인 내용 구성: 초등 과학 교과서의 핵심 개념은 물론 중학교 기초 과학 개념까지 알차게 담았습니다. 개념의 긴밀한 연결을 위해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으로 나눠 학년순으로 구성했습니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부터 새롭게 추가된 융합 영역인 ‘과학과 사회’와 관련된 내용도 함께 수록해,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제와 자원, 지속 가능한 에너지에 관해 생각해 볼 수 있게끔 했습니다.
* 흥미로운 질문과 친절한 설명: 초등학생이 가장 궁금해하는 140개의 질문과 명쾌한 해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초등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직관적이고 친절한 일러스트, 비유와 예시 중심의 설명, 생활 속 사례를 풍부하게 활용했습니다.
■ ‘신나는과학을만드는사람들’ 추천 도서!
‘신나는과학을만드는사람들’은 서울 경기지역의 중·고등학교 과학 선생님들을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조직된 연구 모임으로 연구회원 235명, 일반회원 4,000여 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나는 과학’, ‘정확한 과학’, ‘모든 이를 위한 과학’을 표방하며 과학의 대중화와 과학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신나는과학을만드는사람들’의 선생님들은 이 책을 중학교에 올라가기 전 초등학생들이 꼭 읽어 볼 만한 책으로 추천했습니다.
■ 책 속으로: 사고력을 키우는 체계적인 본문 구성
* 대표 질문: “낙타의 속눈썹은 왜 이렇게 길까요?”처럼 초등학생이 가장 궁금해하는 140개의 질문으로 일상 속 호기심을 일깨우고 과학적 상상력을 키웁니다. 모든 질문에는 교과 연계 내용을 수록해 어떤 개념과 연결되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연구원 관찰일지: 지구에는 왜 이렇게 신기한 일이 많을까요? 외계인 연구원이 지구의 과학 현상을 관찰한 일지 형식으로, 재미있는 상황을 통해 일상 속에 어떤 과학 원리가 숨어 있는지 고민하도록 이끕니다.
* 그것이 알고 싶다: 본격적으로 학습 주제를 파헤치는 코너입니다. 딱딱한 과학 원리를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편안하게 풀고, 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은 물론,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풍부한 읽을거리를 담았습니다.
* 개념연결 박스: 본문에서 다룬 과학 원리를 더 깊이 파헤치는 고난도 개념이나, 낯선 방향으로 사고를 확장하는 사례를 담아 생각의 폭을 넓혀줍니다.
* 과학 이야기: 최근 새롭게 밝혀진 과학 이야기나 위대한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책 밖의 살아 숨 쉬는 과학과 직접 만납니다.
* 찾아보기: 우리 책에서 다룬 모든 내용의 핵심 키워드를 모았습니다. 관심 있는 키워드가 있을 때 ‘찾아보기’에서 관련 페이지를 모아서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교실과 가정을 위한 든든한 과학 안내서
이 책은 수업 전 예습, 수업 중 이해 보완, 수업 후 복습까지 모든 학습 단계에서 훌륭한 도구가 되어줄 것입니다. 수업 전에 읽으면 자신감을, 수업 중에 함께 보면 깊이 있는 이해를, 수업 후에 복습하면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학생뿐 아니라 아이들에게 과학 개념을 설명하거나 질문에 답할 때, 학부모님과 선생님들께도 든든한 안내자가 되어줄 것입니다.
■ 생각하는 방법을 키워 주는 ‘생각 사전(思典)’
『개념연결 초등 과학 사전』은 단순히 용어를 풀이하는 사전(辭典)이 아니라, 초등학생에게 꼭 필요한 개념을 선별하고 연결고리를 엮은 ‘큐레이션’이자 생각의 흐름을 따라가는 ‘생각 사전(思典)’입니다. 이는 최신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탐구, 문제 해결 등 ‘사고력 중심’의 학습을 강조한 것입니다. 이 책은 ‘지식’을 주는 책을 넘어, ‘생각하는 방법’을 키워 주는 책입니다. 하나의 개념을 이해하면, 그것은 곧 다른 개념으로의 다리가 되고, 새로운 질문으로의 문이 됩니다. 아이들이 이 책을 통해 개념을 따라가며 자연스럽게 사고가 자라고, 세상이 조금 더 흥미롭게 보이는 경험을 하길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 • 4
사용 설명서 • 14
들어가며- 몬떠행성의 위기• 17
물리
줄다리기에 힘의 원리가 들어 있다고요?• 28
왜 무거운 물체를 움직이는 게 더 힘든가요?• 31
코끼리와 시소를 타려면 원숭이 몇 마리가 필요할까요?• 34
왜 개수가 아니라 무게로 가격을 매겨요?• 37
지레를 이용하면 지구도 들 수 있다고요?• 40
내가 듣는 내 목소리와 녹음한 목소리가 다르다고요?• 43
확성기를 쓰면 왜 목소리가 커지나요?• 46
같은 도인데 왜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요?• 49
글로켄슈필은 어떻게 여러 음을 만들어 낼까요?• 52
물속에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요?• 55
윗집 소음이 안 들리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58
동전은 금속인데 왜 자석에 붙지 않나요?• 61
자석을 깨뜨리면 자기력도 사라질까요?• 64
자석을 공중에 띄울 수 있다고요?• 67
나침반으로 북극곰을 찾을 수 있다고요?• 70
자석이 춤추면 나침반 바늘도 춤춘다고요?• 73
달이 스스로 빛을 내지 않는다고요?• 76
지구에서 레이저를 쏘면 달까지 간다고요?• 79
왜 거울 속 모습은 좌우가 바뀌어 보여요?• 82
물이 마술처럼 빛을 꺾어 버린다고요?• 85
세상을 다르게 보여 주는 유리가 있다고요?• 88
최초의 온도계에는 영하가 없었다고요?• 91
100℃ 물과 0℃ 물을 섞으면 몇 ℃가 될까요?• 94
끓는 국에 숟가락을 넣으면 왜 같이 뜨거워질까요?• 97
보온병 안에 은이 들어 있다고요?• 100
사람도 아니고 공이 운동을 한다고요?• 103
KTX와 치타 중에 누가 더 빠를까요?• 106
안전띠가 자동차보다 먼저 발명되었다고요?• 109
전구에 불이 켜려면 꼭 필요한 것이 있다고요?• 112
세상의 모든 물질을 둘로 나눌 수 있다고요?• 115
건전지를 여러 개 연결하면 빛이 더 밝아지나요?• 118
자석을 전등처럼 껐다 켰다 할 수 있다고요?• 121
전자석으로 음악을 들을 수 있다고요?• 124
전기를 잘못 쓰면 위험하다고요?• 127
거대한 바람개비로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요?• 130
히므로의 울끈불끈 과학 이야기
공기와 물이 누르는 힘• 133
전기를 붙잡은 과학자, 벤저민 프랭클린• 134
물리학자들의 실험실• 135
화학
딱딱하면 물체이고, 흐물흐물하면 물질인가요?• 138
물질에 따라 물체의 성질이 달라진다고요?• 141
두 가지 물질을 섞으면 어떻게 되나요?• 144
유리는 고체인가요, 액체인가요?• 147
연필심으로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다고요?• 150
물은 왜 0 ℃에서 얼고 100 ℃에서 끓나요?• 153
물을 가만히 놔뒀는데 왜 점점 줄어드나요?• 156
물은 투명한데, 김은 왜 하얗게 보이나요?• 159
물은 얼었을 때 부피가 커진다고요?• 162
소금쟁이도 물에 빠질 수 있다고요?• 165
공기에도 무게가 있다고요?• 168
과자 봉지는 왜 비행기 안에서 더 빵빵해지나요?• 171
열기구는 어떻게 하늘 높이 떠 있을까요?• 174
과자 봉지 안에 왜 질소를 넣어요?• 177
공기가 없으면 청소를 못 한다고요?• 180
집에서도 젤리를 만들 수 있다고요?• 183
물에 설탕을 녹이면 질량이 어떻게 변하나요?• 186
탕후루 설탕 코팅에 비밀이 숨어 있다고요?• 189
튜브 없이도 몸이 뜨는 호수가 있다고요?• 192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를 물에 녹일 수 있다고요?• 195
우리가 산소보다 질소를 더 많이 마시고 있다고요?• 198
바닷물을 마시면 목이 더 마르게 된다고요?• 201
왜 사이다는 투명하고 코코아는 불투명해요?• 204
섞여 있는 재활용 쓰레기는 어떻게 분류하나요?• 207
바닷물을 천 일 동안 말리면 천일염이 되나요?• 210
산성은 모두 시고 염기성은 모두 쓴가요?• 213
우유는 산성인가요, 염기성인가요?• 216
남들이 볼 수 없는 편지를 쓰는 방법이 있다고요?• 219
치약은 왜 염기성인가요?• 222
김을 키울 때 염산을 사용했다고요?• 225
세 가지 조건이 갖춰져야 불이 난다고요?• 228
불에 타면 왜 모두 까맣게 될까요?• 231
물건이 썩지 않는 게 왜 문제예요?• 234
플라스틱도 종류가 많다고요?• 237
재활용은 많이 들어봤는데 새활용은 뭐예요?• 240
부리나의 부글부글 과학 이야기
여성 최초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 마리 퀴리• 243
분자로 만드는 새로운 맛, 분자 요리• 244
슬라임과 탱탱볼의 원리• 245
생명과학
꽃게거미는 게예요, 거미예요?• 248
고래가 아주 먼 옛날 육지에서 살았다고요?• 251
낙타의 속눈썹은 왜 이렇게 길까요?• 254
상어 비늘로 수영복을 만든다고요?• 257
이렇게 맛있는 딸기가 과일이 아니라고요?• 260
뿌리가 땅에 안 닿는 식물은 어떻게 살까요?• 263
선인장 줄기 속에 물이 가득하다고요?• 266
찍찍이 테이프처럼 달라붙는 씨앗이 있다고요?• 269
동물의 암컷과 수컷은 어떻게 다른가요?• 272
배추흰나비는 번데기를 거쳐야 어른이 된다고요?• 275
사자는 알을 낳나요, 새끼를 낳나요?• 278
이 조그만 수박씨가 어떻게 수박이 될까요?• 281
열매를 만들고 죽는 식물이 있다고요?• 284
고약한 방귀 냄새의 범인이 세균이라고요?• 287
짚신벌레는 동물이 아니라고요?• 290
버섯은 식물이 아니라고요?• 293
세균으로 음식을 만들 수 있다고요?• 296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멸종한다고요?• 299
모기를 모두 없애도 문제라고요?• 302
수원청개구리가 멸종 위기에 처했다고요?• 305
손가락은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요?• 308
딸기를 많이 먹으면 빨간색 똥을 누나요?• 311
숨을 쉬는 진짜 이유가 있다고요?• 314
피가 쉬지 않고 몸속을 돌아다닌다고요?• 317
물을 많이 마시면 오줌 색이 연해진다고요?• 320
우리는 어떻게 보고, 듣고, 맛보고, 느끼나요?• 323
운동하면 왜 근육이 커지나요?• 326
고구마는 열매가 아니라 뿌리라고요?• 329
고구마는 뿌리인데 감자는 줄기라고요?• 332
나무가 어떻게 물을 꼭대기까지 끌어올리나요?• 335
식물이 가짜 꽃을 만들어 낸다고요?• 338
식물이 택배를 보낸다고요?• 341
감염병은 어떻게 전 세계로 퍼지나요?• 344
몸속에 바이러스를 넣는 주사가 있다고요?• 347
세균을 키우는 직업이 있다고요?• 350
푸리아의 푸릇푸릇 과학 이야기
생물들이 보내는 비밀 신호• 353
생존을 위한 괴상한 전략들• 354
따라해 보자! 생물 관찰 놀이• 355
지구과학
서해 바닷물보다 동해 바닷물이 더 짜다고요?• 358
우리나라에 세계가 인정한 갯벌이 있다고요?• 361
바람이 안 불면 파도도 안 친다고요?• 364
바닷속에 거대한 산맥이 있다고요?• 367
우리나라 갯벌에 2 m가 넘는 지렁이가 산다고요?• 370
바닷물도 강물처럼 흐른다고요?• 373
강이 스스로 모양을 바꾼다고요?• 376
백두산이 화산 활동으로 위험하다고요?• 379
제주도의 검은 돌을 화산이 만들었다고요?• 382
지진을 이기는 건물을 만든다고요?• 385
달 표면의 토끼 모양이 사실 바다라고요?• 388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에서 왜 빠졌나요?• 391
달 위에 그림자가 생긴다고요?• 394
북두칠성이 별자리가 아니라고요?• 397
지구가 멸망하기 전에 우주를 개발해야 한다고요?• 400
왜 태양계에는 지구에만 바다가 있나요?• 403
돌이 태어나는 방법이 여러 가지라고요?• 406
케이크처럼 생긴 돌이 있다고요?• 409
공룡과 사람이 한 번도 만난 적 없다고요?• 412
내 발자국도 언젠가 화석이 될 수 있다고요?• 415
날씨 예보는 있는데 왜 기후 예보는 없어요?• 418
안개와 구름이 사실 같다고요?• 421
저기압은 기분 나쁘다는 뜻 아니에요?• 424
우물 덕분에 날씨를 예측하게 되었다고요?• 427
지구가 온실로 뒤덮여 있다고요?• 430
도시에서 별 보는 게 하늘의 별 따기라고요?• 433
지구의 운동 때문에 1년과 한 달이 정해졌다고요?• 436
계절마다 밤하늘에 다른 도형이 보인다고요?• 439
조선 시대에도 시계가 있었다고요?• 442
지구가 기울어져서 계절이 생긴다고요?• 445
크리스마스에 여름인 나라가 있다고요?• 448
기후 변화 때문에 날씨가 변하고 있다고요?• 451
인간 때문에 기후 변화가 생겼다고요?• 454
기후 변화가 아니라 기후 위기라고요?• 457
기후 운동은 어른들만 할 수 있나요?• 460
지지리의 반짝반짝 과학 이야기
별에서 온 작은 조각• 463
바닷속에 잠든 공룡 화석• 464
우주에서 떨어지는 돌, 운석• 465
찾아보기•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