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94508458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5-09-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실무형 팀장이 온다
CHAPTER 1 왜 실무형 팀장인가?
실무형 팀장은 왜 생겨났을까?
관리형 팀장 vs. 실무형 팀장
친구 같은 팀장, 동료 같은 팀장
멀티 제너레이션팀을 잘 다루어야 한다
팀장, 그걸 왜 해?
실무를 놓지 않는 커리어가 좋은 이유
CHAPTER 2 호갱님, 안녕하세요?
실무형 팀장, 나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위아래와 모두 단절된 느낌, 혼자 남겨진 느낌
실무도 하는데 전문성이 바닥?
확증 편향 경계하기
실무와 관리 비중을 정하기 어려운 이유
CHAPTER 3 실무형 팀장을 위한 팀 운영 매뉴얼
일이 돌아가는 체계 쌓기
알아서 일하는 낙원 같은 팀
자율성과 모티베이션
팀원이 감동하는 커리어 지원
동료와 함께하는 새로운 인사 관리
팀워크를 단단히 하는 우리 팀만의 문화 만들기
핵심에 집중하는 성과 관리
케이스별 의사결정 방식
팀원의 성장, 성장, 성장
CHAPTER 4 실무형 팀장의 ‘나 먼저 살아남기’
실무형 팀장, 나는 누구인가?
완벽한 리더 말고, 나다운 리더 되기
실무형 팀장의 울트라 전문성
팀장의 콘텐츠가 권위를 만든다
팀장의 시간 관리, 이것만 알면 된다
가장 강력한 커리어 자산 ‘팀장 리더십’
멘털 꽉 부여잡는 방법
에필로그_나의 진심이 닿기를 바라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직도 많은 조직에서는 팀장이 실무에 손대면 팀 관리에 집중하지 못할까 봐 걱정한다. 눈앞의 일을 직접 처리하기보다 팀원이 더 큰 성과를 내도록 돕는 게 팀장의 본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많은 팀장이 실무형이 되었고, 또 그렇게 변해가고 있다. 팀장이 실무를 한다는 것이 옳고 그른지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이 실무형 팀장을 요구하고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실무와 관리의 비중을 정하는 기준에는 절대적인 정답은 없다. 당신의 팀 상황에 맞는 기준을 깊이 고민하고, 미리 우선순위를 설정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팀의 규모, 팀장의 실무 전문성, 커리어 이력과 목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실무와 관리의 적절한 배분을 설계한다.
자율경영팀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자율경영팀을 만들기 전에 팀장은 반드시 일하는 체계를 정리하고, 이를 문서화해 공유해야 한다. 누구든 해당 업무를 맡았을 때 일정한 기준에 따라 일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만드는 것이다. 문서화된 내용은 팀 내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