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452391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5-10-27
책 소개
목차
책의 구성
추천사 _이용우(이노션 대표이사)
프롤로그 _김나연(이노션 인사이트전략본부장)
Part 1 놀이
Chapter 1 My AI Soulmate: 사랑과 우정 사이
삶의 영역별로 확장되는 애착 AI / 정서적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감각화된 AI / 인간‐AI 애착 관계의 배경과 향후 전망
Chapter 2 오운쳌: 오늘의 운세 체크
운세 콘텐츠의 대중화 / 왜 Z세대는 운세에 열광하는가?
Chapter 3 랜덤팬덤: 우연에 열광하는 요즘 사람들
랜덤 트렌드의 진화 / 일상 속 우연이 만드는 특별한 이야기들 / 랜덤이 만드는 새로운 경험
Chapter 4 모닝 레이브: 우리의 아침은 당신의 밤보다 힙하다
새로운 문법의 놀이문화 / Z세대가 아침부터 춤추는 이유 / 모닝 레이브와 만난 브랜드 사례
Part 2 일상
CChapter 1 노화탈출 넘버원: Z세대의 헬스케어
젊은층, 건강에 몰입하다 / 20대, 노화를 관리하다 / Z세대, 데이터로 관리하다
Chapter 2 소소(小小)소비: 웬만해선 소비를 막을 수 없다
다시 움트기 시작한 소비심리 / 불황에 더욱 주목받는 소비 트렌드 / 바뀐 소비 패턴이 가져온 기회와 의미
Chapter 3 4989 RE:conomy: 중고의 재발견
리커머스 시장의 성장 / 리커머스 시장 현황 / 향후 리커머스 시장 전망
Chapter 4 가내수공유튜버: 혼자서도 잘해요
거인들의 전쟁터가 된 유튜브 / 새로운 성공신화의 주인공들 / 우리는 왜 그들의 이야기에 빠져드는가 / 브랜드와 크리에이터의 새로운 공생법 / 새로운 시대의 개척자들: 그 의미와 미래
Part 3 세상
Chapter 1 취향 큐레이션: 콘텐츠 오마카세
큐레이션의 진화 / 큐레이션된 경험의 다양한 구현 형태 / AI 시대의 큐레이션된 경험 / 미래 큐레이션의 과제와 기회
Chapter 2 디지털 부업의 탄생: 작은 채널이 맵다
소셜미디어 피드의 새로운 풍경 / 스몰 크리에이터의 탄생 배경 / 스몰 크리에이터 시장의 성장동력 / 스몰 크리에이터 생태계의 변화와 전망
Chapter 3 진격의 덕후: 주류가 되어가는 서브컬처
국내 서브컬처 대중화의 배경 / 아니메의 대중화 / 서브컬처 게임과 블루 아카이브
Chapter 4 Long Time Yes See: 길어도 보더라
재조명되는 롱폼 콘텐츠 / 롱폼 콘텐츠 소비 이유 / 롱폼 콘텐츠의 마케팅 시사점
Part 4 마케팅
Chapter 1 Brand New Art: 브랜드가 예술이 될 때
브랜드 마케팅 영역의 확장 / 브랜드가 아트에 눈을 돌리는 이유 / 아트 마케팅 활동의 미래
Chapter 2 마케팅 아레나: 브랜드의 새로운 무대가 된 스포츠
국내 프로스포츠의 인기 / 대중화되는 마니아 스포츠 / 브랜드, 스포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Chapter 3 쁘(브+브)랜드십: 전략적 팀플레이
컬래버레이션의 한계와 파트너십의 부상 / 다양하게 전개되는 브랜드 파트너십의 사례 / 앞으로의 브랜드 파트너십
Chapter 4 서치 레볼루션: AI 시대 브랜드 노출 전략
다가오는 ‘제로 클릭’ 시대 / AEO와 GEO 전략이 필요한 이유 / AI 시대 브랜드가 점검해야 할 것들
스페셜 리포트
So Far So Cool 2026: 쿨함에 대하여
‘쿨하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 쿨한 브랜드는 무엇이며, 어떤 특징이 있을까?
〔부록〕
SPACE TREND: 공간 경험의 미래
Chapter 1 장소: 성수는 앞으로도 핫플레이스일까
Chapter 2 형태: 팝업 공간은 어떤 형태로 진화할까
Chapter 3 의미: 방문자는 공간에서 무엇을 보기를 원할까
Chapter 4 환경: 공간 마케팅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까
저자소개
책속에서
애착 AI는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기술 발전과 경제적 가치 추구, 외로움이나 불안을 해소하려는 심리적 동기, 관계와 소통에 대한 필요가 맞물린 결과라 할 수 있다. AI는 24시간 언제든 이용할 수 있으며, 판단이나 평가의 부담 없이 이용자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오롯이 그 사람의 편이 되어 응원과 지지를 보내준다. 이처럼 감정적 소모나 갈등의 걱정 없이 온전한 수용과 자기 이해를 경험하고자 하는 깊은 존재적 욕구가, 오늘날 많은 사람이 AI와 강력한 유대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이유라 할 수 있다. _「My AI Soulmate」
Z세대가 운세를 대하는 태도를 이해하는 핵심은 그것이 맹신이 아닌 활용에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운명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대신, 운세를 불확실한 현실을 헤쳐나가기 위한 주체적인 자기관리 도구이자 심리적 보조 수단으로 사용한다. MBTI를 통해 자신의 성향을 파악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설정했듯이, 운세를 통해 자신의 현재 상황과 감정을 객관화하고 미래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Z세대는 운세를 보고 타고난 운명이니 어쩔 수 없다고 체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도전과 선택에 긍정적인 확신을 더하는 자기암시의 주문처럼 활용한다. _「오운쳌」
랜덤 트렌드는 단순히 우연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 예측 불가능성을 즐기며 새로운 경험과 관계를 만들어가는 문화현상으로 자리잡았다. 계획된 완벽함보다 즉흥적인 불완벽함이 더 매력적인 시대, 랜덤은 Z세대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새로운 경험 문화로 진화하고 있다. _「랜덤팬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