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체

제주체

(건축의 섬, 제주로 떠나는 현대건축여행)

박길룡, 김석윤, 이재성 (지은이)
디북(도서출판 디)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체 (건축의 섬, 제주로 떠나는 현대건축여행)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9505291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11-14

책 소개

제주의 문화경관을 읽는 최초의 건축 가이드북이다. 제주에서 활동하는 지역 건축가 김석윤, 외부 평론가 박길룡, 건축 사진가 이재성이 지역의 토착 정보를 깔고, 조금 먼 외래의 시선으로 조감하며, 사진으로 시각적 이해를 전하는 3차원의 접근이다.

목차

기행을 떠나며 - 제주 현대건축을 읽는 아홉 개의 탐침 / 010

part 1. 오늘에서의 전통
전통의 시형식
민속자연사박물관_김홍식 / 022

국립제주박물관_김기웅 / 026

옴팡의 기억
제주돌박물관_오경환+삼안건설기술공사 / 034
한라도서관_김석윤 / 046
제주아트센터_양건 / 050
제주월드컵경기장_황일인 / 054

part 2. 사회적 가치
도시건축의 윤리
제주시 기적의 도서관_정기용 / 064
서귀포 기적의 도서관_정기용 / 068
천주교 제주교구 연동성당_권문성, 이경락 / 072
보오메 꾸뜨르 부티크 호텔_승효상 / 076
제주전문건설회관_이충기 / 080
강정마을 / 082

제주가 기억하려는 것
제주4·3평화기념관_이상림 / 092
올림픽 성화도착 기념조형물_정보원 / 100
제주국제평화센터_김희수+공순구 / 104
제주 추사관_승효상 / 108

IT가 제주를 만나면
다음 글로벌미디어센터_유석연 / 124
다음 스페이스 닷 원_조민석 / 128
넥슨컴퓨터박물관_양건 / 134

part 3. 자연을 만나는 법
자연이 건축을 만나는 법
오설록 티뮤지엄_김동주 / 146
티스톤_조민석 / 152
이니스프리 제주하우스_조민석 / 160
본태박물관_안도 타다오 / 164
제주현대미술관_김석윤 / 174
제주도립미술관_간삼건축 / 180
왈종미술관_다비드 머큘로+한만원 / 186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_한대진 / 194
조랑말 체험공원_윤웅원, 김정주 / 200

아열대 건축
여미지식물원_고바야시 하루토 / 214
하얏트 리젠시 제주_존 모포드 / 222
제주국제컨벤션센터_니켄 세케이 + 이상림 / 226
부영호텔_리카르도 레고레타 / 232

part 4. 문학적 은유
풍광이 되려는 건축
지니어스 로사이_안도 타다오 / 248
글라스 하우스_안도 타다오 / 262
아고라_마리오 보타 / 270
힐리우스_삼우건축 / 280
벨라테라스_간삼건축 / 284

현상으로서 건축
포도호텔_이타미 준 / 294
핀크스 뮤지엄 바람-돌-물_이타미 준 / 302
두손미술관_이타미 준 / 324
방주교회_이타미 준 / 332

기행을 마치며 - 건축의 섬, 제주의 유전자 / 340

소론 - 제주의 건축, 탐라에서 근대까지 / 344

색인 / 364
참고문헌 / 368

저자소개

박길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국민대학교에 재임하는 동안 조형대학장, 건축대학장, 박물관장을 지냈다. 건축가협회상(1995), 서울시건축상-연구부문(2008), 한국건축문화대상-올해의 건축문화인(2011) 등을 수상했다. 《세컨드 모더니티의 건축》, 《통섭지도 : 한국건축을 위한 9개의 탐침》 등의 저술을 통해 비평적 사관을 펼쳤다. 문화 교차의 관점에서 《시간횡단, 건축으로 읽는 터키 역사》와 《남회귀선, 라틴아메리카의 문명기행》, 《한국현대건축평전》, 《서울체 ? 서울을 건축으로 보다》를 저술했다.
펼치기
김석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제주에서 태어났다. 1963년 전남대학교에 입학하고 이듬해 홍익대학교로 편입하여 1967년에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였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ROTC 공병장교로 병역을 마친 뒤에, 금성종합설계공사(현 금성건축)에서 <한라관광호텔 신축공사>(1970), <한독부산공공직업훈련소 신축공사>(1970), <제주대학 수산부 임해연구소>(1971-1972), <오현중고등학교 종합계획>(1972) 등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무를 익혔다. 1972년에 제주도로 낙향하여 1973년까지 세기건설에서 근무한 후, 1974년 3월 ‘김석윤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이후 <한라산국립공원 시설관리사무소 및 시설공사>(1974), <용두암 휴게소>(1975) 설계를 시작으로 <현 씨 주택>(1980), <김한주 씨 주택>(1983), <김승택 씨 주택>(1984), <제주도지사 공관>(1985), <제주 시립 탐라도서관>(1989), <제주 노인복지회관>(1991), <김건축 사옥>(1992), <천주교 신제주 성당>(1993), <제주 지방공무원 교육원>(1993), <제주현대미술관>(2007), <제주 한라도서관>(2008), <제주 웰컴센터>(2009) 등을 발표하였다. 1992년 한국건축가협회 제주지회장을 역임하며 한일 민가 연구교류회에 관여하였다. 1998년에는 제주도 건축사협회장으로 활동하며 『제주의 건축』(1999)과 「제주의 마을공간 조사 보고서: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1999)를 공동으로 발표하였고, 현대건축에 대한 저서로는 『제주체』(2014, 2021, 공저) 등이 있다. 2005년에는 사단법인 제주문화포럼 이사장을 지냈으며, 한국건축가협회 아천건축상(1992), 제주도문화상 예술부문(2004), 한국건축가협회 본상(2009), 국무총리 표창(2011)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재성 (사진)    정보 더보기
건축을 전공하고 건축 전문지 기자를 거쳐 현재 건축 전문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진 작품집으로 《헤이리, 꿈꾸는 풍경》, 《북하우스》, 《건축도시기행》, 《서울체 ? 서울을 건축으로 보다》이 있으며, '한국건축산업대전 건축사진 전시회'2010/킨텍스, '건축도시기행전'2013/아라아트센터, '한국건축사진가회 릴레이전'2018/Arte22 등 그룹 사진전에 참여하였다. ‘영등포 쪽방촌 리모델링 사업’의 사진작업 및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떤 대상을 유형으로 엮는 것은 할 수 없이 분류하여야 하고 편을 갈라야 하는 쑥스러운 일이다. 우리가 선물 받은 모든 건축은 작품마다 다른 성질이 있고, 작업마다 같지 않을 주장들이기에 그렇다. 무릇 분류라는 게 합리적인 일 같지만, 나누는 자의 편견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니 단순하게 지역별로 나누어 보는 것이 편하고 책임질 일도 안 생길 터이다. 그러함에도 제주의 현대건축을 위치에 따라 다니는 것은 게으른 일 같다.
제주의 건축을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몇 가지의 주제어로 설명하면 좀 더 선명해지리라 생각했다. 자칫 개념의 편재라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제주 고유의 유전자, 역사 문화, 아열대 풍광이 건축가들의 지혜와 엮어져 만든 사실을 9가지 주제어로 정리하였다. 아마 이것도 ‘한정되기에 독자로운’ 제주의 건축이어서 가능한 일일 것이다. 이러한 나눔은 논리를 통한 유형학적 결과도 아니고, 평가의 기준이 전제된 것도 아니다. 어떤 건축은 두 개 이상의 복합적인 주제를 가지기도 하고, ‘따로’의 개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주제에 끌려 들어온 건축도 있다. 그 편의의 무리를 무릅쓰고, 4개의 범주와 9개의 주제로 기행紀行의 경로를 잡으려 한다.”
- 기행을 떠나며 중에서


“중심을 향한 문화의 쏠림 현상은 한국의 보편적 상황이지만, 제주에 주어진 여러 상황을 놓고 보면 자강自彊의 방안은 좀 더 쉬우리라 생각한다. 정책과 전문가 집단이 긴장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지역성이 얼마나 지속될지 모른다. ‘보통’이 ‘특별’을 세척하는 힘은 드세지고, 평범류平凡類가 행세하기 때문이다. 종의 보존 온실, 갈라파고스에도 인간이 들어서면서 생물은 진화를 멈추거나 예상치 못한 변이가 활발해졌다. 문화도 교차로 잡종강세를 이루지만, 원형질은 희석되고 만다. 그래서 모태母胎의 건강이 중요하고 아버지(건축)를 가려야 한다.”
- 기행을 마치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