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축가는 어떤 집에서 살까

건축가는 어떤 집에서 살까

(특별하지 않게 특별하게 사는 집 스토리)

김원, 김진애, 류춘수, 김인철, 황두진, 최욱, 박헬렌주현, 서혜림, 조성룡, 윤명오, 김영섭, 김석윤, 정기용 (지은이), 김재경 (사진)
서울포럼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축가는 어떤 집에서 살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축가는 어떤 집에서 살까 (특별하지 않게 특별하게 사는 집 스토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88985734257
· 쪽수 : 239쪽
· 출판일 : 2005-03-10

책 소개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가 13인이 '건축가의 집'에 얽힌 이야기들을 소개한 책. 상암월드컵 경기장을 설계한 류춘수, 인사동길을 설계한 김진애, 선유도공원과 아시아선추촌을 설계한 조성룡 등 건축가들이 지은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집 이야기들이 실렸다.

목차

머리말 ㅣ 이 집은 특별하지 않다, 아니 그래서 특별하다

녹두는 대나무 숲에서 긴 잠을 자고 있다 / 김인철

결혼은 친구랑 한다 / 최욱

집에 나를 맞추기 / 황두진

모든 방은 '지하'의 방 / 박헬렌주현

나의 집은 백만 평 / 정기용

낯설음과 익숙함을 같이 담는다 / 서혜림

아파트에서 18년간 살아가기 / 조성룡

내 인생의 옥상파티 / 김진애

대장장이의 칼 한 자루 / 윤명오

화장실에 앉아 인왕제색을 본다 / 김원

한옥에 살면서 한옥 동네를 지킨다 / 김영섭

한 오백년이 됩니다 / 김석윤

반야마을의 이름 없는 집 / 류춘수

에필로그 ㅣ 건축가들의 집 스토리... 그 여덟 가지 특색 / 김진애

프로필

저자소개

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가,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대표. 1988년 백남준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 세운 비디오 설치물 '다다익선'의 골조 설계를 담당한 이후 국내외를 오가며 교유했다. ‘백기사’ 초대 사무국장을 지냈다. ‘김원의 삶과 사람들’이란 제목 아래 『행복을 그리는 건축가』 『꿈을 그리는 건축가』 『못다 그린 건축가』 연작 산문집을 출간했다.
펼치기
김진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시건축가인 탓에 인간이 문명을 이루어 사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 일하며 여행했다. ‘홀로여행’ 예찬론자이지만 커플 여행, 가족 여행, 강아지와의 여행, 그룹 여행, 출장 여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여행에 통달한 타고난 여행자이자 훈련된 여행자다. 20대에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했고, 30대에 MIT에서 도시계획학 박사를 받고 ‘서울포럼’을 창업했으며, 40대에 『타임』이 선정한 ‘차세대 리더 100인’ 중 유일한 한국인으로 기대를 모았다. 50대에는 제18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60대에는 제21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맹활약하며 대중의 지지를 받았고 서울시장 출마를 위해 국회의원직을 내려놓는 강단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사람과 삶에 대한 애정과 정치에 대한 희망으로 꾸준히 책을 써왔다. 『김진애 상식의 힘』 『우리 도시 예찬』 『도시의 숲에서 인간을 발견하다』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여자의 독서』 『한 번은 독해져라』 『왜 공부하는가』 『인생을 바꾸는 건축수업』 등을 썼으며, tvN 「알쓸신잡」 등 다양한 방송과 강연으로 대중 곁에 다가서고 있다.
펼치기
류춘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한양대학교 건축학과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과를 졸업했다. 주요 작품으로 서울올림픽 체조경기장, 중국 868 타워,서울 월드컵경기장, 지하철 경복궁역사 등이 있으며, 1988년 국제 건축상 금상, 1990년 건축가협회의 제4회 아천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 <흐르는 세월, 변하는 장소>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인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르키움 대표 건축가. 홍익대학교 건축과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엄덕문 문하에서 실무를 익힌 뒤 아르키움을 개설하고 건국대, 홍익대 겸임교수를 거쳐 중앙대 교수로 재직했다. 전통과 풍토에 바탕을 둔 ‘열림’을 화두로 작업하며 김옥길기념관, 웅진씽크빅, 어반하이브, 호수로 가는 집으로 건축가협회상, 김수근문화상, 서울시건축상, 건축문화대상을 수상했다. 한국건축3인전, 헤이리아트밸리건축전, 파주출판도시건축전, 한국현대건축전 ‘megacity network’ 등을 통해 작업을 발표했다. 4.3그룹에 참여하고 국가건축정책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사)서울건축포럼의 의장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총괄건축가를 맡고 있다. 저서로 《김인철 건축 작품집》(월간 건축과환경, 1989), 《김옥길기념관》(서울포럼, 2000), 《대화》(동녘, 2002), 《공간열기》(동녘, 2011), 《건축가의 여행, 바람을 품은 돌집》(도서출판 집, 2014), 《바우지움》(아르키움, 2017)이 있다.
펼치기
황두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설립된 황두진건축사사무소의 대표다. 서울 구도심에서 작업을 시작하여 점차로 전국, 국외로 범위를 넓혀왔다.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통해 한국 현대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실무 건축가이면서도 저술 및 연구에도 관심을 보여 무지개떡 건축- 등 7권의 단독 저서를 펴냈고, 건축가 이훈우에 대한 연구와 같은 한국 근대건축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최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생. 2000년 설립된 원오원아키텍스의 대표이자 ≪도무스 코리아≫ 발행인이다.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건축대학교(Dott. of Architecture)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미국의 맥도웰 콜로니, 스페인의 발파라이소 파운데이션에서 펠로우십을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의 객원교수를 역임하였다. 그가 이끄는 원오원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전문가 집단이다. ‘그라운드스케이프’와 ‘프리미티브 모던’에 대한 탐구와 실현을 기본 원칙으로 삼으며, 도시 및 건축 프로젝트부터 라이프스타일 디자인까지 국내외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박헬렌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나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물리학 학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 건축학 석사와 조경학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5년 현재는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조교수로 일하고 있다. 미국 건축가협회 최우수작품상, 영국 Architectural Review 등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서혜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나 콜롬비아대학교에서 건축과 학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서울로 돌아와 (주)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장으로 일하다, 서혜림 건축 연구소를 설립했다. 현재는 (주)건축사사무소 힘마를 공동운영하며,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서울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건축가협회상과 서울특별시 건축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대표작으로 'Gate Building', '시청 직장 어린이집' 등이 있다.
펼치기
조성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인하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우일건축연구소에 근무하다가, 1975년 우원건축연구소를 설립하며 독립했고, 1983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 선수촌 및 기념 공원' 국제 설계 경기에서 1등 당선했다. 주요 작업으로 아시아 선수촌 아파트, 인하대학교 학생 회관, 양재 287.3, 의재미술관, 서울 올림픽공원 SOMA미술관, 한강 선유도공원, 지앤 아트스페이스, 이응노의 집-생가 기념관, 서울어린이대공원 꿈마루 등이 있다. 서울시 올해의 건축가상(2014), 한국건축문화 대상 대통령상(2001, 2013), 서울시건축상(1986, 2003), 한국건축가협회상(1992, 2003)과 김수근문화상(2003) 등을 수상했다. 1989년 일본 도쿄에서 '마당의 사상, 신세대의 한국건축 3인전'(일본 도쿄 Gallery MA) 에 참여한 이래 '4.3 그룹 건축전'(서울, 1991), 유럽 순회 단체전 'S(e)oulscape : Towards a New Urbanity in Korea',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 어번폴리(Urban Folly)', '서울건축문화제 올해(2014)의 건축가 조성룡전'(2015) 등 국내외 여러 건축 전시회에 참가하였다.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이탈리아 베니스, 2002) 전시회에 초대되었고, 2006년에는 같은 전시회의 한국관 커미셔너를 맡았다. sa/서울 건축학교 교장(1996~2003),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2004~2009)을 지냈다. 2018년 현재 성균관대학교 성균건축도시설계원 초빙 교수로 강의하며, 도시건축집단/조성룡도시건축의 대표로 있다. 우리 지형과 역사에서 도출되는 건축의 공공성과 건축 교육의 인문성에 긴 시간을 바쳐 온 그는 소록도 마을 프로젝트 ‘건축의소멸’, 잠실 5단지 주거 복합 시설 국제 설계 공모 당선작 ‘잠실대첩’등의 근작을 통해 더 큰 곳과 더 미미한 곳을 끊임없이 걷고 살핀다.
펼치기
윤명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대학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명지대 교수 및 서울시립대학 도시방재안전연구소장을 거쳐, 2005년 현재는 동 대학 도시건축조경학부 교수 겸 도시방재안전연구소장 및 도시과학대학원 소방방재전공과정의 주임교수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2년 건축문화 설계연구소를 설립하고 2006년까지 운영하였다. 이듬해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석좌교수로 초빙된 후 2007년 9월부터 2015년 정년 시까지 건축학과 교수 및 동 대학 디자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2011년 스페인 마드리드 E.U.M.대학 교환교수직과 2013년 성균 건축도시 연구원(SKAi) 원장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과 그라나다대학 등 외국의 여러 유수 대학에서 초청 강연회를 가졌으며 퇴임 후 실무 건축가로 활동을 재개하였다. 1996년 제7회 김수근 건축상, 두 번의 대한민국 환경문화대상, 네 번의 한국건축문화대상, 서울시 건축상과 건축가협회상, 건축사협회상, 가톨릭 미술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그의 건축 작품집은 2003년 오스트레일리아 이미지(Image Publishing) 사의 ‘세계 100명의 마스터 건축가 전집’ 시리즈의 제53번째 작가로 선정되어 출판되었다. 대한민국 국적 건축가로서 해외 출판사 기획에 의해 최초로 영문판 건축 작가 작품집이 출간되는 영예도 동시에 부여받았다. 이듬해 2004년 세계 건축가 1000 인명사전에 마스터 아키텍트로 등재되었고, 2007년 일본의 세계적 건축 전문지 A+U 편집장이 선정하고 Art Design 출판사가 발간한 『세계 건축가 51인의 사상과 작품집(II)』에 수록되어 영어본과 일어본으로 소개되었다.
펼치기
김석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제주에서 태어났다. 1963년 전남대학교에 입학하고 이듬해 홍익대학교로 편입하여 1967년에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였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ROTC 공병장교로 병역을 마친 뒤에, 금성종합설계공사(현 금성건축)에서 <한라관광호텔 신축공사>(1970), <한독부산공공직업훈련소 신축공사>(1970), <제주대학 수산부 임해연구소>(1971-1972), <오현중고등학교 종합계획>(1972) 등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무를 익혔다. 1972년에 제주도로 낙향하여 1973년까지 세기건설에서 근무한 후, 1974년 3월 ‘김석윤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이후 <한라산국립공원 시설관리사무소 및 시설공사>(1974), <용두암 휴게소>(1975) 설계를 시작으로 <현 씨 주택>(1980), <김한주 씨 주택>(1983), <김승택 씨 주택>(1984), <제주도지사 공관>(1985), <제주 시립 탐라도서관>(1989), <제주 노인복지회관>(1991), <김건축 사옥>(1992), <천주교 신제주 성당>(1993), <제주 지방공무원 교육원>(1993), <제주현대미술관>(2007), <제주 한라도서관>(2008), <제주 웰컴센터>(2009) 등을 발표하였다. 1992년 한국건축가협회 제주지회장을 역임하며 한일 민가 연구교류회에 관여하였다. 1998년에는 제주도 건축사협회장으로 활동하며 『제주의 건축』(1999)과 「제주의 마을공간 조사 보고서: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1999)를 공동으로 발표하였고, 현대건축에 대한 저서로는 『제주체』(2014, 2021, 공저) 등이 있다. 2005년에는 사단법인 제주문화포럼 이사장을 지냈으며, 한국건축가협회 아천건축상(1992), 제주도문화상 예술부문(2004), 한국건축가협회 본상(2009), 국무총리 표창(2011)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정기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및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예과를 졸업하고 1972년 프랑스 정부 초청장학생으로 도불, 파리 장식미술학교 실내건축과와 파리 제6대학 건축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정부공인 건축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1982년 다시 프랑스 제8대학 도시계획과를 졸업했다. 1975~1985년 프랑스 파리 소재 건축 및 인테리어 사무실을 운영했으며 1986년 기용건축을 설립했다. 2004년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커미셔너로 활동했다. 성균관대 건축과 석좌교수, 문화재 위원을 역임하였으며, 도시건축집단 ubac에서 작업했다. 2010년 일민미술관에서 《감응: 정기용 건축》전을 가졌다. 2011년3월에 작고했다. 프랑스 노동성 주관 ANACT노동환경개선 설계경기 3위 입상, 제3회 교보환경문화상,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 서귀포건축상, 제주시건축상, 순천시 건축상, 한국건축가협회 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계원조형예술대학, 동숭동 무애빌딩, 의왕 청계동 주택, 진주동명중고등학교, 서울예전 드라마센터 리노베이션, 무주 공공 프로젝트무주군청, 공설운동장, 무주시장, 면사무소 4개소 등 다수, 영월 구인헌, 춘천 자두나무집, 어린이 도서관(순천, 제주, 서귀포, 진해, 정읍, 김해), 코리아나 아트센터 스페이스 C, 무주 곤충박물관, 파주 은하출판사, 파주 열림원 등이 있으며, 노무현 대통령 봉하마을 사저와 추모의 집을 설계하였다. 저서로는 『서울 이야기』, 『사람 건축 도시』, 『감응의 건축』, 『기적의 도서관』, 『기억의 풍경』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경 (사진)    정보 더보기
인문학적 감각과 절제된 심미성을 바탕으로 공간과 건축, 인간의 풍경을 기록하는 사진가다.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했으며 사진집 『자연과 건축』, 『MUTE』, 『MUTE 2: 봉인된 시간』, 『수원화성』(공저) 및 『셧 클락 건축을 품다』, 『김중업의 서산부인과 의원』(공저) 등이 있다. 현재 와이드AR 사진총괄 부편집인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집 역시 우리가 잠시 머무는 집이다. 아들에게 나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너의 집은 항상 너의 마음속에 있는 것이라고. - 서혜림

마당은 늘 비어있다. 비어있어야 한다는 사실만큼은 한옥에 살게 되면 누구나 생활 속에서 체득하게 된다. - 김영섭

우리는 세 종류의 집에서 동시에 거주한다. 유년시절을 보냈던 기억의 집, 현재 살고 있는 집, 그리고 우리가 아직 용기 있고 열정이 있다면 살아보고 싶은 꿈속의 집. - 정기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