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체

제주체

(건축의 섬, 제주를 가다)

김석윤, 박길룡, 이재성 (지은이)
디북(도서출판 디)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720원
20,8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체 (건축의 섬, 제주를 가다)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9505297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5-01

책 소개

2014년 출간한 <제주체 : 건축의 섬, 제주로 떠나는 현대건축여행> 개정판이다. 변화된 6년의 시간이 추가되었다. 구성과 편집을 새로이 했으며 같은 장면이라도 초판 사진 대부분을 새로 촬영한 사진으로 대체하고 드론 사진을 추가하였다.

목차

개정판 서문 / 제주의 시간 속도 008
초판 서문 : 기행을 떠나며 / 제주 현대건축을 읽는 아홉 개의 탐침 010
기행을 마치며 / 건축의 섬, 제주 290
소론 : 제주 현대건축의 유전자 / 제주의 건축, 탐라에서 근대까지 292

전통의 수사
민속자연사박물관 020
국립제주박물관 024

옴팡의 기억
한라도서관 032
제주아트센터 036
제주월드컵경기장 039

제주가 기억하려는 것
제주돌문화공원 046
제주4·3평화기념관, 4·3평화공원 060
제주국제평화센터 067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070

건축의 사회적 가치, 도시 건축의 윤리
제주시 기적의 도서관 078
서귀포 기적의 도서관 082
다음 글로벌미디어센터 086
스페이스닷원 089
넥슨컴퓨터박물관 094

건축이 자연을 만나는 법
오설록 티뮤지엄 100
티스톤 104
이니스프리 제주하우스 110
본태박물관 114
제주현대미술관 122
제주도립미술관 128
왈종미술관 134
버터모닝 138
붉은오름 목재문화체험장 141

지평의 건축
지니어스 로사이 148
글라스하우스 158
아고라 164
제주 추사관 170
조랑말체험공원 178
김창열미술관 184
바다다 190
공백 193
현대카드 가파도 프로젝트 200

아열대 건축
여미지식물원 212
테디베어뮤지엄 216
하얏트리젠시 제주 219
제주국제컨벤션센터 222
언타이틀드 2017 225

풍광이 되려는 건축
포도호텔 232
핀크스 뮤지엄 물-바람-돌 238
두손미술관 250
방주교회 254

제주에 묵기
제주스테이 비우다 262
제주 봄 265
제주토끼 269
카이로스 272
뜨레시옷 276
우주오리 280
문워크 284

저자소개

박길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국민대학교에 재임하는 동안 조형대학장, 건축대학장, 박물관장을 지냈다. 건축가협회상(1995), 서울시건축상-연구부문(2008), 한국건축문화대상-올해의 건축문화인(2011) 등을 수상했다. 《세컨드 모더니티의 건축》, 《통섭지도 : 한국건축을 위한 9개의 탐침》 등의 저술을 통해 비평적 사관을 펼쳤다. 문화 교차의 관점에서 《시간횡단, 건축으로 읽는 터키 역사》와 《남회귀선, 라틴아메리카의 문명기행》, 《한국현대건축평전》, 《서울체 ? 서울을 건축으로 보다》를 저술했다.
펼치기
김석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제주에서 태어났다. 1963년 전남대학교에 입학하고 이듬해 홍익대학교로 편입하여 1967년에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였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ROTC 공병장교로 병역을 마친 뒤에, 금성종합설계공사(현 금성건축)에서 <한라관광호텔 신축공사>(1970), <한독부산공공직업훈련소 신축공사>(1970), <제주대학 수산부 임해연구소>(1971-1972), <오현중고등학교 종합계획>(1972) 등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무를 익혔다. 1972년에 제주도로 낙향하여 1973년까지 세기건설에서 근무한 후, 1974년 3월 ‘김석윤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이후 <한라산국립공원 시설관리사무소 및 시설공사>(1974), <용두암 휴게소>(1975) 설계를 시작으로 <현 씨 주택>(1980), <김한주 씨 주택>(1983), <김승택 씨 주택>(1984), <제주도지사 공관>(1985), <제주 시립 탐라도서관>(1989), <제주 노인복지회관>(1991), <김건축 사옥>(1992), <천주교 신제주 성당>(1993), <제주 지방공무원 교육원>(1993), <제주현대미술관>(2007), <제주 한라도서관>(2008), <제주 웰컴센터>(2009) 등을 발표하였다. 1992년 한국건축가협회 제주지회장을 역임하며 한일 민가 연구교류회에 관여하였다. 1998년에는 제주도 건축사협회장으로 활동하며 『제주의 건축』(1999)과 「제주의 마을공간 조사 보고서: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1999)를 공동으로 발표하였고, 현대건축에 대한 저서로는 『제주체』(2014, 2021, 공저) 등이 있다. 2005년에는 사단법인 제주문화포럼 이사장을 지냈으며, 한국건축가협회 아천건축상(1992), 제주도문화상 예술부문(2004), 한국건축가협회 본상(2009), 국무총리 표창(2011)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재성 (사진)    정보 더보기
건축을 전공하고 건축 전문지 기자를 거쳐 현재 건축 전문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진 작품집으로 《헤이리, 꿈꾸는 풍경》, 《북하우스》, 《건축도시기행》, 《서울체 ? 서울을 건축으로 보다》이 있으며, '한국건축산업대전 건축사진 전시회'2010/킨텍스, '건축도시기행전'2013/아라아트센터, '한국건축사진가회 릴레이전'2018/Arte22 등 그룹 사진전에 참여하였다. ‘영등포 쪽방촌 리모델링 사업’의 사진작업 및 기록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전통의 수사
20세기 후반, 후기 모더니즘에 이르러 낭만적, 전통적, 토착적 성질이 지역의 근대성을 풍부하게 하리라는 믿음이 확장되었다. 세계의 여러 제3세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한국의 건축에서도 동일했다.


옴팡의 기억
제주에서 바람과 땅은 분리된 물상이 아니라 한통속이다. 바람이 건축의 형태를 지시하고, 건축은 땅을 파고 들며 품에 안긴다. 이러한 공간적 양태樣態를 옴팡이라 하여 일찍부터 신화에서 만들고, 일상의 생활공간에서 응용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