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축 사진의 비밀

건축 사진의 비밀

(건축을 보는 또 다른 시선, 기록을 넘어 추상으로)

박길룡, 이강헌, 현명석, 김재경, 박영채, 명이식, 김헌, 박종민, 문훈, 이우재 (지은이)
디북(도서출판 디)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600원
17,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축 사진의 비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축 사진의 비밀 (건축을 보는 또 다른 시선, 기록을 넘어 추상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95052950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9-05-10

책 소개

건축 사진의 성격 규명, 건축 사진이 사진 영역 내지 사진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 건축 사진을 바라보는 건축계의 시각, 건축가들이 바라보는 건축 사진과 그들이 촬영하는 사진은 건축 사진가가 촬영한 건축 사진과 어떤 점이 다른지 등을 보여준다.

목차

프롤로그 왜 건축 사진인가? - 이재성 4

박길룡 사진, 건축, 건축사진 12

이강헌 건축과 사진 26

현명석 건축 사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52

김재경 건축 사진의 이해 72

박영채 건축 공간의 결정적 순간 100

명이식 도시의 필연성과 우연성의 기록 122

김 헌 순간들-공간적 서사가 프레임을 얻는, 또 물질적 서사가 질감을 얻는 142

박종민 건축 사진과 건축 도구로서의 사진 186

문 훈 건축 사진은 건축이 아니다 232

이우재 건축 저널과 건축 사진 244

부 록 건축사진의 원리 - 김재경 264

에필로그 기록을 넘어 추상으로 ? 이재성 278

저자소개

박영채 (사진)    정보 더보기
사진가. 신구대학교 사진과를 졸업하고 건축 전문지에서 사진기자로 실무를 익혔다. 개인전으로 '소쇄원의 아침', '채와 마당의 긴밀한 관계' 등을 개최하였으며, '점, 선, 면 그리고 빛', '건축도시기행전', 'Human Space', '장.면.들 SCENES', '온고지신' 등 단체전에 참가하였다. 저서로 《소쇄원의 아침》이 있다.
펼치기
박길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국민대학교에 재임하는 동안 조형대학장, 건축대학장, 박물관장을 지냈다. 건축가협회상(1995), 서울시건축상-연구부문(2008), 한국건축문화대상-올해의 건축문화인(2011) 등을 수상했다. 《세컨드 모더니티의 건축》, 《통섭지도 : 한국건축을 위한 9개의 탐침》 등의 저술을 통해 비평적 사관을 펼쳤다. 문화 교차의 관점에서 《시간횡단, 건축으로 읽는 터키 역사》와 《남회귀선, 라틴아메리카의 문명기행》, 《한국현대건축평전》, 《서울체 ? 서울을 건축으로 보다》를 저술했다.
펼치기
김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가 / 건축사사무소 어싸일럼 대표. 한양대학교와 미시간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경희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조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 '엄덕문 건축상'을 두 차례 수상하였다.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를 비롯해 그 동안 일본, 중국 등에서 수차례 전시 및 세미나 등을 가진 바 있다. 한국건축가협회가 주관한 '학생 건축 사진 공모전'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펼치기
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가 / 문훈발전소 대표. 인하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대표작으로 '락있수다', '에스마할', '목동다세대주택', '롤리팝', '투문정션', '고미르게스트하우스' 등이 있다. '상상사진관'으로 건축가협회상을 수상하였다. 전시 '건축과 나', '문훈 드로잉'을 열었으며 도시계간지 《시티몽키》 창간 작업에 아트디렉터로 참여하였다. 저서로는 《달로 가는 제멋대로 펜》, 《기쁨의 건축》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경 (사진)    정보 더보기
인문학적 감각과 절제된 심미성을 바탕으로 공간과 건축, 인간의 풍경을 기록하는 사진가다.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했으며 사진집 『자연과 건축』, 『MUTE』, 『MUTE 2: 봉인된 시간』, 『수원화성』(공저) 및 『셧 클락 건축을 품다』, 『김중업의 서산부인과 의원』(공저) 등이 있다. 현재 와이드AR 사진총괄 부편집인이다.
펼치기
이강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 1946년생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학사) ―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원 건축학 석사 (Univ. of Calif., Berkeley) M. Arch. ― 신진건축설계사무소 ― 종합건축설계사무소 ― 미국 버클리 ELS Design Group ― William Turnbull Associates, San Francisco ― Architecture & Planning, Brent Dickens, San Rafael, CA ― 동우건축설계사무소 ― 종합건축사 사무소 대연건축 ― 서울산업대학교 건축설계학과 강사 ―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광주대학교 강사 ― 백제예술대학교 조교수 ― 경기대학교 산업대학교 강사 ―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강사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강사 ―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부교수 ― 미국 몬타나 주립대 초빙교수 ―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강사 ―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대우교수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강사 ―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강사 ― 대전대학교 건축학과 객원교수
펼치기
이강헌의 다른 책 >
현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와 대학원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20세기 중반 미국 건축 사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축에 관한 글을 쓰고, 대학에서 건축 역사, 이론, 설계를 가르친다. 역/저서로는 『지붕 없는 방』 (공저, 2023), 『건축의 이론과 실천 1993-2009』 (공역, 2021), 『삶을 짓는 사람들: SH 건축의 오늘 그리고 내일』 (공저, 2020), 『건축표기체계』 (공편역, 2020), 『건축 사진의 비밀』 (공저, 2019) 등이 있다. The Journal of Architecture, The Journal of Space Syntax, 『C3』, 『건축평단』, 『와이드AR』, 『SPACE』, 『건축문화』 등에 논문과 글을 실었다. 건축 매체와 한국 현대 건축에 관한 연구와 저술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명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진가 / 한국사진작가협회 회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매체공학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사진학과를 졸업했다. 사진작가협회 회원전을 비롯하여 다수의 사진전에 참여하였으며 예술의전당, 아랍에미리트 국립미술관, 서울예술재단, 나우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다수 열었다. 금호아시아나,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신일학원, 효성그룹 등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펼치기
박종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가 / 스튜디오 모프 건축연구소 대표.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건축학교(SA)에서 다시 건축을 수학하였다. 도시의 오래된 풍경을 담는 사진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섹터사옥', '송곡전가', '리트레이스빌딩', '모악호수집' 등이 있다. '송곡전가'로 제10회 한국농촌건축대전 준공건축부문 본상을 수상했으며, 'ANEW CITY Ⅱ 사유를 위한 집', '광복70주년 주택도시전시회 젊은 건축가 주택작품전', '최소의 집 네 번째 전시' 등에 참여했다.
펼치기
이우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월간 《C3》 편집장. 건축 전문지 C3는 땅과 시간,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콘텍스트를 중시하며, 괄목할만한 건축물과 도시 디자인 및 랜드스케이프를 게재한다. 건축과 도시 현상을 분석하고 미래상을 제시하는 비평을 통해,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진에 역사적 의사가 있어 사회, 인간과 건축의 관계를 드러내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그것이 곧 포토-크리티시즘이다. 그즈음 사진과 저널이 건축을 재생산 하는 것이다. - 박길룡


건축 사진은 사실 기록적인 특성에 바탕을 두고 충실한 정보 전달의 역할 안에서 개인적 취향의 추상화나 자의적 해석이 아닌, 가능한 사심 없는 상태에서 대상의 체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이강헌


건축 사진은, 결국, 그것이 참조하는 건축의 일부 속성을 사진의 속성으로써 예시하는 일종의 픽션인 셈이다. - 현명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