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마도는 본시 우리땅이다 2

대마도는 본시 우리땅이다 2

(우리국토 역사문화 답사기)

이석우 (지은이)
편백나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마도는 본시 우리땅이다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마도는 본시 우리땅이다 2 (우리국토 역사문화 답사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5084937
· 쪽수 : 222쪽
· 출판일 : 2014-07-10

책 소개

대마도 역사문화 답사기. 책의 제목을 이종무장군이 대마도 징벌을 떠나기 전, 태종대왕이 전국에 발표한 담화문 중 '대마도는 본래 우리땅(對馬島本是我國之地)'의 구절에서 차용하였다.

목차

제1권

08 글을 시작하면서

하나- ‘대마도는 우리땅’ 고지도는 말한다
20 하나로 어우러지는 땅 <혼일강리역대국도>
21 [신증동국여지승람] 중의 <팔도총도>
25 국가에서 만든 <조선방역지도>
26 풍신수길의 명령으로 그린 <팔도총도>
28 ‘동람도’의 길라잡이 <동여비고>
31 봉수대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31 화려한 색채 <동국여지도>
33 국토를 몸으로 생각한 <해동지도>
35 진보적 방식의 <동국대지도>
37 영국지리학자 J. H. 캐르놋의 <일본과 한국>지도
38 대마도의 한국영유권을 국제공인 받은 <삼국접양지도>
41 <조선팔도지도>와 <아국총도>
44 일본인이 그린 <조선여지도>
46 뛰어난 목판인쇄술 <해좌전도>
48 대마도 아래 일본 경계인 <최신고등대한지지>
50 김정호의 <대동여지전도>
51 우리땅 증거, 야스쿠니신사에 있다

둘- 한반도 도래인들이 성을 쌓고 창고를 짓다
58 가네타(백제식 산성)
65 고구려의 부경을 닮은 돌지붕 창고

셋- 가미자카 공원의 전쟁과 평화
76 경상도 송씨, 대마도주가 되다
79 덕혜옹주의 남편 종무지의 시비
81 표지판을 바꾼다고 역사가 바뀔까

넷- 목숨으로 왕자를 구한 박제상
88 대마도에 신라마을이 있었다
89 실성왕이 마사흔을 왜로 보내다
91 대마도의 왜인병영 격파계획을 세우다
94 눌지왕자 왕위에 오르다
95 박제상 복호왕자를 구하다
96 마사흔왕자를 구하러 왜로 떠나다
99 목숨 받쳐 신라 왕자를 구하다
100 새가되어 날아가 박제상의 부인

다섯- 어머니를 찾는 외교관 이예
109 어머니가 왜국에게 잡혀가다
112 대마도에 우리문화재가 142점 있다
113 아전의 신분을 면제하다
115 어머니를 찾았으나 소식을 얻지 못하다
116 계해약조로 왜구 침략을 막다

여섯- 이종무장군 대마도를 징벌하다
124 배가 산을 넘다
126 도도웅아, 이종무 장군에게 무릎 꿇다
128 대마도는 조선 땅이며 경상도의계림에 속한다
129 조선은 1420년 1월 23일 대마도를 경상도에 편입시켰다
130 왜구가 고려수군을 만들다
134 조선 정부의 대마도 길들이기
138 대마도를 징벌하가

일곱- 최익현 선생의 순국비가 있는 수선사
150 광화문 앞에서 도끼 상소를 올리다
152 일본군과 낭인들 명성왕후를 시해하다
154 항일운동 의병장이 되다
156 대마도의 감방에서 순국한 최익현 선생

여덟- 덕혜옹주, 대마도를 눈물로 씻다
166 정략결혼이란 무엇인가
168 덕혜옹주, 추방유학을 떠나다
172 덕혜옹주 결혼식, 국민이 분노하다
174 정신병원에서 이혼 당하다
175 결혼 실패 후, 딸 정혜 자살하다
178 옹주에 대한 사랑 시에게 물어본다
185 운명의 반려자 덕혜옹주와 이방자 여사
189 덕혜옹주의 일생

190 부록 - 대마도는 우리땅! 역사와 문화를 따라 가다
218 참고문헌
220 찾아보기


제2권

08 글을 시작하면서

하나- 조선의 태수, 대마도주의 이야기
20 대마도주가 살던 금석성
23 국가지정 사적 반쇼인(萬松院)
31 아내 마리아를 버린 대마도 태수
37 태마도 태수, 동항증명서 발급하다

둘- 조선통신사 일본에 한류를 심다
42 대장경, 조선과 일본의 가교가 되다
45 조선통신사의 의미
52 마상기술, 한류의 원조가 되다
55 조선통신사도 도쿄에 오지마라

셋- 임진왜란 서산사에서 시작되었다
72 김성일을 잡아다 국문하라
73 임진왜란 막을 수 있었다
77 일본침략 대비한 축성을 즉각 중지하라
81 나라와 백성을 외면한 정당인의 정치구호
86 이순신 장군 나라를 구하다
86 예술과 지략을 갖춘 사명당

넷- 후작 이완용의 서
104 유창한 한국어로 한국을 죽인 국분상태랑
107 이완용의 친필매국비
108 명성황후 살해되다
112 매국수당으로 조선 최고의 갑부가 되다

다섯- 조선을 사랑한 대마도의 유학자와 문학인
118 외교관 아메노모리 호슈
123 부산 사투리를 배우다
124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호슈의 외교 사상
126 호슈의 성신지교린비가 세워지다
128 <조선국역관사순난지비>의 의미화
130 한국을 사랑한 나카라이 토스이

여섯- 백제가 일본의 천황국가를 세웠다
143 고구려와 백제가 일본열도에서 다투다
145 일본열도를 휩쓴 광개토대왕
147 성격이 포악한 웅략천황
149 곤지왕의 청녕천황 시대
152 곤지왕자 일본의 시조왕이 되어 백제를 심다
155 섬! 무령왕이 태어나다
159 백제의 금제품을 쏟아낸 일본의 선택고분
160 백제인들이 꽃피운 일본의 아스카문화

일곱- 임나일본부설 다시 묻다
166 신공왕후의 허황된 전설
174 광개토대왕의 비문
175 충렬사동래읍성 복천동 고분군
180 전방후원형 고분의 원형
183 대접받지 못하는 고분
188 한반도에서 전래된 출토품들

여덟- 우리땅 대마도를 반환하라
192 대마도에서 숨 쉬는 한국역사
204 실효지배란 무엇인가?
206 독도가 한국 땅이라고 일본은 말한다
208 독도에 몰래 꽂은 일본영토 팻말
209 일본의 영토 끝은 다케시마?
211 대마도를 한국의 EEZ에 넣어야 한다
213 국력이 지도를 지킨다

216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석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지용 시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시집으로 [태양일기]. [보리꽃], [그리움은 세상의 뿌리], [등불을 드네], [12월의 신부], [아버지를 보네(시선집)]가 있고 저서로는 [정지용시의 영향연구], [계절과 시인의 상상력], [정지용평전], [엄마논술] 등이 있다. 진천 학성초 교장을 끝으로 교직을 떠나, 현재 편백나무출판사를 운영하며 역사문화 칼럼리스트로 활동 중에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