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9119550715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11-22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 6
도쿄 속의 도호쿠 – 서문을 대신해 • 9
1장 격차사회의 풍경 • 17
1. 격차 확대의 풍경 • 18
2. ‘격차사회’의 궤적 • 34
3. 글로벌 시티와 젠트리피케이션 • 40
2장 왜 계급도시인가? - 도시 구조와 자본주의 • 51
1. ‘새로운 도시사회학’과 현대 자본주의 • 52
2. 도시는 소비의 장이다 • 55
3. 도시는 생산의 장이다 • 61
4. 도시는 사회 공간의 표현이다 • 69
5. 도시는 계급 구조를 재생산한다 • 78
3장 두 개의 세계 - ‘시타마치’와 ‘야마노테’의 담론사 • 87
1. 도심을 가로지르는 국경 • 88
2. 시타마치와 야마노테의 형성 • 94
3. 시타마치 문화, 야마노테 문화 • 98
4. 삼원구조 : 야마노테, 구 시타마치, 신 시타마치 • 107
5. 태평양전쟁 이후의 시타마치와 야마노테 • 117
6. 시타마치 이미지의 전환 • 125
4장 진행하는 도시 양극화 - 통계로 보는 계급도시 • 137
1. 뚜렷한 격차 구조 • 138
2. 양극화를 검증하는 방법 • 150
3. 양극화의 진행 • 156
4. 지역 내 격차의 변동과 도쿄의 변화 • 164
5장 계급도시를 걷다 • 177
1. 롯본기힐즈에서 도쿄 완간으로 • 179
2. 두 세계를 연결하는 분쿄구의 언덕길 • 198
3. ‘국경’마을 이타바시와 네리마 • 224
4. 세타가야의 ‘시타마치’와 ‘야마노테’ • 245
5. 양극화된 아다치구의 구주민과 신주민 • 271
6장 계급도시에서 혼종도시로 • 283
1. 계급도시가 가져온 폐해 • 284
2. 대립이 아닌 교류로 • 289
옮긴이 후기 • 305
참고문헌 • 312
리뷰
책속에서
도쿄는 언덕이 많은 지형입니다. 도쿄는 에도의 성터를 경계로 동쪽이 저지대, 서쪽이 고지대를 이루며 그 사이에 수많은 언덕이 이어집니다. 서쪽은 ‘야마노테’라고 불립니다. 에도 시대에는 무사들의 주택이 자리한 곳으로, 근대에 들어 관청이나 대학 등이 세워지고 그 주변은 고급 주택지가 되었습니다. 야마노테는 근대화와 함께 서쪽으로 확장되어 예전의 전원 지역까지 파고들었고, 지금은 고소득 자본가계급이나 신중간계급이 살아가는 주택지가 되었습니다. 이에 비해 동쪽은 ‘시타마치’라고 해서, 에도 시대부터 서민들의 일터이자 생활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근대화의 진행과 함께 상점가나 공장지대가 점차 늘어나 자영업자나 노동자계급이 살아가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격차가 커지고 부유한 계급과 가난한 계급이 빈부 차이로 분단된 도시, 게다가 공간적으로 분리된 도시. 저는 이런 도시의 존재 형태를 ‘계급도시’라고 부릅니다. 계급도시는 전 세계 대도시에서 공통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그곳에는 전 지구화의 물결이 흐르고 격차 확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많은 도시에는 극단적인 경제 격차가 발생하고 공간적 분리가 정착하고 있습니다. 부유한 계급은 부유한 지역에서 살아가고, 그곳의 아이들은 자연스레 대학에 들어가 부유한 계급으로 자라납니다. 가난한 계급은 가난한 지역에서 살아가고, 그곳의 아이들은 가난한 계급이 되어 빈곤의 대물림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심지어 계급도시 내부에는 적의와 대립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결코 바람직한 도시의 상이 아닙니다.
주민의 계급 구성이 다양하면 더 많은 이점이 생겨난다. 5장에서 짧게 말했듯이 멈포드는 도시계획의 단위로서 지역 사회는 고소득 계층과 저소득 계층이 공존하는 혼합형 사회가 좋다고 주장했다. … 소셜 믹스는 다른 계급에 속한 사람과의 접촉을 촉진하며, 이로 인해 하층계급의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건강이나 교육 수준을 향상한다. 이질적 문화가 접촉하여 문화교잡이 일어나고 문화가 발전한다. 소셜 믹스는 경제 활동이나 정치 참여, 양질의 교육에 참여할 기회를 평등하게 하고, 인종이나 계급 간 적대심을 완화하여 상호이해를 촉진한다. 게다가 고용 균형과 경제 안정이 일어나, 재정 확보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공공시설이나 공공서비스의 확충에 기여한다. 나아가 다양한 종류의 주택이 공급되면, 주민들은 지역 사회 안에서 자신이 필요한 주택을 손쉽게 마련하고, 마이너리티나 빈곤층도 다른 곳으로 가지 않고 가능하면 정착한다. 그 결과 주민들은 다양한 부류의 사람과 일상적으로 교류하게 되고, 도시는 점점 더 민주적 교류의 공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