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현대미술
· ISBN : 979119555020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5-06-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심상용 6
글로벌 트렌드의 재갈을 먹인 현대미술 심상용
1. 글로벌 트렌드라는 재갈 20
2. 글로벌 현대미술의 트렌드화 23
현대미술의 트렌드화
스타일과 형식의 쏠림현상
의제의 집중
3. 글로벌 트렌드화와 다양성의 위기 38
‘사적 유산’의 위축
역사적 혜안의 부재
대중문화적 편향성
4. 현대미술의 ‘트렌드화’의 요인 47
높은 수준의 지적 통합의 시대적 부재
비평적 사유의 빈곤
예술기획 시대의 기획된 예술
5. 나가며 56
뉴욕 현대미술에서
예술의 사회적 실천과 확장된 커뮤니티 이주연
1. 뉴욕의 대안공간과 예술가 커뮤니티:
예술가들에 의한, 예술가들을 위한, 예술가들의 공간 65
미술관 제도의 확립과 대안공간의 출현
소호의 대안공간: 예술가의 아지트로부터
뉴욕 1세대 대안공간: 키친과 아티스츠 스페이스
뉴욕 비영리 공간들의 새로운 연대와 공통의 실천
2. 커뮤니티 속으로:
예술가 커뮤니티에서 예술 커뮤니티로의 확장 86
크리에이티브 타임의 사회참여 프로젝트
예술의 사회적 전향과 관계적 반목주의 담론
3. 미디어 커뮤니티의 예술의 사회적 실천 96
대안적 미디어 네트워크와 미디어 액티비즘
공유와 학습, 협동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커뮤니티
동시대 미술의 무대에서
오늘날의 사진을 바라보다 프랑수아즈 독끼에르 / 변수정
1. 신체와 미술: 미셸 주르니악과 오를랑 116
2. 사진, 세상을 보는 눈: 스테판 쿠튀리에, 드니 다르작과 마티유 페르노,
베로니크 엘레나와 칼레드 자라르 127
3. 가장 젊은 작가들: 라파엘 달라포르타, 에스터 본플론,
에리카 헤데야트, 알렉산드라 카티에르 144
4. 프랑스 무대를 벗어나 이미지에 대한 개념을
향상시키는 관점의 세 작가들: 독일의 볼프강 틸만스,
미국의 라토야 루비 프레이저, 남아프리카의 피터 휴고 158
다큐멘터리 우화: 피에르 위그와 오머 파스트의
작품에 나타나는 역사 회귀와 거리감의 붕괴_ 앤드류 유로스키 / 김지혜
전시기획자의 여러 가지 정체성_ 마리안 데리안 / 서숙희
1. 변화하는 정체성과 재정의 231
전시기획자의 위상: 하랄트 제만의 독보적 위치와 유산
실험공간으로서의 저자의 전시부터 작품으로서의
전시에 이르기까지: 전시저자에 대하여
2. 전시기획자의 정체성 “제조공장”으로서의 전시회 237
전시기획자, 메타 - 아티스트 혹은 DJ
전시기획자, 연출가, 제작자
3. 창작과 경영 사이: 전시기획에서 생산 (후)까지 245
전시에서 이벤트까지, 공간 배치에서 연출까지
전시기획자의 과잉 전시
한국 현대미술과 세계화; 시대성과 장소성_ 강효연
1. 한국 현대미술과 세계화 256
1990년 이후 창작의 변천사: 한국 현대미술의 확장
1990년 이후의 한국화
미디어를 통한 한국 현대미술의 확장과 오늘
-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의 등장
2. 시대성과 장소성 290
국제화: 레지던시와 호모 모빌리우스
지역미술의 가능성: 대구현대미술제, 그 오래된 미래를 위하여
의식의 확장을 위하여
참고문헌 312
감사의 글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