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5566914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9-12-18
책 소개
목차
축사
발간사
1장. 구약시대 성도들은 어떻게 구원을 받았는가?
2장. 하나님의 치밀한 구원계획과 한국교회
3장. 종교개혁 당시 종교개혁교회의 구원의 확신
4장.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 칼빈의 구원론의 구조와 요점
5장. 한국 4대 이단의 구원론 비판: 구원파, JMS, 안증회, 신천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구약과 신약의 구원론은 결코 대조적이지 않다. 구약의 하나님과 신약의 하나님이 같기 때문이다. 구약과 신약에 반영된 하나님의 죄와 죄인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는 태초부터 변한 것이 없다. 또한 구세주가 될 메시아에 대한 이해도 구약과 신약에서 동일하다. 구원론은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을 아우르는 주제인 것이다.
-송병현, 1장 구약시대 성도들은 어떻게 구원을 받았는가?’ 중에서
한국교회는 사랑으로 움직이는 믿음의 공동체인가? 한국교회가 예수님의 기도에 부응하는 사랑을 실천하고 있는가? 우리는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기억하면서 무슨 일을 하든지 사랑의 원리가 작동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박형용, ‘2장 하나님의 치밀한 구원계획과 한국교회’ 중에서
의롭다 함은 오직 믿음 고백으로만 받는다. 주 예수를 믿는다는 믿음 고백으로 죄 용서 곧, 의를 얻어 구원의 확신 속에 살 수 있다. … 이신칭의 교리를 따라 주 예수를 믿는다고 믿음 고백한 사람들은 다 죄 용서 받고 영생을 누리며 살았다. 또 하나님의 자녀가 된 표로 성령을 모시고 살았다. 그들은 주 예수를 믿는다는 믿음 고백을 하여 구원의 기쁨과 감사와 감격 속에 살았음이 확실하다.
-서철원, ‘3장 종교개혁 당시 종교개혁교회의 구원의 확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