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칼빈의 종교개혁

칼빈의 종교개혁

(칼빈의 변증서와 논쟁서 연구)

김요섭 (지은이)
솔로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2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칼빈의 종교개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칼빈의 종교개혁 (칼빈의 변증서와 논쟁서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82556241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4-05-30

책 소개

종교개혁자로서의 칼빈에게 주목한다. 종교개혁은 기독교의 가장 근본적인 진리와 신앙의 체계 전체를 성경의 가르침과 그 가르침에 충실했던 초대교회의 모범을 따라 다시 회복하려 했던 신앙 운동이었다. 칼빈은 평생 논쟁했다.

목차

차 례
추천사·4
약어표·13
저자 서문·14

제1장 종교개혁자 칼빈·21
1. 칼빈의 생애 개관·21
1.1. 유년기와 대학 시절·21
1.2. 종교개혁으로 회심·25
1.3. 목회 훈련·28
1.4. 제네바의 개혁을 위한 사역·32
1.5. 개혁의 정착과 확산·37
1.6. 칼빈의 유산·40
2. 칼빈의 종교개혁 신학·42
2.1. 칼빈에 대한 평가·42
2.2. 종교개혁을 위한 변증과 논쟁·47

제2장 『기독교강요』 서문(1536)·55
1. 배경: 참된 종교에 대한 변호와 선언·55
1.1. 『기독교강요』의 증보와 저술 목적·55
1.2. 참된 종교·60
1.3. 근본적인 문제들·64
1.4. 바른 가르침·66
2. 참된 종교의 교리·69
2.1. 인간론·69
2.2. 구원론·73
2.3. 교회론·77
2.4. 국가론·83
3. 종교개혁의 방법·88
3.1. 올바른 성경해석: 구속사적 언약신학적 해석·89
3.2. 올바른 교회 역사 해석: 그리스도의 역사 주권·96
3.3. 올바른 신앙적 삶: 종말론적 소망·100

제3장 사돌레토에게 주는 답신(1539)·105
1. 배경: 칼빈 추방 이후 위기에 처한 제네바·105
2. 종교개혁의 정당성·109
2.1. 목회직분 정당성의 근거·109
2.2. 참된 사역자의 증거: 희생과 헌신·115
3. 종교개혁의 과제·120
3.1. 참된 예배의 회복·120
3.2. 참된 교회의 수립·123
3.3. 참된 교리의 확립·128
4. 진정한 교회의 일치·137
4.1. 교회의 직분에 대한 바른 이해·137
4.2. 일치의 기준과 조건·141
5. 종교개혁을 위해 합당한 자세·145

제4장 니고데모파에게 주는 해명(1544)·149
1. 배경: 믿음과 삶의 불일치·149
2. 종교개혁을 위한 삶의 고백·155
2.1. 외적 고백의 중요성·155
2.2. 핑계와 해명·163
2.3. 네 종류의 니고데모파·167
3. 종교개혁의 기준·174
3.1. 성경의 명확한 진리·174
3.2. 진정한 예배·183
4. 망명: 종교개혁을 위한 선택·188

제5장 재세례파 논박(1544)·193
1. 배경: 재세례파의 위험성·193
2. 역사적 배경·197
2.1. 재세례파에 대한 칼빈의 반박 과정·197
2.2. 재세례파와의 접촉·200
2.3. 저술 과정·204
3. 성경: 바른 종교의 최종 기준·208
3.1. 성경의 권위에 대한 바른 이해·208
3.2. 성경해석의 바른 방법·210
3.3. 성경해석의 바른 적용·215
4. 교회: 종교개혁의 현장·218
4.1. 교회 정체성의 토대·218
4.2. 교회 일치의 기준·222
4.3. 교회 권세의 한계·226
5. 세속 사회: 종교개혁의 범위·229
5.1. 소명으로서의 위정자 직분·229
5.2. 세속 법정 사용 가능성·233
5.3. 세속 정부 참여 가능성·236
6. 종교개혁의 개념과 그 의의·240

제6장 리베르탱파 논박(1545)·245
1. 배경: 기독교 신앙에 대한 가장 큰 위협·245
1.1. 리베르탱파의 정체·245
1.2. 저술 동기·248
2. 비판의 방식·254
2.1. 역사적 비판: 종교개혁의 역사적 정당성·254
2.2. 성경적 비판·260
2.3. 종교개혁을 위한 성경해석의 원칙·264
3. 리베르탱파의 교리 비판·270
3.1. 신론·270
3.2. 섭리론·275
3.3. 기독론과 구원론·283
3.4.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경건한 삶·288
3.5. 종말론·296
4. 성경의 진리에 충실한 그리스도인의 삶·300

제7장 트렌트 공의회 법령과 해독제(1547)·303
1. 배경: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303
2. 트렌트 회의의 성격·307
2.1. 종교개혁에 대한 로마 가톨릭의 대응에 대한 해석·307
2.2. 트렌트 회의의 개최 배경·311
2.3. 트렌트 회의의 진행 과정·314
3. 트렌트 회의에 대한 비판·319
3.1. 회의의 권위와 의도 비판·319
3.2. 사제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322
4. 교회 개혁의 정당한 기초와 합당한 방식·325
4.1. 기초: 교회의 영혼인 교리·325
4.2. 최종적 기준: 성경의 빛·329
4.3. 실제적 목적: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통치 구현·333
4.4. 합당한 태도: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한 전적 헌신·337
5. 16세기 종교개혁의 유산과 현재적 의의·339

제8장 교회 개혁의 참된 방식(1549)·343
1. 배경: 위협과 핍박 앞에서 타협 가능성·343
1.1. 역사적 배경·343
1.2. 저술 동기·347
1.3. 저술 목적·350
2. 교리의 개혁·352
2.1. 하나님 예배(cultus Dei): 바른 교리의 목적·352
2.2. 이신칭의 교리의 쟁점들·357
2.3. 이신칭의 교리의 종교개혁적 의의·363
3. 교회의 개혁의 참된 기초와 방식·367
3.1. 교회의 참된 기초·367
3.2. 로마 가톨릭 교회론 비판·371
3.3. 교황수위권 비판·373
4. 성례의 개혁·379
4.1. 성례의 참된 본질·379
4.2. 거짓 성례들·384
4.3. 잘못된 의식과 의무들·391
5. 종교개혁의 목적과 자세·399

제9장 세르베투스 논박(1553)·403
1. 배경: 세르베투스의 도전·403
1.1. 세르베투스의 이단 사상·403
1.2. 세르베투스에 대한 재판·408
1.3. 변호와 반박의 필요성·412
2. 종교개혁과 세속 권세·417
2.1. 세속 권세의 권한·417
2.2. 세속 정부의 정치적 통치와 그리스도의 영적 통치·421
2.3. 세속 권세의 정당성 논쟁·426
2.4. 세속 권세 사용의 방식과 목적·431
3. 종교개혁의 핵심 교리·437
3.1. 삼위일체론과 기독론·439
3.2. 구원론·444
3.3. 성례론·446
4. 정통교리의 중요성과 종교개혁을 위한 책임·454

제10장 칼빈의 종교개혁, 그 개념과 의의·457
1. 종교개혁의 본질·457
2. 종교개혁의 다섯 가지 원칙에 따른 칼빈의 종교개혁 이해·460
3. 종교개혁의 자세와 그 의의·465

참고문헌·469

저자소개

김요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 (S.T.M.)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신학부 (M.Th.)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신학부 (Ph.D.) 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부교수 현 개혁신학회 부회장 현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부회장 주요 저술 『존 녹스: 하나님과 역사 앞에 살았던 진리의 나팔수』 (익투스, 2019) 『종교를 개혁하다: 16세기 유럽 기독교 종교개혁의 본질 재조명』 (솔로몬, 2021) 외 종교개혁과 칼빈신학에 대한 다수의 연구논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