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5578535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6-04-25
책 소개
목차
차례
지은이의 말
1부 | 운명방정식
명식, 운명방정식
四柱, 4대가 머무는 집
네 기둥과 여덟 글자 24
사주팔자에 들어가는 10간과 12지
60갑자
연월일시 건축물
간단히 확인하는 10간 12지
10간의 유래 30
10간은 서로 이어져 있다
갑목(甲木) : 타협하지 않는 꼿꼿한 선구자
을목(乙木) : 여러 갈래로 뻗어가는 유연한 협상자
병화(丙火) : 자신의 빛으로 세상을 밝히는 자원봉사자
정화(丁火) : 미세한 영역을 속속들이 드러내는 발견자
무토(戊土) : 터전을 제공하고 중용을 가르치는 공간
기토(己土) : 생명이 깃들 수 있는 부드러운 공간
경금(庚金) : 변화방향을 돌려놓기 위해 등장한 뻣뻣한 전사
신금(辛金) : 정리하고 정돈하는 분리수거의 달인
임수(壬水) : 기억과 정보를 싣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전령
계수(癸水) : 생명을 배양하는 생명천사
12지와 지장간 35
인목(寅木)
묘목(卯木)
진토(辰土)
사화(巳火)
오화(午火)
미토(未土)
신금(申金)
유금(酉金)
술토(戌土)
해수(亥水)
자수(子水)
축토(丑土)
관계의 바다, 육친
인성印星, 나(일간)를 후원해주는 든든한 지지자 42
인성의 순기능
인성의 역기능
비겁比劫, 협력하는 동지 & 방해하는 경쟁자 44
비겁의 순기능
비겁이 많을 때의 역기능
식상食傷, 속마음을 표현하는 나의 분신 45
식상의 순기능
식상과 직업
식상의 역기능
재성 財星, 미지의 세계, 원더풀 라이프 49
재성의 순기능
재성의 역기능
관성 官星, 성찰하고 헤아리고 돌아보는 능력 53
관성의 순기능
관성의 역기능
2부 | 운명을 살다
이수만, 막힌 길은 뚫고 열린 길은 넓히고
운명방정식, 이렇게 푸세요
음과 양의 비율을 가늠합니다 61
수와 화
금과 목
토
음양의 균형에서 나온 결론
육친을 적용합니다 63
인성
비겁
식상
재성
관성
육친에서 얻은 결론
일간을 탐색합니다 69
끈질긴 생명력
가르치고 배우는 기운
미적 감각
갑목과 을목의 협응
부족한 오행이 무엇인지 판단합니다 71
水와 火의 관계
金과 木의 관계
용신(구세주 오행)은 水
대운大運, 人生의 사계절
대운진입 전 73
정미丁未대운 (여름대운의 끝) : 6세~15세 (1958~1967) 74
무신 기유 경술戊申 己酉 庚戌로 이어가는 30년 가을대운 74
무신戊申대운 (가을대운의 시작) : 16세~25세 (1968~1977) 75
음악 활동
기유己酉대운 (가을대운의 한복판) : 26세~35세 (1978~1987) 76
유학생활과 MTV
활동 재개
경술庚戌대운 (가을대운의 끝) : 36세~45세 (1988~1997) 77
SM기획
SM엔터테인먼트
신해 임자 계축辛亥 壬子 癸丑으로 이어가는 30년 겨울대운 79
수와 토
결실의 겨울
수생목의 시간
양현석, 대상을 가리지 않고 감싸 안는 흙
운명방정식, 이렇게 푸세요 85
음과 양의 비율을 가늠합니다 85
수와 화, 금과 목
너무 많은 토
결론
육친을 적용합니다 87
인성
비겁
식상
재성
사주의 결함을 해결하는 재성
관성
육친에서 얻은 결론
일간을 탐색합니다 93
질서를 부여하고 중용을 실천합니다
생명이 깃들 수 있는 터전이 됩니다
확고한 믿음이 있습니다
부족한 오행이 무엇인지 판단합니다 95
水와 火의 관계
金과 木의 관계
구세주 오행은 金과 水와 木
대운大運, 人生의 사계절 96
대운진입 96
병자 을해丙子 乙亥로 이어가는 20년 겨울대운 97
병자丙子대운 (겨울대운의 한복판) : 1세~10세 (1969~1978) 97
을해乙亥대운 (겨울대운의 입구 ) : 11세~20세까지 (1979~1988) 97
재주와 능력을 발견하는 시간
갑술 계유 임신甲戌 癸酉 壬申으로 이어가는 30년 가을대운 99
갑술甲戌대운 (가을대운의 끝) : 21세~30세 (1989~1998) 99
서태지와 아이들
프로듀서
계유癸酉대운 (가을대운의 한복판) : 31세~40세 (1999~2008) 100
명성을 얻는 시절
임신壬申대운 (가을대운의 입구) : 41세~50세 (2009~2018) 101
잠재력을 뽐내는 대운
아내와 자식을 얻는 대운
신미 경오 기사辛未 庚午 己巳로 이어가는 30년 여름대운 102
박진영, 구석구석 파고드는 물 대상의 속마음을 읽어내는 물
운명방정식, 이렇게 푸세요 107
음과 양의 비율을 가늠합니다 61
수와 화, 금과 목
토
음양의 균형에서 얻은 결론
육친을 적용합니다 109
인성
비겁
식상
숨은 木 찾기
재성
관성
육친에서 얻은 결론
일간을 탐색합니다 115
유동성
사색하는 힘
예민한 감수성
생명 친화
부족한 오행이 무엇인지 판단합니다 116
水와 火의 관계
金과 木의 관계
용신(구세주 오행)은 木과 火, 土
대운大運, 人生의 사계절 118
대운진입 전 118
기해己亥대운 (겨울의 초입) : 2세~11세 (1973~1982) 119
미국생활
무술 정유 병신戊戌 丁酉 丙申으로 이어가는 30년 가을대운 120
무술戊戌대운 (가을대운의 끝) : 12세~21세 (1983~1992) 120
水를 막은 土
정유丁酉대운 (가을 한복판) : 22세~31세 (1993~2002) 122
병신丙申대운 (가을대운의 입구) : 32세~41세 (2003~2012) 122
가을대운의 성과
재성과의 관계
을미 갑오 계사乙未 甲午 癸巳로 이어가는 30년 여름대운 124
가을의 활동
여름을 따라 팽창하는 일간
화목한 가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부 명식, 운명방정식 中‘四柱, 4대가 머무는 집’
존재로 태어나면 누구나 자신만의 고유한 연월일시를 갖습니다.
그것을 네 개의 기둥이라는 뜻으로 사주(四柱)라 합니다.
명식, 운명, 명이라고도 일컫습니다.
네 개의 기둥은 다음과 같습니다.
年의 기둥을 연주年柱
月의 기둥을 월주月柱
日의 기둥을 일주日柱
時의 기둥을 시주時柱라 합니다.
사주팔자라는 말의 四柱가 바로 네 개의 기둥이었군요.
四柱, 4대가 머무는 집
네 기둥과 여덟 글자
사주는 확인했고 이제 팔자도 찾아봐야겠군요.
‘천간과 지지’라는 말은 들어보았지요? 줄여서 그냥 간지라고도 합니다. 천간을 구성하는 요소는 열 개가 있습니다. 그것을 10간이라 부릅니다. 지지를 구성하는 요소는 열 두 개가 있습니다. 12지라 일컫지요.
10간은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입니다.
12지는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입니다.
10간과 12지가 결합하면 60개의 年이 나오고 그것을 60갑자라 부릅니다. 올해는 丙申년이지요. 여기서 병은 천간에 속하고 신은 12지에 속합니다. 아하! 우리가 年을 말할 때 앞에 나오는 건 10간이고 뒤에 따라오는 건 12지군요. 사주팔자에서도 위층을 담당하는 건 10간이고 아래층을 채우는 건 12지입니다.
우리가 태어나는 순간 갖게 되는, 네 기둥(사주)과 여덟 가지 방(팔자)도 10간과 12지 안에 모두 있습니다. 사주와 팔자를 10간과 12지가 채우는 것이지요. 10간과 12지를 ?제대로 탐구하면 운명의 밑그림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60갑자 & 연월일시 건축물
60갑자
60갑자라고 얘기했으니 혹시 60개의 한자를 익혀야 하는 것으로 오해한 분도 계실지 모르겠네요. 에이 설마요? 그럴 일은 없으니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60갑자가 60가지 해(年)를 일컫는 건 맞습니다. 그렇다고 60개의 한자가 나오지는 않아요. 그럼 서로 다른 60개의 해는 어떻게 나올까요?
10간과 12지지가 만나면 60개의 年(60가지의 다양한 건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10간과 12지가 서로 어울려 60개의 기운을 뿜어냅니다. 10과 12의 공배수가 60인 건 잘 알고 계시지요?
우리가 태어난 해도 60가지 年 중에 하나일 것입니다. 사주가 팔자가 되는 건 우리의 생년월일시를 천간과 지지로 구분했기 때문입니다. 기둥의 윗부분은 간이 되고 아랫부분은 지가 됩니다.
여기서 연은 연간과 연지, 월은 월간과 월지, 일은 일간과 일지, 시는 시간과 시지로 구성됩니다. 네 개의 기둥에서 여덟 개의 요소로 바뀌었지요. 이것이 팔자입니다. 운명을 구성하는 여덟 가지 요소라는 뜻이지요.
연월일시 건축물
사주는 연월일시라는 4단계로 되어있습니다. 연월은 지구 공전에서 결정되고 일시는 지구 자전에서 나옵니다. 연월이 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입니다. 인식의 주체인 일간(나)은 공전의 영향을 받은 자전의 움직임입니다. 그럼 연월일시의 관계, 사주의 구조를 살펴봅시다.
10간의 유래 中
10간은 5행(목화토금수)에서 나왔습니다.
10간은 목화(갑을, 병정)와 금수(경신, 임계)로는 시간의 변화를 표현하고 토(무, 기)를 통해서는 공간의 수축과 팽창을 드러냅니다. 10간은시간과 동일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시간적 요소가 잠시도 쉬지 않고 작용하므로 시간 코드로 보아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시간 에너지가 충돌을 일으키지 않고 잘 연결될 수 있게 공간도 수축과 팽창을 통해 시간의 변화에 발맞추는 정도로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이것저것 함께 생각하는 것이 귀찮다 싶으면 그냥 시간 코드로만 기억하기 바랍니다.
?
10간은 서로 이어져 있다
10간을 보기 전에 한 가지 일러둘 게 있습니다. 열 개의 천간이 딱딱 끊어져 있는 게 아니라는 것입니다. 각각의 요소들이 순차적 흐름으로 이어져있지요. 열두 개의 지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행의 변화 과정도 그렇습니다.
수에서 목으로 변화하고 그 목이 다시 화로 이어집니다. 토는 화를 수렴해 금으로 나아갑니다. 금은 다시 수로 이어지고 수는 또 목으로 연결되면서 끊임없는 순환이 일어나는 것이지요.
시간성을 표현하는 10간도 그렇습니다.
갑목이 을목으로 변하고 을목이 병화로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이 단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성을 띤다는 점을 꼭 기억하기 바랍니다. 이제 10개의 간을 차례로 보겠습니다.
갑목(甲木) : 타협하지 않는 꼿꼿한 선구자
갑목은 위를 향해 곧게 올라갑니다.
강하게 치솟는 생명 에너지입니다.
을목(乙木) : 여러 갈래로 뻗어가는 유연한 협상자
을목은 상하좌우로 뻗어나갑니다.
부드럽고 섬세한 생명 에너지입니다.
직선 형태의 甲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곡선의 乙로 전환되었습니다. 바르고 곧기만 했던 처음의 모습에서 구부리기도 하고 휘기도 하면서 생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지요.
병화(丙火) : 자신의 빛으로 세상을 밝히는 자원봉사자
태양과 같은 병화는 넓은 공간을 비추고 대상을 훤히 드러냅니다.
순식간에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에너지입니다.
정화(丁火) : 미세한 영역을 속속들이 드러내는 발견자
병화의 빛이 한 곳으로 모이는 과정에서 정화가 되었습니다. 병화에 비해 에너지가 약화된 것처럼 보이지요? 공간적으로 축소되었을 뿐 대상에 대한 집중력은 오히려 강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