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95638321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7-09-01
책 소개
목차
제1장 중국철학사상 서설 1. 우리는 왜 중국의 철학사상을 이해하여야 하는가? 2. 중국철학사상의 특질
제2장 중국철학사상의 여명 1. 은상(殷商) 시대의 사상 2. 서주(西周) 시대의 사상
제3장 춘추전국시대의 사회변동과 백가쟁명 1. 춘추시대의 사회변동 2. 전국시기의 변법(變法) 조류 3. 사인(士人) 계층의 발생과 발전
제4장 공자 1. 예악(禮樂)과 인(仁) 2. 인(仁) 3. 인문(人文)
제5장 묵자 1. 삼표(三表)의 도 2. 묵가사상의 변천
제6장 맹자 1. 인의(仁義) 2. 성선설(性善說) 3. 진심(盡心) · 지성(知性) · 지천(知天) 4. 호연지기(浩然之氣) 5. 왕도(王道)와 민본(民本)
제7장 노자 1. 문화체계에 대한 근본적 반성 2. 위학(爲學)과 위도(爲道) 3. 도(道)와 덕(德) 4. 정언약반(正言若反)의 논리
제8장 열자 1. 천서(天瑞) 2. 양신(養身)과 치물(冶物) 3. 천명(天命)과 진인(眞人)
제9장 장자 1. 노자와 장자 2. 인위(人爲)와 외물(外物) 3. 작은 앎과 가치의 상대성 4. 심재(心齋)와 좌망(坐忘) 5. 소요제물(逍遙齊物)의 경지
제10장 혜시와 공손룡 1. 혜시(惠施)의 합동이(合同異) 2. 공손룡(公孫龍)의 이견백(離堅白) 3. 명가(名家)와 중국철학
제11장 직하황로학 1. 직하학궁(稷下學宮)과 황로학(黃老學) 2. 『황제사경(黃帝四經)』 3. 송견(宋?)과 윤문(尹文) 4. 전병(田騈)과 신도(愼到) 5. 『관자(管子)』
제12장 음양오행사상과 『역전』 1. 『역경(易經)』의 음양사상과 ?홍범(洪範)?의 오행사상
2. 음양오행가 3. 추연(鄒衍) 4. 『역전(易傳)』
제13장 순자 1. 천인상분(天人相分) 2. 성악설(性惡說) 3. 인식론(認識論) 4. 예치(禮治)
제14장 『예기(禮記)』 1. 『대학(大學)』 2. 『중용(中庸)』
제15장 한비자와 법가 1. 전기 법가(法家) 2. 성악설(性惡說) 3. 법(法) 4. 술(術) 5. 세(勢) 6. 법가의 역사적 평가
제16장 『여씨춘추』와 한초 황로학 1. 『여씨춘추(呂氏春秋)』 2. 한초 황로학
제17장 회남자 1. 천도론(天道論) 2. 인간론과 인성론 3. 무위(無爲)
제18장 동중서 1. 천(天)과 음양오행(陰陽五行) 2. 천인감응(天人感應) 3. 인성론(人性論) 4. 삼강오상(三綱五常)
제19장 양웅과 환담 1. 양웅 2. 환담(桓譚)
제20장 왕충 1. 원기론(元氣論) 2. 천도(天道)는 무위(無爲), 인도(人道)는 유위(有爲) 3. 인식론과 방법론 4. 인성론과 운명론
제21장 신선사상과 초기 도교 1. 신선사상(神仙思想)의 형성 2. 신선도교 3. 민간도교
제22장 왕필 1. 현학(玄學) 방법론 2. 귀무론(貴無論) 3. 자연(自然)과 명교(名敎)의 조화
제23장 완적과 혜강 1. 완적(阮籍) 2. 혜강(?康)
제24장 곽상 1. 구양건(歐陽建)과 배위(裵?) 2. 독화(獨化)와 현명(玄冥) 3. 자족(自足)과 안분(安分)
제25장 불교의 전래와 격의불교 1. 불교의 전래 2. 불교의 현학화(玄學化) 3. 6가(家) 7종(宗)
제26장 혜원과 승조 1. 혜원(慧遠) 2. 승조(僧肇)
제27장 갈홍과 도교의 개혁 1. 위진시대의 신선도교 2. 갈홍(葛洪) 3. 남북조시대 도교의 개혁과 성숙
제28장 천태종과 지의 1. 정혜쌍수(定慧雙修) 2. 삼제원융(三諦圓融) 3. 일념삼천(一念三千)
제29장 삼론종과 길장 1. 파사현정(破邪顯正) 2. 진속이체(眞俗二諦) 3. 팔불중도(八不中道)
제30장 유식종과 현장 1. 만법유식(萬法唯識) 2. 팔식(八識)
제31장 화엄종과 법장 1. 법계연기(法界緣起) 2. 일진법계(一眞法界)와 사법계(四法界) 3. 이사무애(理事無碍)와 사사무애(事事無碍)
제32장 선종과 혜능 1. 본성(本性)이 불(佛)이다 2. 돈오(頓悟)와 무념(無念) 3. 불법(佛法)은 세간(世間)에 있다.
제33장 도교의 중현학과 내단학 1. 도교의 국교화 2. 중현학(重玄學) 3. 성명쌍수학(性命雙修學) 4. 내단학(內丹學)
제34장 소옹과 주돈이 1. 시대적 배경 2. 소옹(邵雍)의 선천(先天) 상수학(象數學) 3. 주돈이(周敦?)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역통(易通)」
제35장 장재와 이정 1. 장재(張載) 2. 정호(程顥)와 정이(程?)
제36장 주희 1. 이기론(理氣論) 2. 심성론(心性論) 3. 거경(居敬)과 궁리(窮理)
제37장 육구연과 왕수인 1. 육구연(陸九淵) 2. 왕수인(王守仁)
제38장 송원명시대의 도교와 불교 1. 도교 2. 불교
제39장 왕부지 1. 성(誠)과 기(氣) 2. 기(氣)와 리(理) 3. 도(道)와 기(器) 4. 일생(日生) 일성(日成)의 인성론(人性論)
제40장 서구 문물의 유입과 중국의 대응 1. 천주교(天主敎)의 유입 2. 실학(實學)과 고거학(考據學) 3. 아편전쟁과 중국 지식인들의 대응
제41장 중국 현대철학의 전개 1. 신문화운동의 의의 2. 20세기 신유학의 전개와 그 한계
3. 21세기 중국철학은 어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