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부론

공부론

(연구총서 35)

박원재, 황갑연, 황의동, 김학목, 홍원식, 장윤수, 김용섭, 김종석, 남상호, 이성환, 황지원, 김기주, 윤종갑, 정상봉, 김백현, 이동희, 임수무, 손미정, 박홍식 (지은이)
예문서원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650원 -5% 0원
770원
24,8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부론 (연구총서 35)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76462329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07-12-26

책 소개

동양철학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부工夫’라는 단어 아래 모여 글을 내놓아, 총 스무 가지의 동양사상이 가르쳐주는 공부론을 담아 놓은 책. 각각 시대와 학문을 대표하는 사상가를 선정하며 그 사상가를 통해 공부론이란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목차

책머리에……5
공부론 / 임수무……11

유학의 공부론

공자의 공부론 / 남상호……39
맹자의 공부론 / 김기주……69
순자의 공부론 / 황지원……95
장재의 공부론 / 장윤수……125
정이의 공부론 / 홍원식……147
주희의 공부론 / 정상봉……167
오징의 공부론 / 손미정……191
왕수인의 공부론 / 황갑연……211
나흠순의 공부론 / 이동희……239
이황의 공부론 / 김종석……265
이이의 공부론 / 황의동……293
정약용의 공부론 / 박홍식……325

도불의 공부론

노자의 수양론 / 박원재……349
장자의 공부론 / 김백현……379
『회남자』의 공부론 / 김용섭……403
왕필의 공부론 / 김학목……427
원효의 공부론 / 강의숙……449
혜능의 수증관 / 이성환……475
지눌의 공부론 / 윤종갑……505

필진소개

저자소개

박원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중국철학회 회장과 한국도가철학회 회장,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율곡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유학은 어떻게 현실과 만났는가: 선진유학과 한대경학』, 『노자에서 데리다까지: 도가철학과 서양철학의 만남』(공저),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장자중독』(공저) 등의 저서와 중국 선진철학 및 도가철학 방면의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황갑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臺灣 東海大學 哲學硏究所에서 『陸象山 道德哲學之硏究』로 석사학위를, 『心學的 道德形上學硏究』(지도교수 蔡仁厚)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황갑연의 학술연구 진행은 다음 3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1단계, 1996년 귀국 이후 약 5년 동안 심학에 관한 논문과 저술을 학계에 집중 발표하면서 주자 성리학 중심의 한국 학술계의 연구에 다양성을 제공했다. 牟宗三의 대표작인 『心體與性體』 번역이 이 시기의 대표적 연구 결과이다. 2단계, 육구연과 왕양명 중심의 心學과 정이천과 주자 중심의 理學을 학술발전사 관점에서 재조명했다. 그 연구 결과가 『리학 · 심학 논쟁』이다. 3단계, 주요 연구 분야는 유가철학에서 도덕과 문학예술 그리고 과학지식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도덕과 문학예술 그리고 과학지식의 유기적 관련성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유가 철학의 입장을 수용하지만, 주종적 관계에 대해서는 비판적 태도를 취한다.이에 대한 연구 결과가 『문도론』이다. 저서로 『리학 · 심학 논쟁』 · 『동양철학과 문자학』 외 14권이 있고, 역서로 『心體와 性體』 외 6권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조선성리학자의 양명학 비판 논거에 대한 비판적 성찰」(퇴계 학보) 외 70편이 있다. 현재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황의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세종시 연동면 명학리(황우재)에서 태어나, 대전 보문고,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충남대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청주대 철학과 교수로 10년간 재직하고, 1994년부터 충남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4년 정년퇴임하였다. 충남대 대학원장, 유학연구소장, 학생지원처장, 도서관장을 역임하고, 율곡학회 회장, 방촌황희선생사상연구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제4회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하였고, 현재 충남대 명예교수로 구봉문화학술원장을 맡고 있다. 율곡 성리학의 심층 연구와 현대적 해석에 많은 노력을 해 왔고, 한국유학사에서 우계학파의 위상과 그 의의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 성과를 보여주었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철학연구》, 경문사, 1987 《한국사상》, 청주대출판부, 1990 《한국의 유학사상》, 서광사, 1995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1(성리학편)》, 서광사,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2(경세 사상편)》, 서광사, 1998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 예문서원, 1999 《유교와 현대의 대화》, 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 율곡 이이》, 예문서원, 2002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 서광사, 2004 《우계학파 연구》, 서광사, 2005 《율곡 이이》, 살림출판사, 2007 《기대승》, 성균관대출판부, 2008 《기호유학연구》, 서광사, 2009 《한국유학사상연구》, 서광사, 2011 《이율곡 읽기》, 세창미디어, 2013 《율곡에서 도산으로》, 충남대출판문화원, 2014 《역사의 도전과 한국유학의 대응》, 책미래, 2015 《사는 것도 모르면서 죽음을 어찌 아느냐》, 서광사, 2017 《조선 유교지식인의 꿈과 실천》, 책미래, 2020 《나라를 위하여, 백성을 위하여 -방촌 황희-》, 도서출판 보림, 2021 《황의동의 율곡철학연구》, 책미래, 2022
펼치기
김학목 (옮긴이)    정보 더보기
노장철학을 전공한 명리학자로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한 『한국주역대전』과 『주역절중』 번역에 참여. 역서로는 『박세당의 노자』(2000, 우수학술도서), 『율곡 이이의 노자』,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주』, 『장자 곽상주 해제』, 『초원 이충익의 담노 역주』(2015 우수학술도서) 등, 저서로는 『강화학파의 노자 주석에 관한 연구』, 『명리명강』, 『엄마의 명리공부』 등, 논문으로는 『장자 「소요유」의 상징구조와 마음 비움』, 『명리학, 미신인가 학문인가?』, 『간지와 음양오행의 결합시대』 등이 있음. 다음카페_ 해송과 함께 하는 명리명강 이메일 주소_ dangun2007@hanmail.net
펼치기
홍원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주자학의 거경궁리설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윤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양철학 전반에 걸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주 이진상의 생애와 사상, 동도관의 변화로 본 한국 근대철학, 조선시대 가문의 탄생 등 30여 권의 저·역서(공저 포함)와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장윤수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동양 철학(유가 철학)을 전공해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시베이대학 객좌교수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동양철학회 회장을 지냈다. 학문적인 주요 관심 분야는 송대(宋代) 신유학, 영남학파의 성리 사상, 동양 교육 사상 등이다. 저서에는 《도, 길을 가며 길을 묻다》 등이 있고, 역서에 《중국 문화 정신》 등 다수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퇴계 철학에 있어서 이(理)의 능동성 이론과 그 연원〉, 〈강안학(江岸學)의 학문 정체성과 몇 가지 문제점 검토〉 등이 있다. 대한철학회 운제철학상(2019), 대동철학회 학술상(2021), 중국출판협회 번역서 우수학술상(2020)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용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경산대학교 동양철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와 역서로는 <유가 철학의 이해>, <회남자 철학의 세계>, <한유에서 주희까지>, <중국의 지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 영남대에서 「퇴계심학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 <퇴계학의 이해> <안다는 것에 대한 동양적 성찰> 등이 있고, 논문으로 「성재일기에 나타난 16세기 재지 사족의 교유 양상」 「성학십도 기반 인성 교육 모델을 둘러싼 쟁점 연구」 「20세기 유학자 남붕의 구학, 그 전개와 좌절」 「한국과 베트남의 유학 연구 교류방안」 등이 있다.
펼치기
남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충북 음성 출생 1991년~2016년 강원대학교 철학과 교수 2016년 9월∼현재 강원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저서 『공자의 시학』(2011, 강원대학교 출판부) 『How로 본 중국철학사』(2015, 서광사)외 다수
펼치기
이성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경기도 이천에서 출생하였으며,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 한의과대학에서 한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의대 재학중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1900~1994) 선생님(1984년 출간된 밀리언셀러 소설《단(丹)》의 실제 주인공)을 스승으로 모시고 한의학과 정신수련법에 대해 다년간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 한의대 졸업 후 과학적 연구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사우스베일러 한의과대학 교수를 역임하며, 캘리포니아 어바인 대학에서 정신을 촬영하는 기능성 MRI에 관해 연구하였다. 15년간의 미국 유학 후 귀국하여 경희대 동서통합의학 대학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2012년 현재 동서통합의원을 개원하여, 한의학과 양의학이 결합된 치료법으로 환자를 진료 중이다. 일본인도 단군의 자손이라는 봉우선생님의 가르침을 확인하고 연구하기 위해 지난 12년 동안 일본을 25회 답사하였으며, 5년 넘게 글을 써서 《일본, 한국 이주민의 나라》를 탈고하였다. 저서로는 《주역의 과학과 도》(정신세계사, 2002)가 있다.
펼치기
황지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 『단계 하위지, 목숨은 가볍게 의리는 중하게 여긴 사육신』, 『중국회화의 기운론』, 『김정희의 철학과 예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臺灣東海大學 哲學硏究所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Tabula Rasa College에 재직하고 있다. 조선성리학과 그 역사적 전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서원으로 남명학파를 보다, 심경부주와 조선유학(공저), 역서에는 심체와 성체 - 총론편, 유교와 칸트(공역) 등이 있고,「기발리승일도설로 본 기호학파의 3기 발전」,「이상사회에서의 일과 노동」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상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대만대학에서 중국유가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건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심산, 공저), <유교의 마음공부>(공동체, 공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주자의 욕망관과 그 현대적 의의」, 「주자형이상학의 심층구조」, 「퇴계의 주자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색」, 「우암(尤庵)의 주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그 특색」, 「다산의 인간관과 孝·弟·慈의 실천」, 「한국인성교육과 그 철학적 기초」, 「디지털문화시대에 있어서 “恕”의 철학과 그 의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백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나 1971년 한국외국어대학 중국어과(철학 부전공)에 입학하고 1978년 졸업했다. 1982년 대만대학에서 철학 석사, 1986년 대만 보인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8년부터 현재까지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98년에는 중국 북경대학에서 공동연구교수를 지냈으며 2012년 9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중국 사천대학에서 공동연구교수를 지냈다. 한국도가철학회장과 중국학연구회장을 역임했고 현재는 사단법인 신명문화연구원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중국 도가도교 학술계와 활발한 학술 교류와 더불어 21세기 새로운 도학(道學)의 방향 설정에 주력하고 있다. 다수의 논문 외에 한국에서 출간한 『도가철학연구』, 『도교속의 동이문화』 등과 대만에서 출간한 『莊子哲學中天人之際硏究』(文史哲出版社) 등이 있고, 중국에서 출판한 『新子學』 등등 다수의 공동 저서가 있다.
펼치기
이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졸업, 동대학원 동양철학과 졸업(철학박사) 동양철학연구회 회장, 한국동양철학회 회장 역임 현재 계명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 『주자―동아시아 세계관의 원천』『주자학 신연구』,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조선조 성리학』 외 논문: 「라이프니츠에 있어서 중국철학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 「牛溪 成渾의 性理說과 조선후기 ‘折衷派’」 외
펼치기
임수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년에 매우 운명적으로 신학(神學)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대만대학 철학연구소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충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다시 대만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철학과에서 퇴직하여 현재 계명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노장철학(老莊哲學)을 연구하는 한편, 실천 공부론(功夫論)에 관심을 두고 있다. 『老子 도덕경』(계명대학교출판부, 2003)을 역주하였다.
펼치기
손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현재 명지대와 부경대 강사로 재직한다.
펼치기
박홍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한의대학교 일본어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유가의 정치 철학 체계는 격치성정수제치평하는 과정으로 되어 있다. 특히 수신과 관련하여 정심,성의,치지,격물를 말한다. 그러나 인성 교육 측면에서는 그런 공부보다 수신의 근본은 어릴 때부터 효제를 가르치고 배워 부모형제를 사랑하는 것을 몸에 익히는 것이므로, 효제교육보다 중요한 인성교육은 없다.-p66 중에서

...이황의 공부론은 일회적이고 방편적인 실천을 반성하게 하며, 인간의 삶의 목적에 관해 생각하게 한다. 공동체 사회에서의 인간은 자신이 발 딛고 있는 세계에서 이러나는 현실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정확히 인식해야 하기도 하지만, 그 문제가 공동체 전체의 이익과 미래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p290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