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95704958
· 쪽수 : 872쪽
· 출판일 : 2016-07-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여는 글
제1장 열국의 건국과 주체세력
Ⅰ. 열국시대의 시작과 변천
Ⅱ. 동부여의 건국과 위치
Ⅲ. 고구려의 건국과 연대
Ⅳ. 최씨낙랑국의 건국과 흥망
Ⅴ. 한의 독립과 강역 변천
Ⅵ. 백제의 건국과 성장
Ⅶ. 신라의 건국과 주체
Ⅷ. 가야의 건국과 체제
제2장 열국의 발전과 내외활동
Ⅰ. 동부여의 패권 쇠퇴
Ⅱ. 고구려의 다물이념
Ⅲ. 읍루 · 동옥저 · 동예의 사회
Ⅳ. 한의 사회 수준과 성격
Ⅴ. 백제의 중국 동부 지배
Ⅵ. 신라의 정체성 확보
Ⅶ. 가야의 왜열도 진출
Ⅷ. 한반도말갈의 성격
제3장 열국시대에 대한 종합 검토
Ⅰ. 열국시대의 정치 변화
Ⅱ. 열국시대의 경제 수준
Ⅲ. 열국시대의 사회 상황
Ⅳ. 열국시대 문화의 성격
맺는 글
부록 - 한국 고대사 도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람은 가고 그의 생각과 언행만 기록으로 남는다. 이것이 역사다. 그러므로 역사는 그 사람 자체라 할 수 있다. 이는 민족도 마찬가지이므로 한국사는 한민족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
한국사 가운데 가장 연구가 부진한 부분은 고대사로서 고조선시대와 열국시대이다. 이 시대는 한국사의 뿌리 부분이다. 필자는 한국사의 뿌리를 튼튼히 하고 깊게 하는 작업으로 고대사 연구에 전념해왔다.
『한국 열국사 연구』의 초점은 한국 고대사의 체계를 바로잡는 데 맞추어져 있다. 뼈대가 바르게 되어 있어야 신체가 바로 서듯이, 역사도 체계가 올바르게 잡혀 있어야 바르게 서기 때문이다. 이 책의 간행으로 고조선과 열국시대의 체계가 바로잡히기를 기대한다. - 머리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