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5768226
· 쪽수 : 694쪽
· 출판일 : 2016-08-19
책 소개
목차
Ⅰ. 수소연료전지차 현황과 전망 41
1. 자동차용 연료전지 개관 41
1-1. 연료전지의 작동 원리 41
1) 연료전지 단위 Cell & Stack 41
2) 연료전지 시스템 46
1-2. 연료전지의 구성 및 특징 47
1) 연료전지의 구성 47
2) 연료전지의 특징 및 장점 48
(1) 저 전압, 직류전원 48
(2) 열병합발전에 적합 48
(3) 저 부하 시 높은 발전 효율 48
(4) 높은 발전효율 49
(5) 소규모 발전원으로 유리 49
(6) 가장 안정적인 에너지원 50
(7) 환경친화적 50
(8) 이용가능 연료의 다양성 51
(9) 빠른 개발 속도 51
3) 연료전지의 다양한 유용성 52
4) 연료전지 산업의 특성 53
(1) 융합산업으로서의 연료전지 산업 53
(2) 고정형/발전용 연료전지 산업 55
(3)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산업 56
1-3. 연료전지의 분류 58
1) 기술별 분류 58
(1)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58
(2)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 61
(3) SOFC(Solid Oxide Fuel Cell) 62
(4) AFC(Alkaline Fuel Cell) 65
(5) MCFC(Molten Carbonate Fuel Cell) 65
(6) PAFC(Phosphoric Acid Fuel Cell) 67
2) 용도별 분류 68
(1) Applications category 68
(2) 수송용(Transportation) 연료전지 69
(3) 휴대용(Portable) 연료전지 70
(4) 발전용(고정형, Stationary) 연료전지 70
3) 연료전지 Type별 특성 및 시장분석 72
(1) 전해질에 의한 연료전지의 분류 72
(2) Fuel Cell Type별 작동 특징 73
(3) Fuel Cell Type별 시장분석 75
2. 수소연료전지차 개관 76
2-1. 수소연료전지차 개요 76
1) 수소연료전지차 구성 및 작동 76
(1) 수소연료전지차의 구성 76
(2) 수소연료전지차의 작동 78
2)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연혁 79
(1) 수소연료전지차 발전사 79
(2) Technology Readiness Levels(TRL) 80
3) 투싼 ix35 FCEV 對 Mirai FCEV 82
2-2.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배경 84
1) 수소 에너지의 유용성 84
2) 고연비, 저탄소화를 지향하는 자동차업체 86
3) 기존 내연기관차와 유사한 성능 88
4) 수소연료전지차의 Benefits 89
2-3. 수소연료전지차의 시장진입 동향과 전망 90
1) ZEV로서의 수소연료전지차 90
(1) 미국 California 대학의 조안 오그덴 교수팀의 공동 연구 90
(2) 친환경차 개발의 필요성 증대 91
(3) 공기정화장치 및 V2G로서의 수소연료전지차 95
(4) 전기동력 자동차(xEVs)의 GHG와 필요 전기에너지 비교 96
2) 수소 경제 사회의 대응 98
3) 수소연료전지차 수요/공급 전망 100
(1) 수소연료전지차 단기 수요전망 100
(2) 수소연료전지차 장기 시장전망 104
(3) 수소연료전지차 공급 전망 107
4)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정책과 충전인프라 구축 108
(1) 주요국 보급 지원 정책동향 108
(2) 국내 보급 지원 정책동향 109
(3) 세계 수소 충전인프라 구축 전망 109
Ⅱ.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핵심기술 개발동향 115
1. 자동차용 수소연료전지 개발동향 115
1-1. US DOE의 개발 동향 및 연구방향 115
1) US DOE Technical Targets 115
(1) 자동차용 수소연료전지 Power System 115
(2) Fuel Cell Stack 117
(3) MEAs(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막전극집합체) 118
(4) Membranes(전해질막) 119
(5) ElectroCatalysts(전극촉매) 120
(6) Bipolar Plates 121
(7) Air Compression System 122
(8) Cathode Humidification System & Humidifier Membrane 123
2) R&D 방향 및 Milestones 124
(1) DOE의 R&D 방향 124
(2) R&D Milestones 127
3) PEMFC & Fuel Cell Components Testing Protocols 130
4) Fuel Cell System Cost(2015) 138
1-2. 유럽 FCH JU의 R&D Targets 141
1) 수소연료전지차 R&D Targets 141
2) Hydrogen Production R&D Targets 142
3) Hydrogen Storage, Handling & Distribution 144
1-3. PEM Fuel Cell Stack 개발동향 145
1) PEMFC의 특성 145
(1) PEMFC의 구성 부분 145
(2) LT-PEMFC와 HT-PEMFC 147
(3) 연료전지의 열화 작용 149
2) 고분자 전해질 막 개발동향 149
(1) 고분자 전해질 막의 기능 149
(2) 고분자 전해질 막의 특성 151
(3) 이온전도막 기술 개발동향 및 상업화 전략 152
3) MEA 개발동향 156
(1) 고온 고분자전해질 막의 개발 156
(2) 불소계 강화막 개발 및 시장 동향 157
(3) MEA 형성기술 개발동향 162
4) 촉매와 기체 확산층 개발동향 165
(1) Catalysts 165
(2) 기체확산층(GDL: Gas Diffusion Layer) 171
5) Gaskets 기술 개발동향 172
(1) Gasket의 기능 및 요구조건 174
(2) 시장 동향 및 전망 175
(3) 국내외 기업들의 기술 개발 현황 176
6) 분리판(Bipolar Plate, BP) 기술 개발동향 176
(1) 수소연료전지차용 연료전지 분리판의 역할 177
(2)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종류 178
(3) 수소연료전지차용 분리판 시장 동향 179
(4)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180
(5) 금속분리판의 개발동향 180
7)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기술 개발동향 185
(1) 냉각기술의 중요성 185
(2)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기술 186
(3) 수소연료전지차의 냉각기술 187
8) 연료전지 운전장치(BOP) 개발동향 189
2. 구동 Motor 기술 개발동향 191
2-1. 전기동력기반 Powertrain 개요 191
1) Powertrain 핵심부품 191
(1) 구동용 모터 192
(2) 직류변환 장치 192
(3) 배터리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193
(4) 인버터 194
2) 주요 메이커의 상용화된 FCEV System 195
3) 양산 차량(xEVs)에 장착된 구동용 모터 기술 현황 198
2-2. 구동용 모터 세부 기술 동향 201
1) 출력 향상 기술 개발동향 202
(1) 전자기적 다단기어 적용 기술 203
(2) 모터 회전자 경량화 및 냉각기술 204
2) 비희토류 및 저희토류 영구자석 적용 기술 개발동향 207
(1) 차량용 SR 모터 207
(2) 중희토류 저감 기술 208
(3) 차세대 Dy-free 영구자석 재료 기술 208
3) 모터 동손 저감 기술 개발동향 209
(1) 권선(Winding) 기술 209
(2) 동 다이캐스팅 기술 211
4) 모터 철손 저감 기술 개발동향 211
(1) 철심코어 박막 기술(Thin Gauge Electrical Steel) 211
(2) 영구자석 형상(Shape, Layer) 설계 기술 212
(3) 영구자석 분할(Separation, Split, Step) 설계 기술 212
3. Hydrogen Storage Tank 개발동향 214
3-1. 수소연료전지차용 저장용기의 요소기술 214
1) 고압수소 용기?배관용 재료 평가 기술 215
(1) 수소취화 현상 215
(2) 수소 관련 재료의 역학적 특성 217
2) 수소침투 차단막 기술 218
(1) 고밀도화를 통한 수동형 수소차단막 기술 218
(2) 전기적 구속 기능층을 이용한 능동형 수소차단기술 219
3) 수소 누출 감지기술 220
4) 수소 저장 용기 R&D 주요 이슈 및 전망 221
(1) 수소 저장 용기 R&D 주요 이슈 221
(2) 수소 저장 용기 향후 R&D 및 시장 전망 223
3-2. 국내외 수소 저장 탱크 개발 동향 225
1) 수소연료전지차용 수소 저장 용기의 종류 225
2) 국내 개발동향 227
3) 해외 개발 동향 229
3-3. US DOE의 Hydrogen Storage R&D Activities 232
1) R&D 조직, 방향 및 목표 232
2) R&D 현황과 Target Technologies 233
(1) R&D 현황 233
(2) Target Technologies 234
3) Technical Task 상세 내용 및 R&D 일정 237
(1) Technical Task 상세 내용 237
(2) Technical Task R&D 일정 238
4. H2 Delivery & Refueling Infrastructure 개발동향 239
4-1. 수소 공급 인프라 개요 239
1) 비용효과적인 수소 공급 인프라의 필요성 239
2) 수소공급 인프라 Options 241
(1) 수소 공급 경로상의 공통 작업 241
(2) 수소공급 인프라의 분류 242
(3) NREL의 GIS를 이용한 HRS R&D 244
3) H2ME의 HRS 작동 Process 245
4) H2 Delivery 관련 Standards 249
4-2. US DOE FCTO의 수소공급 인프라 개발동향 251
1) Technical Goal and Objectives 251
2) Hydrogen Delivery Infrastructure Components 현황 251
(1) Components별 2015년 Status 251
(2) Current(2015년) Hydrogen Delivery Projects 253
3) Technical & Cost Targets 254
(1) Cost Targets 254
(2) Technical Targets 255
4) Technical Task 내용 및 R&D 일정 258
(1) Technical Task 상세 내용 258
(2) Technical Task R&D 일정 259
4-3. US DOE FCTO의 수소충전소 Design 260
1) H2FIRST Project 개요 260
2) H2FIRST Project 연구 방법 263
(1) HRSAM 263
(2) Reference Station Design Task 264
(3) HyStEP device 265
3) HRS Configuration 및 Concepts 268
(1) HRS Configuration 268
(2) HRS Concepts 270
4) HRS Designs 272
(1) HRS P&IDs 272
(2) HRS Physical Layouts 277
5) HRS 장치비용 279
(1) 100kg/day Gaseous HRS 장치비용 279
(2) 300kg/day Near-Term Liquid HRS 장치비용 281
(3) 300kg/day Future Liquid HRS 장치비용 284
4-4. GIS를 이용한 국내 고속도로의 HRS 구축방안 286
1) GIS와 HRS 개요 286
2) 수소 공급시설의 위치와 HRS 방식 결정 286
3) 고속국도의 수소수요량 287
4) 고속국도의 HRS 구축 방안 288
(1) HRS 위치 선정 288
(2) HRS 구축방안 289
4-5. International Hydrogen Stations 291
1) 국가별 운영 중 HRS 숫자 291
2) 국가별 HRS List 291
(1) US 외 국가별 HRS List 291
(2) US HRS List 306
5. 수전해(Electrolysis) 기술 동향 및 전망 311
5-1. 수전해(Electrolysis) 기술 개황 311
1) 수전해(Electrolysis) 기술의 개념 및 적용 311
2) 수전해(Electrolysis) 기술의 분류 312
3) 국내외 주요 수전해(Electrolysis) 시스템 업체 313
5-2. 수전해(Electrolysis)기술 R&D 주요 이슈 및 전망 314
1)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 314
2) PEM 수전해 기술 314
3) 수전해(Electrolysis) 기술의 전망 316
5-3. 미국 DOE의 Hydrogen Production R&D 동향 318
1) Hydrogen Production R&D 개요 및 관련기관 318
2) FY 2015 기술 상태 및 진전 현황 319
(1) 수소생산 costs 범위 319
(2) Hydrogen Production FY 2015 progress 상세 내용 320
3) FY 2016 R&D Plans 323
Ⅲ. 수소연료전지차 RD&D 국가별 정책동향 327
1. FCEV 보급 확대를 위한 정부 역할의 중요성 327
1-1.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327
1) 친환경 자동차로서의 FCEV 327
2) 수소 인프라와 FCEV의 관계 328
3) 국내 수소충전소 보급촉진 정책 당면과제 329
(1) 규제보완 및 재검토를 통한 보급 촉진 329
(2) 지원제도를 통한 보급 촉진 330
1-2. 한국과 일본의 정책적 지원 현황 331
1) 산업 성장을 위한 정부의 역할 331
(1) 정부주도형 산업개발 정책 331
(2) 수요와 공급 양쪽을 움직일 정책의 필요성 333
2) 수소연료전지차 지원 정책 현황 333
(1) 연료전지 R&D 지원정책 333
(2) FCEV 출시 및 보급 지원정책 335
(3) 수소인프라 보급 지원정책 337
1-3. FCEV 도입을 위한 한일 정부의 역할 비교 338
1) 한일 정부 FCEV 지원정책의 공통적 특징 338
(1) FCEV 도입의 산파 역할 338
(2) 보조금과 인센티브 지급 339
(3) 친환경차로서의 FCEV에 대한 낮은 기대 339
2) 한국과 일본의 정책적 목표 및 관점의 차이 340
(1) 정책적 목표의 차이로 인한 결과 340
(2)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선점 경쟁의 시작 341
2. 미국 수소연료전지차 RD&D 지원 정책동향 342
2-1. 수소연료전지 관련 RD&D 지원 342
1) US DOE(에너지부)의 관련 예산 342
2) 각 주별 R&D 지원 Funding 346
3) US DOE SBIR Program 347
4) 2015년 회계연도 DOE 지원 RD&D Project 348
2-2. US DOE Cost Targets, Status, 성과, Plan 363
1) US DOE Cost Targets & Status 363
2) US DOE RD&D 성과 363
(1) 지원 영역의 확장 및 경제적 성과 363
(2) 주요 기술적 성과 364
(3) Collaborations and Partnerships 371
3) US DOE 2016년 회계연도 이후 Plan 371
(1) Recent 2015년 DOE Funding Plan 371
(2) Manufacturing Highlights: 3 New Analysis Projects 372
(3) Tech to Market Activities with Labs 373
(4) US DOE의 장기 Plans 373
2-3. H2USA Project 374
1) H2USA Project 개요 374
2) 참여 州별 현황 및 Plan 375
(1) CALIFORNIA 州 375
(2) CONNECTICUT 州 384
(3) MAINE 州 388
(4) MASSACHUSETTS 州 391
(5) NEW HAMPSHIRE 州 394
(6) NEW JERSEY 州 396
(7) NEW YORK 州 399
(8) RHODE ISLAND 州 402
(9) VERMONT 州 405
2-4. State Zero-Emission Vehicle Programs MOU 408
1) ZEVs Plan 개요 408
2) ZEVs Plan 진행 현황 410
2-5. 미국의 대중교통용 Fuel Cell Buses 동향 412
1) 미국 내 FCEB RD&D 현황 412
(1) FCEBs 기술수준 현황 412
(2) FCEB 상용화를 위한 R&D 현황 413
2) US Fuel Cell Transit Bus 실증 현황 414
(1) 진행 중인 실증 Projects 415
(2) 운행거리 및 운행시간 417
(3) Availability(운행율) 418
(4) Hydrogen 사용량과 Fuel Economy 421
(5) 신뢰성(MBRC) 423
3) 미국 FCEB 상업화 Plan 425
(1) 상업화를 위한 해결과제 425
(2) National Fuel Cell Bus Program(NFCBP) 426
3. 유럽 수소연료전지차 RD&D 지원 정책동향 427
3-1. Fuel Cells and Hydrogen 2 Joint Undertaking(FCH 2 JU)의 활동 429
1) FCH 2 JU 개황 429
(1) FCH 2 JU 개요 429
(2) FCH 2 JU 주요 활동 429
(3) FCH 2 JU Budget 430
2) FCH 2 JU의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주요 Projects 431
(1) FP7(7th Framework Program) Project 431
(2) Horizon 2020 Framework Projects 434
(3) Hydrogen Mobility Europe project(H2ME) 435
(4) SWARM Project 436
3) MAWP 2014-2020 438
(1) Budget 438
(2) Focus Area 439
(3) Achievements 440
4) Annual Work Plan 2015 & Budget 446
5) Annual Work Plan 2016 & Budget 446
(1) Annual Work Plan 2016 Objective & Topics 446
(2) AWP 2016 Budget 448
3-2. 유럽의 대중교통용 Fuel Cell Buses 동향 449
1) 유럽의 지속적인 대중교통 가능성 FC bus 449
(1) FC bus 도입에 대한 Study 개요 449
(2) 유럽의 FC bus 도입 Trend 450
(3) 유럽의 FC bus 전개 현황과 상용화 Vision 451
(4) FC Bus 예상비용 산출을 위한 가정 453
2) Heavy-duty 경로의 FC bus 구입/운영 비용 전망 456
(1) FC bus 구입/유지관리 비용 456
(2) HRS 설치/운영 비용 457
(3) Total Cost of Ownership(TCO) 458
3) Automotive 경로의 FC bus 구입/운영 비용 전망 460
(1) 예상 비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460
(2) FC bus 구입/유지관리 비용 462
(3) Total Cost of Ownership(TCO) 463
4) 대중교통으로서의 FC bus’s Benefits 464
(1) 정치적 측면에서의 이점 464
(2) 환경적 측면에서의 이점 465
(3)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점 468
(4) 운영적 측면에서의 이점 470
5) FC bus Coalition과 유럽에서의 보급 전망 471
(1) FC bus coalition 동향 471
(2) 유럽에서의 FC bus 보급 전망 473
3-3. 영국(UK)의 지원정책 동향 476
1) FCEVs Incentives 476
2) Hydrogen London Partnership 478
3) UK H2Mobility Initiative 480
4) FCEVs 관련 주요 Projects 483
(1) HyFIVE Project 483
(2) HyTEC Project 484
(3) CHIC Project 485
5) UK HRS Network 현황 및 Plan 486
3-4. 독일 지원정책 동향 487
1) 독일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관련 주요동향 487
(1)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정책 487
(2) HRS Network 구축 지원정책 488
2) H2 Mobility Initiative 489
(1) H2 Mobility 개요 489
(2) 독일 내 HRS Network Roadmap 489
3) NIP Framework 490
(1) NIP 개요 490
(2) NIP Funded CEP Projrcts 현황 491
(3) NIP Funded Further Projects 496
3-5. 프랑스 지원정책 동향 500
1) 프랑스 재산업화 계획(Re-Industrialization Plans)의 하나 500
2) MAXITY FUEL CELL Plan 500
3) Frence의 HRS/Vehicles 보급 현황 및 전망 502
4. 일본 수소연료전지차 RD&D 지원 정책동향 503
4-1. 일본의 수소사회 정책 추진동향 503
1)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는 수소사회 정책 503
(1) 로드맵에서 실행단계로 진입 503
(2) 정부 주도의 수소 기반 기술개발과 실증사업 503
2) 先 HRS 구축 後 FCEV 보급확대 추진정책 504
(1) 수소충전소 선 구축 추진 504
(2) 수소충전소 규제 대폭 완화 505
(3) 민관 공동으로 다양한 HRS 실증모델 검증 507
4-2. 일본의 수소?연료전지 전략 로드맵 508
1) 수소?연료전지 전략 로드맵 개요 508
(1) 수소사회 실현을 위한 로드맵 수립 508
(2)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확대를 위한 전략 510
(3) FCV 보급 확대를 위한 HRS 구축 Plan 512
2) 로드맵 실현을 위한 주요과제 및 대책 514
(1) 연료전지 시스템의 비용저감 실현 514
(2) FCV의 기본 성능 향상 목표 515
(3) FCV의 해외 전개 방안 515
(4) FCV의 인지도와 이해도의 향상 516
(5) 자동차용 연료전지 적용분야 확대 518
(6) 경쟁력 있는 수소 가격 설정 519
(7) HRS Network 설치 전략 522
4-3. FCEV 보급 확대 및 HRS Network 구축 Project 524
1) JHFC Project 524
(1) JHFC Project 개요 524
(2) JHFC HRS Network 524
2) 일본의 HRS 설치 규정에 따른 배치도 533
4-4. NEDO의 연료전지 관련 신규 R&D Project 535
1) 연료전지 R&D 프로젝트 개요 535
2) 연구과제 및 수행기관 536
(1) 보급화 기반 확대 기술 536
(2)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산공정 실용화 기술개발 536
5. 국내 수소연료전지차 RD&D 지원 정책동향 537
5-1. 국내 2015 FCEV 관련 주요정책 현황 및 이슈 537
1) 국내 FCEV RD&D 현황 537
(1) 국내 친환경차 추진정책 537
(2) 국내 FCEV산업 육성계획 538
(3) 국내외 수소연료전지차 R&D 정책 주요 이슈 538
(4) 미래부의 2015년 연료전지분야 R&D 추진 현황 540
2) 국내 FCEV 보급 및 HRS 설치 현황 543
(1) 국내 FCEV & HRS 보급여건 543
(2) 국내 FCEV & HRS 보급실적 544
5-2. 국내 2016 FCEV 및 HRS 보급 확대 정책 546
1) 정부의 2016 FCEV 및 HRS 보급 확대 정책 개요 546
2)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안 547
(1)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안의 의미 547
(2) 기본 방향 547
(3) 세부 추진 과제 548
(4) 기대효과(2016∼2030) 552
(5) 세부과제 추진일정 552
3) 2016 FCEV 및 HRS 보급 진행 현황 553
(1) 수소산업 민관협의체와 컨트롤타워 553
(2) 2016 FCEV 및 HRS 보급 예산 및 현황 554
(3) HRS 예비사업?안전 실증연구 진행 555
(4) 각종 규제에 대한 재검토 및 완화 557
(5) 수소충전소 관련 R&D 추진 558
(6) 수소버스 핵심기술 개발 계획 559
(7) 2017년 수소충전소 구축사업 추진 현황 560
(8) 수소인프라 보급 장애요인과 해결 방안 560
5-3. 미래부 2016 연료전지 관련 R&D Plan 562
1) 미래부의 R&D 기본방향 562
2) 2016년 R&D 투자전략 562
(1) 수소제조 및 저장비용 절감 관련 R&D 562
(2)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발전원가 절감 관련 R&D 563
(3) 연료전지 복합발전을 통한 발전원가 절감 관련 R&D 563
3) 2016년 R&D 투자계획 564
5-4. 지자체별 FCEV & HRS 보급확대 추진 동향 565
1) 정부의 지역별 전략산업 선정 565
2) 지자체별 FCEV 관련사업 추진동향 566
(1) 충남 FCEV 부품 실용화 및 산업기반 육성 사업 추진 566
(2) 광주시의 융합충전소 실증사업 강화 569
(3) 울산시 FCEV 중심 친환경차 시장 선도도시로 특화 570
5-5. 연료전지버스의 실증 운행 571
1) 현대자동차의 연료전지버스 571
2) 연료전지버스 실증운영 현황 571
(1) 연료전지버스의 운행률 572
(2) 현대 연료전지버스의 연비 574
3) 국내 연료전지버스의 상용화 동향 575
Ⅳ. 부록 579
1. Global H₂Station 설치/운영 현황 579
1-1. 미국의 H₂Station 설치/운영 현황 579
1) 미국의 운영 중인 H₂Station 579
2) 미국의 Closed H₂Station 595
1-2. 미국 이외 지역의 H₂Station 설치/운영 현황 605
1) Australia 605
2) Austria 605
3) Belgium 606
4) Brazil 606
5) Canada 607
6) China 610
7) Czech 611
8) Denmark 611
9) Finland 612
10) France 613
11) Germany 614
12) Greece 621
13) Hong Kong 621
14) Iceland 621
15) India 622
16) Italy 622
17) Japan 623
18) Luxemburg 629
19) Netherlands 629
20) Norway 630
21) Portugal 631
22) Singapore 632
23) 한국 632
24) Spain 634
25) Sweden 635
26) Switzerland 635
27) Taiwan 636
28) Turkey 636
29) England, United Kingdom 636
2. 글로벌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기구, 기관, 협회 639
2-1.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국제기구 639
1) GGGI 639
2) WEC 640
3) IEA 641
4) IRENA 642
5) IIED 643
6) FCHEA 644
7) IPHE 645
2-2.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46
1) 국내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46
2) 미국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54
3) 유럽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62
4) 캐나다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67
5) 일본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69
6) 중국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74
7) 기타 국가 관련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676
2-3.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학회·협회 677
1) 국내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학회·협회 677
2) 국외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학회·협회 680
2-4. 기타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단체 및 웹사이트 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