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9585882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7-09-04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1부 불역 논어
제1편 들어가는 글
1. 한문 능력과 경전의 해석에 대하여
2. 논어 선구와의 만남
제2편 논어 선구(禪句) 5개 장
1. 공자, 공(空)을 설명하다 그만 말문이 막히다
2. 무(無)의 세계는 무법칙적이다
3. 해와 달이 이른 듯이 밝아진다
4. 공자와 안회의 이것 vs. ‘이 뭣고?’ vs. 예수의 ‘the Father’
5. 잃을까봐 걱정한다면 도를 들은 게 아니다
제3편 논어의 판본과 논어의 왜곡
1. 안회의 초본(礎本) 가설
2. 논어 원문의 변경과 계급 및 통치 이데올로기
제4편 중국의 상고 시대와 새끼줄 악서의 문명
1. 새끼줄 악서와 음자 시스템
2. 우리의 음자는 초성 +중성 +종성 방식이었다
3. 중국의 상고 시대는 새끼줄 악서의 문명
4. 악서는 옛말이 당대어로 번역되며 전승됐다
5. 예기 중 악기가 새끼줄 악서의 증거
6. 음보가 발견되면, 어떻게 해독하나?
7. 악사들의 작별 인사
8. 중국의 표음문자
9. 공자가 말하는 문(文)은 결승의 매듭 무늬
10. 악서의 시대와 어긋나는 어구의 해명
11. 악서의 시대를 뒷받침하는 어구
제5편 논어 일상어구 5개 장
1. 공자가 소년 시절에 말을 더듬었다?
2. “사람을 빌려 탄다”가 무슨 뜻?
3. 공자는 한가할 때 요가를 했다
4. 어리석은 자는 고작 겉모습과 말이나 달라진다
5. “몇 년 후면 내 나이 오십”의 춘추 시대 표현법
제6편 불교적 사유의 장
1. 자기를 모름은 걱정 말고, 알 수 있는 것을 구하라
2. 삶을 모른다면,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
3. 장승처럼 큰 키와 오목 머리가 나일까?
4. 기여여하(其如予何)의 다른 용례
5. 후생가외는 생의 후기에 긴장하라는 뜻
6. 신을 이적으로 가늠하지 말라
7. 아침부터 저녁까지의 한나절 삶이 영생이다
8. 논어를 읽다 한 번 크게 웃으라는 장
9. 진여의 세계
제7편 제자들의 다채로운 수행 스타일
1. 안회의 무심과 자공의 삼매
2. 공자의 말은 천도를 타고났다
3. 성선설? 맹자는 그런 말 한 적 없다
4. 책 순자는 순자의 저서가 아니다
5. 중국인들은 불여(不如)를 오해한다 ①
6. 중국인들은 불여(不如)를 오해한다 ②
7. 대화 자체보다 대화의 상황을 이해해야 하는 사례
8. 자장의 간화선 : 화두의 탄생
9. 진정한 현자는 드러나기 쉽다
10. 미스테리의 인물, 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