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9597001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01-2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민주적 가치를 습득하는 토론 수업의 길잡이
1부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정치·경제 이슈 정복하기
맞짱 1 - 의무 투표제를 실시해야 할까요?
맞짱 2 - 군 복무 가산점을 부활시켜야 할까요?
맞짱 3 - 독신 가구에 세금을 부과해야 할까요?
맞짱 4 - 쌀 시장을 전면 개방해야 할까요?
2부 더불어 사는 세상의 대안을 제시하는 사회·문화 이슈 정복하기
맞짱 5 - 위험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지 않으면 처벌해야 할까요?
맞짱 6 - 빼빼로 데이를 기념해야 할까요?
맞짱 7 - 학교를 꼭 다녀야 할까요?
맞짱 8 - 청소년 범죄 처벌을 강화해야 할까요?
3부 공동체의 안녕과 평화를 염원하는 국제·환경 이슈 정복하기
맞짱 9 - 원자력 발전은 계속되어야 할까요?
맞짱 10 - 북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까요?
맞짱 11 - 국립공원에 케이블카를 설치해야 할까요?
맞짱 12 - 특정 국가의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개입은 정당할까요?
생각 도움닫기
리뷰
책속에서
이동희 (찬성):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이미 우리 눈앞에 다가온 심각한 위협이야. 강제적으로라도 출산율을 높여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해. 독신세는 미혼자의 결혼을 유도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어.
김유빈 (반대): 결혼과 출산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른 행동이므로 국가가 나서서 강제할 수 없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왜 혼자 살고, 결혼해도 자녀를 낳지 않는가를 먼저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해.
_ <맞짱 3 _ 독신 가구에 세금을 부과해야 할까요?>에서
장현종 (찬성): 세계 경제 시장에서는 자유 무역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어. 이러한 흐름 속에서 쌀 시장을 개방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생각해. 오히려 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해. 시장을 개방하는 대신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수입량을 조절할 수 있을 거야.
윤지혜 (반대): 쌀 시장을 개방하면서 외국산 쌀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도, 향후 다른 나라와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과정에서 그 관세율을 유지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해. 결국 쌀 시장 개방 이후엔 값싼 외국산 쌀이 우리 식탁을 점령할 거야.
_ <맞짱 4 _ 쌀 시장을 전면 개방해야 할까요?>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