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9840045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5-02-0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추천의 글
1부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한 문화 쟁점 이야기
쟁점 1 만 18세 청소년에게 선거권을 줘야 할까요?
쟁점 2 군인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될까요?
쟁점 3 베이비 박스를 늘려야 할까요?
쟁점 4 동성 결혼을 허용해야 할까요?
2부 변화하는 사회와 발맞추는 문화 쟁점 이야기
쟁점 5 잊힐 권리를 인정해야 할까요?
쟁점 6 정년 연장은 고령화 사회의 해법일까요?
쟁점 7 안락사를 받아들여야 할까요?
쟁점 8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을 규제해야 할까요?
3부 더 나은 내일을 준비하는 문화 쟁점 이야기
쟁점 9 주민등록번호를 없애야 할까요?
쟁점 10 화학적 거세는 정당한 형벌일까요?
쟁점 11 유전자 변형 식품은 안전할까요?
쟁점 12 담뱃값을 인상해야 할까요?
생각 더하기
리뷰
책속에서
몇 년 전부터 만 18세 청소년에게도 선거권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입시 제도와 같은 교육정책에 직접 영향을 받는 연령이고, 청소년들의 권리 의식이 높아졌다는 점 등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물론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부분 수험 생활을 하는 학생들이 정치적 결정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의 선거 연령은 어떨까요?
- '쟁점 1 만 18세 청소년에게 선거권을 줘야 할까요?' 중에서
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린 윤 일병 사건으로 군에 대한 불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하고 있다. 이제까지 군은 활기차고 건전한 군대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힘써 왔다고 하지만 나아진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군대만을 믿고 있을 수 없다며 군인들의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시민단체 ‘인권 사랑’에서는 ‘군인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될까요?’라는 주제로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여 국민들의 의견을 들어 보기로 했다. 공개 토론회의 찬성 측 패널로는 인권단체 간사인 박허용 님과 군 복무 중인 아들을 둔 강경숙 님, 반대 측 패널로는 예비역 장교 최강남 님과 얼마 전 전역하고 대학에 복학한 전준비 님이 참석했다.
- '쟁점 2 군인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될까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