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권천하 - 하

대권천하 - 하

박철민 (지은이)
북아로파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권천하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권천하 - 하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무협소설 > 한국 무협소설
· ISBN : 979119602172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7-02-10

책 소개

박철민의 정치패러디 무협소설. 이야기는 2011년 4월 재보궐선거로부터 시작된다. 총선 공천에서 탈락했거나 총선에서 낙선한 예비 정치인과 기성 정치인의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재보궐선거, 그리고 2012년 대선가도에 오른 맹주들의 정적 또는 아군과의 진흙탕 현장을 스케치했다.

목차

[에피소드 4] ‘묵언의 바다’ 한양특공국 무민의 외침
1·인왕산 오르는 근혜 여랑위의 옷깃에 가을은 물들고 4
2·묻는 자, “엄마들의 마음이 곧 세상의 구원자인가” 11
3·“베에토벤의 대합창” 희망제작창의 정신과 육체가 하나 되어 17
4·바이러스공의 외침 “우리 사회의 정의는 정의롭지 않아” 22
5·아방궁에 살면 하늘이 가깝나, 잃어버린 권세가 돌아오나 29
6·외로운 촛불이여, 신성한 새벽이여! 나는 깨어나리라 33
7·바람은 보이지 않는데, 흔들리는 것들의 요란함이여 40

[에피소드 5] 겨울이여, 유형의 겨울이여
1·일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서 진실을 읽고 천하를 배워 48
2·대한민주무림국의 겨울은 청년들의 자유로움과 함께 찾아와 57
3·개문발차開門發車, ‘바이러스공의 핵폭탄’ 64
4·스님은 법당에, 신부는 성당에, 목사는 예배당에 70
5·도꼬다이의 처절한 절규 “내가 어떻게 차지한 자린데……” 76
6·풍찬노숙, 천하가 즐거움을 느낀 연후에 나는 그 맛을 보리라 80
7·오늘은 진실이 구속되나 내일은 거짓이 법 심판대 위에 86

[에피소드 6] 혁신ㆍ통합ㆍ쇄신, 서서히 열리는 사회
1·등껍질 같은 할머니의 손등, 그리고 바이러스공 92
2·정치 선거는 덜 나쁜 놈을 뽑는 일 “민나 도로보데쓰” 97
3·통합무림 시대, 학규 공자의 출정식 “한반도지도는 다시 그려질 것” 103

[에피소드 7] 진성고수 하나둘씩 강호 출현 “황제위여”
1·재인 문향의 인력거는 부산공국의 사상영지 문턱을 넘어 107
2·나꼼수·진중권 등 소셜미디어나발권 발사 ‘천하민심 풍향계’ 112
3·비록 가는 길이 험하고 멀지라도 그 길은 나의 길 117
4·재오 철방장의 절규 “내는요, 당을 무자게 사랑합니데이” 122
5·명숙 총리령의 눈물 “총선 야도방권연대는 희망과 승리의 길” 130
6·정희 진보통령의 뜨거운 눈물 “잠시 역사의 뒤안길에서 여러분을……” 134

[에피소드 8] 봄과 여름 사이, 황제위를 향한 도방결정비무대회
1·용민 구라판타지 & 청와궁 “NO. 굴복 흥칫뿡” & 조중동 139
2·봄은 짧고 여름 오고 “부패 음식 폭식에 탈장 났는데, 이를 어찌할꼬” 143

[에피소드 9] 무림대권 주자들의 ‘뜨거운 여름’은 용광로
1·몽준 쩐두찰방의 어눌한 도전 “근혜 여랑위가 무림외교를 알까 몰라” 149
2·문수 지략정사의 ‘재야단련권권ㆍ절대서민안착권’ “나, 황제 될 테야” 154
3·진보무림은 죽었으나 진보주의의 패러다임은 영원히 161
4·기갑 거세두령의 장풍 “도방에 포도청이 왜 나서. 에라이!” 167
5·백두신공 한길 명길존재감 ‘으샤, 자갈치 시대’는 열릴까나 173
6·무림대권지도 다시 그리기 “나 또 무소불위 총리령 할래” 178

[에피소드 10] 강호, 진성 황제의 시대
1·대한무림대국에 번쩍이는 천자들의 검무 182
2·절체절명의 칼끝, “베지 못하면 베인다” 185
3·세상에서 가장 설운 이야기 “보따리 지고 고향 가는 길” 187
4·인권저항 준하 사상계청장의 ‘절대인권도력’은 누가 잡을 것인가 190
5·여랑위 47.5 vs 바이러스공 45.1 “여랑위 대세론?” 갸우뚱
6·바야흐로, 현재두마·진성백신·훈남문향의 시대라 198

[Final]
카운트다운. 대한민주무림대국 천하무림대회 천하황제위의 결전 204
[덧붙이는 글] 211
에필로그 214

저자소개

박철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라기보다 잡가雜家다. 대학에서는 시를 썼고 신춘문예에서 희곡으로 등단했다. 광고 카피라이터로 시민운동과 정치 참모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가 늦깎이 작가가 되었다. 대학에서 문예창작ㆍ역사학ㆍ철학ㆍ행정학ㆍ문화교양학 등 인문학적 전 분야를 공부했으나, 석박사는 되지 못했다. 등단한 이후 연극도 하고 영화도 하며 때로는 타인의 글을 써주는 대필 작가로도 활동했다. 모르는 이 없듯이, 대한민국에서 작가로 먹고살기란 차라리 풀잎 먹는 게 낫다. 하여 그는 정치 참모, 신문 칼럼니스트, 유통업, 홍보대행업, 선거 전문가, 상담사 등 세상에 없는 일 말고 안 해본 일이 없다. “나는 선출직 공무원 제외하고는 다 해보았다.” 그의 너스레다. 그를 아는 사람들은 그를 ‘잡가’라고 하는데, 잡가도 그냥 잡가가 아니다. SNS(페이스북ㆍ카카오스토리ㆍ트윗 등)나 칼럼을 통해 읽은 그의 글에는 만만치 않은 내공이 있다는 것을 눈치 챌 수가 있다. 정치, 경제, 역사, 문화, 사회, 스포츠 등 모든 분야를 망라하여 펼치는 글과 말과 강연, 그리고 술청에서의 그것은 그야말로 ‘머릿속에 도서관 하나 넣고 다니는 사람’이다. 작가 박철민은 초야의 재야 학자이거나 어쩔 수 없는 조선 한량朝鮮閑良이다.
펼치기
박철민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작금의 핵문제는 민족의 문제이자 전 세계적인 문제이므로 민감한 사안이라 선뜻 꺼내놓기가 어렵다. 나라를 상대로 사업한 건설경제를 앞세운 실용정부 이명박은 정권이 바뀌면 절대 안 될 것이므로 젖 먹던 힘까지 쏟아 부어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했다. 용케도 이명박의 간절한 소망은 박근혜 정부에로 이양되었으며(이양 방법은 모르지만), 공교롭게도 이 정치패러디물의 주인공인 창조경제정부 박근혜는 지금 상상할 수조차 없는 국정농단 게이트태풍으로 몸살을 앓으며 탄핵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저자 서문 중


근혜 여랑위는 태어날 때부터 무림국의 공주는 아니었다. 부친 정희 철황제가 군사로 몸담고 있다가 5.16군사 쿠데타 앞잡이가 되어 총으로써 청와궁 들어가는 길을 텄다. 어린 나이의 근혜 여랑위는 여동생 근영과 함께 청와궁의 공주가 되어 영애라 불렸으며, 남동생 지만은 영식이 되었다. 근혜 여랑위는 탄탄대로의 인생길을 펼치며 거침없이 나아갔다. 대리황후를 거쳐 재야무림에서 익힌 내공을 바탕으로 한나라도방 맹주 자리에 올라 대한민주무림대국의 제1 도방장으로 등장했다.
그녀에게는 절대 불변의 법칙과도 같은 ‘30~40% 콘크리트벽’이란 게 있다. 그것의 바탕은 산업신공이라 부르는 정희 철황제에게서 전수한 ‘강철비권’과 ‘원칙준수권’이다. 7년 이상을 지켜 온 고공인기는 감히 범접하기 어려운 성역이었다. 지금의 황제 생쥐꼬리 명박 경술사도 한나라도방 무사에게서 권법을 전수하여 등극했다라기보다 무림국 무민에게 약속한 ‘사술 경제학’이 통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100m 출발선에 몸을 풀고 있습니다. 필드에서 투포환 던지기 경기를 우승하여 어느 코치가 슈퍼에서 사온 2천 원짜리 오스카 샴페인을 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2012에는 무림의회와 무림대권을 모두 되찾아 진정한 무림천하를 건설하여 무민에게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평화를 약속합니다. 그리고 우리 도방에는 봄이면 피는 꽃동산과 같은 무림 이상향을 건설합시다. 우리는 잠시, 들었던 이 샴페인 잔을 내려놓읍시다. 예전에, 고수들이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렸다가 범했던 어리석음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됩니다. 반면교사라는 말을 명심하고 또 명심할 것을 당부합니다. 대한무림국 무민의 뜻을 헤아릴 줄 알아야 합니다. 자, 이제 조용히 집으로들 돌아가 새날을 맞이합시다.”
긴 연설을 마친 학규 공자가 천천히 일어나 도방사를 빠져 나가 자신의 인력거에 올라탔다. 그의 인력거가 미끄러지듯 저만치 모습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무사범들은 박수를 멈추지 않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