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르포 교토조선학교 습격사건

르포 교토조선학교 습격사건

(헤이트크라임에 저항하며)

나카무라 일성 (지은이), 정미영 (옮긴이)
품(도서출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10,8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080원
12,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르포 교토조선학교 습격사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르포 교토조선학교 습격사건 (헤이트크라임에 저항하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96238728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8-12-09

책 소개

학교의 역사적 경위는 무시한 채 개발과 더불어 새로 유입된 신 주민의 불만은 재특회 같은 과격한 집단의 힘을 빌려 학교를 거주 지역에서 몰아내려 했다.

목차

1. 사건 당일 2. 제1초급학교의 역사, 달라지는 상황 3. 습격직후의 혼란
4. 법적대응으로 5. 멈추지 않는 가두시위 6. 피폐해가는 교사들
7. 수사기관이라는 장벽 8. 법정-회복의 장, 2차 피해의 장
9. 고향 / 집필후기 / 역자후기 / 참고문헌

저자소개

나카무라 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널리스트.1969년생. 『마이니치신문』기자를 거쳐 2011년부터 프리 저널리스트로 활동 재일조선인과 이주자, 난민을 둘러싼 문제와 사형 문제가 주요 테마. 영화평 집필도 하고 있다. * 주요저서 『声を刻む 在日無年金訴訟をめぐる人々』(インパクト出版会 2005), 『ルポ 京都朝鮮学校襲撃事件─〈ヘイトクライム〉に抗して』(岩波書店 2014), 『ルポ 思想としての朝鮮籍』 (岩波書店 2017), 『映画でみる移民/難民/レイシズム』(影書房 2019), 『「共生」を求めて 在日とともに歩んだ半世紀』(編著, 田中宏著, 解放出版社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정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출판번역팀장. 도서출판 품 대표. 주요 번역서 : <보쿠라노 하타(우리들의 깃발) 1·2권> / <르포 교토조선학교 습격사건> / <저 벽까지> / <꽃은 향기로워도> / <우토로 여기 살아왔고, 여기서 죽으리라> / <유언>(화태 귀환 재일한국인회 회장, 이희팔) / <41년 만에 배달된 편지> 등
펼치기

책속에서

1. 사건당일
여느 때와 다름없는 점심시간이었다.
도시락을 먹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줄지어 1층에 있는 안마당 수돗가로 이를 닦으러 가는 아이도 있다. 5교시가 시작되는 오후 1시 15분까지, 평소와 다를 바 없는 누에고치 속 같은 시간이 흐르고 있었다. 별안간 3학년 남학생 3명이 2층 교실로 뛰어 들어왔다. 아이들은 겁에 질린 표정으로 이 해에 갓 교사가 된 담임 정유희(1988년생)에게 소리쳤다.
“선생님, 이상한 사람이 말 걸었어요.”
“‘이리 와 봐’ 했어요.”
“모르는 사람이 교문밖에 있어요.”
2009년 12월 4일 오후, <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의 모임(재특회)>과 <주권회복을 지향하는 모임(주권회)> 멤버들이 교토 조선제1초급학교 남문에 집합했다. 이 학교는 역사적 경위(다음 장에서 자세히 서술)로 부지가 좁아 운동장이 없다. 그 때문에 도로를 사이에 두고 있는 칸진바시?進橋 아동공원을 교정 대신으로 사용했는데, 조회대와 축구골대, 스피커 등을 그곳에 놓아두었다. 재특회가 이를 두고 ‘50년 남짓 공원을 불법점거’했다고 선동하고, ‘공원을 탈환하겠다’며 가두시위를 벌이려 찾아온 것이다. 시위를 실행에 옮긴이들은 모두 11명. 중심인물은 그들의 활동공간인 인터넷에서 일반참가자는 모집하지 않고, 평소 활동을 같이한 몇 명에게만 알렸다. 충돌 사태를 예상한 것이다.
(중략)
학교는 3층 건물이다. 이날, 남문에서 반대쪽인 맨 위층 강당에서는 4학년부터 6학년 아이들이 시가滋賀 초급학교, 교토 제2, 제3초급학교 고학년들과 교류수업을 하고 있었다.
강당에 있던 시가 조선초급학교 교사 정상근(1958년생)은 강당으로 뛰어 들어온 동료의 모습을 기억한다. “아래층에 큰일 났어요. 빨리 내려와 보세요!” 계단을 뛰어 내려가 건물 밖으로 나가보니 남문바깥에 누군가 서 있었다. 교문 쪽으로 20미터 쯤 더 뛰어 가보니 점퍼와 작업복차림의 사내들 5, 6명이 더 있었다. “어이, 문 안 열거야? 문 열라니까!” “거짓말 작작 해, ××!” “멍청한 새끼!” 문 안쪽에서 대치하고 있는 교장과 교무주임에게 그들이 성난 목소리로 고함을 내지르고 있었다.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건지 알 수 없었죠. 우익단체 가두시위는 경험해 봤지만, 그들은 전혀 달랐어요. 말도 그렇고 태도도 그렇고.”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상치 않은 사태에 순간 망연자실한 정상근은 이내 등 뒤로 교실이 있다는 걸 깨달았다. 그곳에는 아이들이 있었다. 제1초급학교 교장과 교무주임은 1층에서 침입방지에 온 힘을 쏟고 있었다. 정상근은 뛰어 내려온 계단을 다시 달려 올라가 호흡을 가다듬은 후 강당으로 들어가 아이들을 달래고 있던 여교사 4명을 모아 조용히 지시했다. “일단 커튼을 모두 닫으세요. 그리고 볼륨을 최대한 키워서 음악을 틀어주세요. 저런 모습을 보고 들었다가는 충격 받는 일 밖에는 없으니까. 이 상황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신나게 게임을 진행해주세요.” 그리고 교사들과 함께 한 번 더 확인했다. “평상심을 갖고 대응합시다. 아이들을 지킵시다.” 그리고는 다시 1층으로 내려갔다.
곧바로 주범이 확성기를 쓰기 시작했다. “교문을 열어라!” 평일 낮 학교 앞이다. 교장이 더는 참을 수 없어 ‘여긴 학교입니다’하며 자제를 요구하자, 습격자들의 욕설은 점점 더 심해졌다. “김일성, 김정일 초상화를 걸고, 일본인을 납치한 조선총련 산하 조선학교. 이게 무슨 학교야―!” 주범이 선창하자 사내들은 일제히 “맞아―!”하고 합창했다.


3. 습격직후의 혼란
“결국, 우리는 ‘바깥사람’이라는 거지.”
“지금까지 쌓아왔던 것이 모두 무너져 내리는 느낌이었죠.”
“그저 상실감이 들 뿐이었습니다.”
“무력감이었죠.”
“뭐라 해야 할까, 과거로 되돌아오고 말았어요.”
2009년 12월 4일, ‘재특회’와 ‘주권회’ 멤버들의 최초 혐오데모가 완수된 그때로부터, 이후 며칠간을 어떻게 보냈는지 듣는 동안, 학부모들의 입을 통해 나온 말의 단편이다. 학교로 달려가 일방적인 욕설과 고함을 그저 듣고만 있어야 했던 이도 있는가 하면, 습격예고를 모른 채 집에 돌아온 아이에게 얘기를 듣거나, 울음을 멈추지 못하는 아이의 평소와 다른 모습에서 사건을 알게 된 이도 있다. 이런 분노와 어떻게 마주하고, 불안과 공포에 어떻게 대처했는지도 각양각색이다. 놓인 상황은 달랐어도 학부모와 교직원들에게 공통의 인식이 있었다. 결국 자신들은 외국인이고, 마이너리티라는 것. 소수자인 자신들이 함께 살아갈 노력을 해도 이 사회에서는 자신들을 같은 인간으로조차 보지 않는 이들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 이 사회에서 그런 차별데모가 허가되고 경찰도 허용한다는 것. 이 나라의 법 제도로는 그런 추악한 차별데모를 그만두지 못하게 할지도 모른다는 인식이었다.


4. 법적대응으로
그 다음 날, ‘제대로 싸워보자’며 김상균에게 전화를 걸어 온 사람은 외국인학교를 주제로 한 법률가들 사이의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사태를 알게 된 에가시라 세츠코(江頭節子)였다. 연락을 해 온 변호사들은 하나같이 ‘반드시 고소해야 된다’고 했다. 그 중 한 사람인 도요후쿠 세지(豊福誠二) 변호사 또한 ‘그 자리에 없었던 것’에 대한 마음의 빚이 있었다. “‘재특회가 찾아올지도 모른다. 무슨 방법이 없겠느냐’고, 사전에 김상균씨에게 메일로 상담을 받았어요. 하지만 한 차례도 가두시위가 이뤄지지 않은 단계에서 제지하는 것은 불가능한데다, ‘딱히 방법이 떠오르지 않네요, 찾아오면 일단 경찰에 연락해야죠.’ 했는데, 그 사이에 와버렸죠.” 당시 도요후쿠는 교토변호사회의 큰 행사를 맡고 있어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였다. 얼마 후 동영상을 보았다.
“기겁했습니다. ‘이거 보통일이 아니구나.’ 싶었죠.” 농담을 즐기고, 때로는 음담패설로 주위에서 질책을 받는 도요후쿠였지만, 사건 얘기가 나오면 바닥만 내려다보았고, 굵은 저음이 한 층 더 낮아졌다. “가장 놀랐던 것은, 경찰이 명예훼손으로는 현행범으로 체포를 안 한다는 것. 그건 교과서에 안 나오니까요.” 그리고 이 사건은 조선인이 피해자였다는 특수성을 지적한다. “‘다른 학교’였더라면, 곧바로 중지명령을 내리고 체포하죠. 조선학교라서 (데모참가자를)방치한 채 원하는 대로 하게 놔둔 거라고 생각해요. 상대가 그저 조선인이라면 그 같은 짓을 당해도 경찰은 방치하는. 내 인식이 안이했어요. 너무 미안한 마음에 가슴이 아팠어요. 지금도 멍해질 때는요, 타임머신을 타고 그때로 돌아갈 수 있다면 어떤 수단이 가능했을지, 문득문득 생각하곤 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