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노자철학
· ISBN : 9791196429058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9-04-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곽점본 『노자』 원문의 언어문자학적 재조명
제1장 『노자갑』 원문 고석 및 풀이
제2장 『노자을』 원문 고석 및 풀이
제3장 『노자병』 원문 고석 및 풀이
제4장 판본 소개와 선행 연구
제2부 곽점본 『노자』 원문과 후대 판본의 차이 묘사
제5장 제 판본의 통사적 차이
제6장 제 판본의 어휘적 차이
제7장 제 판본의 문자학적 차이
제3부 곽점본 『노자』 원문의 후대에서의 변화 양상
제8장 언어학적 변화 양상
제9장 언어학 외적 변화
[부록1] 노자와 『노자』--- 메이광(梅廣) 교수 대담록
[부록2] 『노자』 7종 판본 원문 비교 대조
참고문헌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노자』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 있을까? 최초의 『노자』는 우리가 읽어왔던, 알고 있던 『노자』와는 다르다! 땅 속에서 발굴된, 대나무 죽간 위에 적힌 『노자』, 즉 곽점본은 결코 난해하지 않다! 곽점본 『노자』에서는 왕과 신하의 역할을 자연의 섭리와 연관지어 논한다. 왕에게는 ‘무위’할 것을 청한다. 신하에게는 ‘다 드러내지 말고 삼갈 것’을 당부한다. 이렇게 하면 만물과 백성은 ‘자연의 섭리대로 저절로 자리를 잡아갈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한다. 이 변화에는 후대의 언어 변천과 인식의 변화가 녹아 있기도 하다. 이 책에서는 최초의 『노자』가 하고자 했던 이야기, 그리고 후대 『노자』의 변화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조은정(曺銀晶). 성균관대 중문과 졸업. 중국 북경대 중문과 석사와 박사. 현 중앙대 조교수. 20대에 스스로의 내적갈등에 대한 해답을 『논어』에서 얻고자 중문과에 입문하였으며 현재는 『노자』에서 삶의 지혜를 얻고 있다. 고대 한자 자료인 출토문헌을 활용한 중국어의 변천을 주로 연구한다. 논문 「문자언어학적 각도에서 살펴본 『노자』 판본의 선후 관계」 외 다수. 저서 『"也" "矣" "已"的功能及其演變』(박사논문 대만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