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653759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교실 속 존중의 경험으로
제1장 ‘내 안의 민주성’ 깨우기
1. 민주주의를 모르는 사람도 있나요
2. 시민 수만큼의 민주주의, 교사 수만큼의 민주시민교육
3. 현재까지의 민주시민교육, 그리고 교실 민주주의
4. 아직 교실에서는 어렵다고 믿는 교사들에게
5. 우리는 모두 불편한 게 많았던 사람들
제2장 교실 민주주의를 위한 준비
1. 스스로에게 먼저 던져 볼 질문들
- 교실에서 가장 편견이 많은 사람은 누구일까?
- 우리 교실에는 선택권이 있었을까?
- 사람이 아니라, 상황의 문제가 아닐까?
2. 먼저 합의해야 할 ‘권리’와 ‘의무’
- 권리는 ‘내 맘대로 하는 것’이 아니다
- 의무는 ‘권리를 지키는 힘’이다
제3장 교실 민주주의 시작하기
1. 평등한 대화 나누기
-‘배.경. 없는 대화’로 비언어적 존중 표현하기
-‘감정의 걸음과 물컵’으로 대화 감수성 높이기
-‘평’화롭고 ‘평’등한 대화를 위한 ‘평평 대화 5원칙’
2.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기
- 생각과 존재의 다름, 공존의 인정
- 보이지 않는 ‘◯◯◯’ 찾기로 생각의 한계 깨닫기
3. 차별과 평등(형평) 이해하기
- 차별이 주는 스트레스
- 야구장 관람 그림으로 공평과 형평 이해하기
-‘남자답게, 여자답게’가 아닌 ‘나’답게 수업 활동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로 고정관념 깨뜨리기
- 평화와 존중 내면화하기
제4장 교실 민주주의로 문제 해결하기
1. 권리와 의무 공존의 체계 만들기
- 의무보다 권리 먼저 경험하기
- 나의 권리가 누군가에게 불편함이 되는 경험하기
- 권리에도 ‘제한(양보)’과 ‘금지’가 필요함을 이해하기
- 권리 보호를 위한 의무와 권리가 공존하는 생각 만들기
- 권리와 의무가 공존하는 학급헌법 만들기
2. 공평한 수업과 놀이 활동 생각하기
3. 의사결정 과정으로 문제 해결하기
에필로그 민주시민의 성장 씨앗을 찾아서
부록 교실 민주주의 활동 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민주주의적 특성을 교실에서 구현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누구나 이상적으로 꿈꾸는 교실 민주주의는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다시 한 번 우리는 구구절절이 계속 언급하는 ‘민주주의’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가능한지?’의 질문보다, 교실 현장에 민주주의적 관점과 실천이 필요한 이유를 생각하고, 어떻게 구현해 나가야 하는지 논의하고 도전해 보자는 것이다.
― 「‘내 안의 민주성’ 깨우기」 중에서
교실에서는 ‘존중’이란 낱말을 매우 흔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그것의 속성이나 실천 방법은 매우 추상적이고 감성에 치우칠 때가 많다. 나는 존중의 시작을 이 ‘선택권’, ‘자기결정권’에서 찾아야 한다고 믿는다. 실제로 자신에게 유의미한 선택지를 만들고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선택이 실현될 때 불편함보다 편안함을 얻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그렇게 노력하는 ‘존중이 있는 교실’을 꿈꿀 수 있을 것이다.
― 「교실 민주주의를 위한 준비」 중에서
현재 대부분의 교사가 학급 내 차별과 혐오 표현, 갈등과 폭력에 맞서 싸우고 있다. 매일 드러나는 것만 다루어도 지치는 것이 일상이다. 그러나 차별과 평등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교사 자신과 규칙, 구조적 문화를 살피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낼 수도 있다. 개인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은 언제라도 누구든지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문제가 어디에서 왔는지 앞으로 어디로 가야 할지 학생들과 이야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과정을 거친다면 학생들은 사회를 바라보고 어떤 실천이 평화롭고 존중을 위한 것인지 이해하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인의 문제를 넘어 상황과 환경을 바꾸기 위해 연대하고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 줄 것이다.
― 「교실 민주주의 시작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