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9671265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3-10-31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3. 논의의 구성
제2장 묘사적 표현 기법의 수용
1. 대상 인식과 거리조정
2. 풍경의 묘사와 체험의 서술
3. 대상 인식과 표현의 상관성
제3장 구체적 언어의 운용과 내포성
1. 육화된 시어의 운용
2 주요 시어의 내포성
3. 시어와 표상의 관련성
제4장 직유법과 복합적 심상의 활용
1. 직유법의 활용 방식
2. 복합적 심상의 특성
3. 직유와 심상의 미적 효과
제5장 시사적 의의
1. 진술시에서 묘사시로의 전환
2. 묘사시에서 묘사적 서술시로의 갱신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미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고는 한국 현대시가 정지용을 통해서 진술시에서 묘사시로 바뀌었고 그러한 시적 언술 방식이 백석을 통해서 묘사적 서술시로 계승 발전되었음을 구체적 자료를 통해 규명하려 한다. 시적 언술의 구조적인 층위를 대상 인식의 측면, 언어의 운용 방식, 비유와 이미지의 활용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인데, 각각은 중요한 부분이면서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하며 작품 전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시 작품이 현실을 반영하기보다 지나치게 실험적이고 개인의 의식만을 강조하다보면 모호하거나 추상적이게 된다. 이러한 시적 언술에 경도되면 시문학이 전통적 가치로 여겨온 서정성이나 감동을 주는 아름다움의 미학이 조롱당할 수 있다. 지식 정보화시대를 맞아 전통의 복원이나 계승 내지 재창조가 우리의 시급한 과제인 현실을 감안할 때 한국 현대시의 출발 지점인 정지용과 백석의 시적 언술을 비교하는 탐구는 우리 현대시의 근본을 올바로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고가 시를 사랑하는 이들과 현대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되어 한국 현대시의 새 지평이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책을 펴내며 中에서




















